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0 Download: 0

등산용 외의의 투습성에 관한 연구

Title
등산용 외의의 투습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water vapor permeablity for climbing outerwear
Authors
박진희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혜선
Abstract
The wearing behaviors and problems of climbing clothings are figured out by investigating the wearing conditions of professional as well as ordinary climbers in spring, summer and winter in Korea. The physiological evaluations are presented and the conditions of comfortable breathable-waterproof wears are suggested through the experiments of climbing in both field and chamber tests with breathable-waterproof wears made for this experiments for four kinds of opening parts and five cases of fabric manufacturing and three combination of outer garments. 1. Investigations on climbing clothing wearing behaviors for all seasons The proper selection of functional fabrics for both inner and outer wear in spring, the researches on the locations and amount of the opening parts and extra clothings prepared in climbing pack are found to be desirable since humidity is felt at armpit and back area irrespective of sex, age and professionalism. The fabrics that ease perspiration, loose clothings that are not tight on skin and the closure parts at breast area especially for upper wears in summer are inevitable since humidity is felt at back, breast and armpit after perspiration. Also, it is easy to evaporate perspiration by reducing the cover area and the layers of fabrics as much as possible. The outer, upper wear of climbing wear in winter is lack of insulation layers since ordinary climbers generally wear two layers without fleece jacket even though expert climber wear three layers excluding underwear on the contrary. The "cold feeling" responses in survey are obtained in case of two layers at back area and it is necessary to retain body temperature by increasing the layers at back area in winter. 2. Chamber test In case of air temperature 13∼14℃, air humidity 40∼60%, air speed 1.2 m/s, the conditions of desirable breathable-waterproof wears are as follows. During exercise period, in average skin temperature, fabric G is the lowest and during rest period, in humid sensation, fabric G is average and the rest show slight humidity. In the physiological variables such as cardiorespiratory functions, fabric HW and G shows the lowest. In perspiration weight, fabric G is the lowest. As a result, fabric G is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fabric. During exercise period, in the humidity within clothing(between sweater and jumper), average skin temperature, the skin temperature at thigh and calf, fabric FP is the lowest. During rest period, in the humidity within clothing and the temperature within clothing, the skin temperature at thigh and calf, subjective thermal and humid sensations, the fabric FP shows the lowest results. It shows the lowest results for the cardiorespiratory function variables as well. As a result, FP style turns out to be the most desirable combinations.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WO and PO show the lowest in the humidity within clothing and temperature within clothing, skin temperature and perspiration. Since the identical results can be obtained in multiple comparison, 30cm opening at breast area shows the effect which is the same as that of entire opening. Also, since AC and CO show the same results, opening and closing at breast zipper are evaluated to be the same effect. 