View : 6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최경희-
dc.creator최경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2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6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6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662-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aims at developing the curriculum for specializing the dance in higher education in Korea. Though university dance education at early times started with the support and interests of faculty in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it became independent dance department as fine performing art by famous professional dancers for inside and outside country. The dance education centered on university and college has attributed to establish the role of a dance education as art and studies by pesenting a creative activity and academic research. Meanwhile between 1980-1990 dance education department had run over at university and 40 department was established at 4-year university. Also many things such as distinguished educational goals and educational curriculums to make specialist were discussed. Especially some researchers try to study the problem on education curriculum and requirement levels for developing more practical and reasonable curriculum.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ore effective education curriculum by looking at faculty s teaching tendencies and historical aspects on dance education. Focusing on the Dance in higher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first to clarify the direction, the purpose, contentments and methods of the Dance in higher education and second, more importantly, to develop a new ideal curriculum. In chapter Ⅱ, firstly, traces the development of a dance department in Korea chronologically. The present situation and the problems of dance education in Korea are also provided, and secondly, the goals and philosophical concept of dance in higher education was offered by examining the goals of a dance education. Thirdly, the view of dance Janet Adshead(1984), Smith-Autard(1997), 片岡康子 is extensively investigated to obtain a theoretical basis of the new curriculum of the dance in Higher education. In chapter Ⅲ, show that research object, research tool, research procedure, and the way to deal with material to develop education procedure in characterizing a dance. In chapter Ⅳ, describe about education object, the content and management of text, students or faculty. the plan of education improvement based on analyzed materials. In chapter Ⅴ,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d is an ideal model of Dance in higher education, whose main featur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Based Dance Curriculum includes understanding of high artificial principal The purpose of the program is to contexts of dance education. The program aims to develop well-educated performers and choreographers, the makings related to dancing (stage art, design, light art, clothing, make-ups, music, films). Toward this aim, the program will provide intensive studio training as well as related studies in dance students are also encouraged to audition for and present their works on concerts performing and choreographing opportunities. Second, Teacher preparation Curriculum. The purpose of the program make teachers in elementarily, middle, high school and social program to teach students. Toward this end, the program will facilitate and endowment in dance education and prepares them to teach in a variety of settings. Third, Discipline Based Dance Curriculum suggest various learning base with corporations between studies. The purpose of the program is to foster theory of dance as a fully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dance discipline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discipline. The three educational curriculum suggested here teaching structure which can perform educational contents and specific gaols according to its gaols and emphasizing points. ; 본 연구는 한국 대학 무용(학)과의 특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학무용(학)과가 양적으로 팽창하자 보다 지적이고 통합적인 교육을 이루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인력을 배출하기 위한 논의들을 통해 차별화 되고 특성화된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이 개선책으로 제시되었다. 특히 몇몇 연구자들은 대학 무용교육의 주요 참여자인 학생들 편에서 무용교육 및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요구수준을 살펴봄으로 보다 실질적이고 합리적인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시기별 역사적 관점과 배경을 기준으로 우리 나라 무용(학)과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교과구성과 행정전반에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있는 교수진들의 교수(teaching)에 있어서 두드러진 경향 및 요구 수준을 살펴봄으로 학습자, 사회, 지식 측면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보다 특성화된 교육과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조사와 설문조사의 방법을 다음과 같이 병행하였다. 첫째, 한국 대학 내에 무용교육이 어떻게 도입, 정착, 발전되었는가를 시기별로 나누어 무용이 대학교육의 일환으로서 예술교육으로 체계를 갖추기까지의 실기와 이론측면에서 논의되었던 주안점이나 특성을 통해 한국 고등 무용교육의 제 양상을 파악하였다. 둘째, 일반적 교육목표와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측면의 무용 교육목표를 살펴봄으로 대학 무용 교육목표의 개념 및 철학적 기초를 제시하였다. 