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김성은-
dc.creator김성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1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8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6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85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o what extent reading skills of non-native Korean language learners can be enhanced by teaching them discourse structures as a method of improving the capacity to effectively read and understand expository texts. In Chapter 1, the study states the objective of research and reviews previously conducted studies while in Chapter 2, the study takes a closer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structures, types of expository texts, discourse structure learning strategies, and the assessments on discourse structure learning to provide theoretical background. Furthermore, in the second chapter, the study examines four top level structures of expository texts and looks into discourse structure learning strategies to educate them effectively including the graphic organizer utilization strategy, discourse structure marker utilization strategy, and the summarization strategy. In the evaluation section, the study reviewed evaluation items pertaining to discourse structures. In Chapters 3 and 4, the thesis design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experimen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discourse structure learning. As for the research subject, the study selected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divided them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led group where the former received intensive discourse structure training to compare later on with the latter to find out the effect discourse structure learning has on reading.And finally, Chapter 5 summarizes and makes a conclusion of the study. The pre-test research hypothesis and post-tes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scourse structure learning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learners' reading ability and thus there will be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resul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learly showed distinct differences. The reading capac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dramatic improvements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by proving the effectiveness of discourse structure learning. Second, improvements will be more distinctive in the evaluation item of 'identifying main idea' and 'guessing using discourse structure mark' compared to that of 'guessing through text flow'. As was expected, the result acquired after verifying the degree of improvements of each evaluation itemshowed that the item on 'guessing through text flow'displayed minimal enhancement. Third, the degree of improvement will be most notable in the 'problem solving structure' among any other discourse structures. The extent of improvement by discourse structure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the highest in the 'compare & contrast structure' followed by the 'cause & effect structure' and 'problem solving structure'. Although the hypothesis was not substantiated, an analysis on the relations between evaluation items and discourse structures based on the proportion of correct answers confirmed that the 'problem solving structure' displays a very high rate of correct answers when combined with certain evaluation items suggesting that depending on which evaluation item a discourse structure is put together, the result can differ from that acquired from earlier analysis on the degree of improvements. Through the experiments and subsequent results specified above, the study demonstrated that discourse structure learning is an effective method in teaching expository texts. Moreover, by showing that reading a certain discourse structure can result in differing outcomes depending on the learner, the study suggests much implications on teaching searching and reading skills.;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설명적 텍스트를 보다 효율적으로 읽고 이해하는 방법으로 담화구조를 학습시켜 읽기 능력의 향상을 검증하는 데 있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에 대해 서술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담화 구조의 특징과 설명적 텍스트의 유형, 담화 구조 학습 전략과 담화 구조 습득과 관련된 평가의 내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설명적 텍스트의 네 가지 상위 구조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담화 구조 학습 전략은 도해 조직자 활용 전략, 담화 구조 표지어 활용 전략, 요약하기 전략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평가에서는 담화 구조와 관련된 평가 항목들을 알아보았다. Ⅲ장과 Ⅳ장에서는 담화 구조 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 설계를 하고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선정하고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 집중적인 담화구조 교육을 시킨 다음, 통제 집단과의 비교를 통하여 담화 구조 학습이 읽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Ⅴ장에서는 연구 내용을 정리하였다. 본고의 연구문제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화 구조 교육은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일 것이다.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통해 집단간 향상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이들의 차이는 뚜렷하게 드러났다. 실험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큰 향상 폭을 보여 교육의 효과를 분명히 하였다. 둘째, 평가 항목별 향상도에서는 중심 내용 파악하기와 담화 구조 표지어로 예측하기 항목이 글의 흐름으로 예측하기 항목보다 높게 나타날 것이다. 실험 집단 내에서의 평가 항목별 향상도를 검정한 결과 예상대로 글의 흐름으로 예측하기 항목이 가장 낮은 향상도를 보여주었다. 셋째, 담화 구조별 향상도에서는 문제 해결 구조의 향상 폭이 다른 담화 구조에 비하여 제일 높게 나타날 것이다. 실험 집단 내에서의 담화 구조별 향상도를 검정한 결과 비교 대조 구조, 인과 구조, 문제 해결 구조의 순으로 향상도가 높았다. 따라서 세 번째 가설은 입증되지 못하였으나 정답 빈도표를 통한 평가 항목과 담화 구조 간 관계 분석에서 문제 해결 구조가 특정 평가 항목과의 결합에서는 매우 높은 정답률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어떤 평가 항목과 결합하느냐에 따라 향상도 검정에서 나타난 결과와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를 통해 담화 구조 학습 훈련이 설명적인 글을 지도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밝혔다. 또한 학습 대상에 따라 담화 구조의 독해가 다른 결과를 나타낸다는 점을 탐색, 읽기 지도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v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선행연구 검토 = 3 Ⅱ. 이론적 배경 = 8 A. 담화 구조 = 8 1. 담화 구조의 특징 = 8 2. 설명적 텍스트의 구조 유형 = 11 B. 담화 구조 학습 전략 = 14 가. 도해조직자 활용전략 = 14 나. 담화 구조 표지어 활용전략 = 20 다. 요약하기 전략 = 23 C. 담화 구조 습득 평가 = 25 Ⅲ. 연구의 방법 및 실제 = 28 A. 피험자 선정 = 29 B. 실험 방법 및 지도 절차 = 31 1. 실험 방법 = 31 2. 지도 절차 = 33 C. 실험 도구 = 42 D. 자료 분석 = 48 Ⅳ. 연구결과 및 분석 = 49 A. 집단별 읽기 능력 향상도 검정 = 49 B. 하위 요소별 향상도 검정 = 51 1. 평가 항목별 향상도 검정 = 51 2. 담화 구조별 향상도 검정 = 54 3. 평가 항목과 담화 구조 간 관계 분석 = 56 Ⅴ. 결론 = 61 참고문헌 = 64 부록 = 69 Abstract =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55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담화 구조 학습이 읽기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설명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Discourse Structure Learning on Reading Comprehension : on Expository Text-
dc.creator.othernameKim, Sung-Eun-
dc.format.pagevi,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