3. Field test In case of air temperature -1∼8℃, air humidity 10∼65%, strong wind situation at mountain area, the conditions of desirable breathable-waterproof wears are as follows. During climbing period, fabric G shows the lowest values for the cardiorespiratory function variables. During down climbing period, A, G, HL show low results in comfort sensation. Fabric G is the lowest in the weight of perspiration absorbed in outer and under wears. As a result, G is the most desirable fabric. During rest period, AB is the highest in body temperature and temperature within clothing and AB is the lowest for the humidity within clothing. OP shows the largest value on the amount of perspiration absorbed in lower underwear. As a result, AB style is the most desirable combination. During rest period, in the temperature within clothing(breast surface temperature, armpit surface temperature), AC and CO show the same high values and both WO and PO show the same lowest value of humidity sensations. On the weight of perspiration absorbed in upper underwear, AC, CO, WO and PO are all the same. As a result, PO is evaluated to be the most desirable opening.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봄철, 여름철, 겨울철의 등산복 착용 실태를 등산전문가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등산복의 착용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등산복 중에서도 투습방수복의 투습방수원단의 가공방법에 따른 소재와 조합방법, 개구부의 종류에 따른 방수복을 제작하여 실제 산에서의 등산실험과 chamber내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생리학적인 평가를 실시하고 쾌적한 방수복의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 계절별 등산복 착용실태조사 가. 봄철 성별, 연령, 전문성에 상관없이 겨드랑이와 등부위에서 추위와 축축함을 느끼므로 속옷 및 겉옷에서 기능적인 소재의 선택, 개구부의 위치 및 분량에 대한 연구, 등산백에 여분의 의복을 준비하는 등의 배려가 절실히 요구되었다. 나. 여름철 등, 가슴, 겨드랑 부위에서 땀을 흘린후 축축함을 느낀다고 하였으므로 상의에서 특히, 땀 발산이 잘되는 소재와 몸에 붙지 않는 헐렁한 의복, 가슴부위의 여밈 장치 등이 불가피하였다. 또한 커버면적을 되도록 줄여주고 겹쳐 입는 장수를 줄여 입는 것이 땀을 쉽게 배출하기에 용이하다. 다. 겨울철 겉옷상의에서 전문인은 속옷을 제외하면, 3겹을 착용하고 있으나 일반인은 대부분 2겹을 착용하여 플리스 쟈켓이 빠져 있어 보온층이 부족함을 나타내었다. 등부위에서는 2겹을 착용한 경우에, 춥다 에 응답하였으므로, 겨울철에는 등부위에서 특히, 겹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보온을 유지해야한다. 2. CHAMBER TEST 환경기온이 13∼14℃, 기습은 40∼60%, 기류 1.2m/s의 조건에서 바람직한 방수복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가. 운동구간에서 평균피부온은 소재 G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휴식구간에서 주관적인 습윤감은 소재 G만 보통이고 나머지는 약간 습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폐기능의 생리적인 변인은 소재 HW, G가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전체 의복에서의 땀중량은 G가 가장 적게 나타나, 결과적으로 소재 G가 가장 바람직한 소재였다. 나. 운동구간에서 의복내습도(스웨터-잠바간), 평균피부온, 대퇴.하퇴의 피부온에서 FP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휴식구간에서도 의복내온습도, 대퇴.하퇴의 피부온, 주관적인 온열감, 습윤감에서 FP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심폐기능 생리적 변인도 FP가 가장 낮은 값으로 나타나 결론적으로 FP 스타일이 가장 바람직한 조합방법이었다. 다. 전구간에서 WO, PO가 가장 낮은 의복내온습도, 피부온, 발한량을 나타내고 다중 비교에서 동일한 것으로 평가되어 겨드랑 부위에서 30cm만 여는 것은 다 여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AC와 CO도 동일한 것으로 나타나 가슴지퍼를 여는 것은 지퍼를 열지 않는 것과 같은 효과였다. 결론적으로 PO가 가장 바람직한 개구부였다. 3. FIELD TEST 환경기온이 -1∼8℃, 기습 10∼65%, 강한 바람의 산악 조건에서 바람직한 방수복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가. 등산구간에서 심폐기능 생리적변인은 소재 G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고 하산구간에서 쾌적감은 A, G, HL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의복에 흡수된 총 땀량과 내복에 흡수된 총땀량은 소재 G가 가장 적은 값을 나타내어, 결론적으로 소재 G가 가장 바람직한 소재였다. 나. 휴식구간에서 체온 및 의복내온도는 AB가 가장 높게, 의복내습도는 AB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내복하의에 흡수된 총땀량은 OP가 가장 많게 나타나 결론적으로 AB 스타일이 가장 바람직한 조합이었다. 다. 휴식구간에서 의복내온도(가슴외부온, 겨드랑외부온)는 AC와 CO가 동일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전구간에서 습윤감은 WO, PO가 동일하게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내복상의에 흡수된 땀중량은 CO, AC는 높은 값을 나타내고 AC와 CO, WO와 PO는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PO가 가장 바람직한 개구부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