셋째, Janet Adshed(1984), Smith-Autard(1994), 片岡康子의 견해를 통해 무용의 다양한 연구영역을 고찰하여 학문적 범위와 내용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 고등무용 교육의 영향을 미친 미국과 일본의 특성화 사례를 살펴봄으로 교육과정 특성화에 대한 가능성 및 방향을 탐구함으로 특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적 근거를 확립하였다. 넷째, 이상의 이론적 토대와 선행연구를 근거로 현행 대학 무용(학)과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을 비교·분석하므로 문헌상에 나타난 무용 교육과정의 특성과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선행연구에서 연구되지 않은 대학교육목표, 교육 내용 및 운영, 교수진 및 학생, 교육개선 방안 등의 내용을 통해 고등 무용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특성화에 대한 요구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서울·경기 소재의 14개 대학과 지방 소재의 인문·이과 7개 대학의 72명의 교수진 중 56명으로부터 설문 응답을 받았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X²를 통해 분석되었고 자료를 통계처리를 위해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무용 교육과정의 문헌분석을 통해 살펴볼 수 있는 교육목표의 특징은 전문인력측면에서 무용인, 지도자, 교육자, 안무가를 동시에 양성하려는 비슷한 교육방향과 철학을 취하고 있다. 교육내용측면에서는 예술적, 학문적, 교육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다양한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으나 실기과목에서는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에 이론과목에서는 개론, 예술, 역사와 같은 기초이론에 그 비중이 편중되어 있어 제시된 다양한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의 실제적 이행에 관해서는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둘째, 설문조사의 결과를 통해서 나타난 교육목표상의 특징은 주요 세 개의 실기과목을 전공으로 하고 있는 교수진들이 예술적, 학문적, 교육적 영역을 전반적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어 특정 교육내용에 강조를 둔 특성화 작업을 이루기 어렵다는 것이 분석되었다. 또한, 다방면의 전문인력을 배출하여 사회와의 긴밀한 관계성을 도모하려 하지만 실제 교육에 있어서는 공연 수행능력 및 테크닉의 발달, 안무작업의 실습과 경험을 강조하고 있어 현행 대학 무용교육은 공연중심으로 방향이 설정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교육내용측면에서는 특성화를 위해 필요한 실기과목에서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 안무, 즉흥을 이론과목에 대해서는 무용개론 및 무용사, 미학, 철학과 같은 무용의 개념적 측면의 분야를 강조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로 21세기 차별화 되고 전문화된 무용교육을 통해 무용학문의 균형적인 발전과 전공영역의 확대라는 측면에서 다음 세 가지의 이상적인 교육과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1. 공연중심의 교육과정은 높은 수준의 예술적 원리에 대한 이해와 상상력을 실행하는 작업을 포함하여 무용가, 안무가 혹은 무용과 관련있는 제작 (무대미술, 디자인, 조명, 의상, 분장, 음악, 영상)에 종사할 수 있는 전문인을 양성한다. 2. 교사양성 중심의 교육과정 무용의 교육적 기능을 통하여 교육으로서의 무용의 개념을 정립하고 초,중등무용, 사회무용, 특수무용 등 다양한 교육 상황에서 지도하게 될 교사를 양성한다. 3. 이론중심의 교육과정 학문중심의 교육으로 무용예술의 이론을 확립하고 무용비평가, 무용역사가, 철학자 등의 무용학자 뿐만 아니라 무용치료사, 공연기획자, 행정가, 21세기 정보화시대와 건강과 복지를 위한 무용과학분야의 전문가를 육성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무용(학)과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이론적 배경 ------------------- 6 A. 한국 대학 무용(학)과의 발전과정 --------------------------------- 6 1. 대학 무용교육의 도입기 (1953∼1962) ---------------------------- 7 2. 대학 무용교육의 정착기 (1963∼1979) ---------------------------- 10 3. 대학 무용교육의 확산기 (1980∼현재) ---------------------------- 16 B. 대학 무용(학)과의 교육목표 -------------------------------------- 24 1. 일반적 교육목표 ------------------------------------------------ 24 2. 무용 교육목표 -------------------------------------------------- 26 C. 대학 무용(학)과의 교육내용 -------------------------------------- 31 1. 무용의 학문적 구조 --------------------------------------------- 31 9. 무용의 교육내용------------------------------------------------- 41 Ⅲ. 연구방법 -------------------------------------------------------- 52 A. 대학 무용(학)과의 특성화를 위한 문헌연구 ------------------------ 52 B. 대학 무용(학)과의 특성화를 위한 조사연구 ------------------------ 53 1. 연구 대상 ------------------------------------------------------ 54 2. 연구 도구 ------------------------------------------------------ 54 3. 연구 절차 ------------------------------------------------------ 55 4. 자료의 처리방법 ------------------------------------------------ 56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 57 A. 문헌 분석 ------------------------------------------------------- 57 1. 한국 대학무용(학)과 교육 목표 ---------------------------------- 57 2. 무용(학)과 교육 내용 및 특성화의 실제적 사례 ------------------- 61 B. 조사 분석 ------------------------------------------------------- 64 1. 교육 목표 ------------------------------------------------------ 64 2. 교육 내용 및 운영 ---------------------------------------------- 69 3. 학생 및 교수진 ------------------------------------------------- 78 4. 교육 개선 방안 ------------------------------------------------- 84 C. 논의 ------------------------------------------------------------ 87 Ⅴ. 무용(학)과 특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의 방향 ------------------------ 98 A. 공연 중심의 교육과정 -------------------------------------------- 98 B. 교사양성 중심의 교육과정 ----------------------------------------100 C. 이론 중심의 교육과정 --------------------------------------------103 Ⅵ. 결론 ------------------------------------------------------------110 Ⅶ. 참고문헌 --------------------------------------------------------116 부 록. 한국 대학 무용(학)과의 특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요구조사 (교수용) ------------------------------------------126 Abstract ------------------------------------------------------------13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124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대학 무용(학)과의 특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specialization of dance department-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