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7 Download: 0

병원감염 감시체계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Title
병원감염 감시체계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a model of surveillance system fornosocomial infection
Authors
양숙자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광옥
Abstract
The main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assess surveillance system for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and to develop a model of surveillance system for nosocomial infection. Only hospitals which had infection control nurse were selected for study. Selected sample size was twenty six hospitals. Researcher visited hospitals to collect data from infection control nurse based on the questionnaires or researcher sent questionnaires to the hospitals by fax.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hrough revising hospital surveillance instrument which was developed from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and Center for Communicable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 USA.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software. Frequency, percent total, and rate were calculated. 1. There is infection control division among organization for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A infection control division has to be setted up in hospitals with more than 250 beds in order to perform effective surveillance activity for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in Korea. A full time infection control nurse and infection control doctor have to be employed as its minimum manpower. If some hospitals can not donminate infection control doctor due to no having infectious disease specialist and clincal microbiologist, these hospitals have to employ additionally full time infection control nurse. 2. A infection control nurse is key personnel in the systematical surveillance activity for nosocomial infection. Considering our real hospital situation, one full time infection control nurse per 400 beds has to be employed. There is no certification or authorized standard for employment of infection control nurse in Korea. Training program must be provided in order to perform the effective control activity of nosocomial infection after employment. For new infection control nurse, two weeks training program mainly focused on the surveillance activity of nosocomial infection has to be provided. And for senior infection control nurse, one week training program on new knowledge and techonology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reserach, educational design and methods on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through problem based learning have to be developed and provided respectively.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infection control nurse has to be prepared at the national levels to certify upon a specialist ability as infection control nurse and to protect a national public health. 3. Hospital s surveillance purpose for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has to be setted up to get indispensable information considering our hospital real situation and limited manpower. The targeted surveillance for intensive care unit rather than hospital-wide surveillance has to be done primarily and surveillance of high risk nosocomial infection ward such as high-risk nursery and cancer patient ward have to be done. In order to find out nosocomial infection patients, infection control nurse has to perform rotating ward and laboratory based surveillance. As for the surveillance for intensive care unit, the infection rates associated 3 high risk factors have to be calculated. ; urethral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rate, central line-associated blood stream infection rate, and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 최근 병원감염은 고령자, 악성 종양자 등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감염되기 쉬운 숙주가 증가하고, 항생물질의 오남용에 따른 약제 내성균이 출현하고,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신체 침습적인 의료기기의 다용 등으로 그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주요 보건문제로 대두되었다(天田好子 1996). 우리 나라에서는 1991년 최초로 감염관리실을 개설하고 감염관리 업무를 책임지고 담당할 감염관리 전문인력으로 감염관리간호사를 지정하여 체계적인 병원감염 감시 및 관리 사업을 시작하였다. 95년도 의료기관 서비스 평가사업에 감염관리 부문이 포함되면서, 일부 3차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병원 조직 내 감염관리실을 개설하거나 감염관리간호사를 지정하여 감염관리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는 등 95년을 계기로 병원감염 관리 활동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여 각 의료기관 나름대로 감염관리 활동을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병원감염의 발생 예방 및 관리 대책 수립을 위해서는 병원감염 감시활동이 가장 기본이 되는 중요한 활동이다. 병원감염 감시활동은 병원감염의 발생과 분포에 관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찰치를 제공함으로서 통상적인 발생수준과 유행을 인지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병원감염 관리사업의 우선 순위 설정에 필수적인 자료를 제공해 준다. 체계적인 병원감염 감시 활동은 병원감염율의 추세, 항생제 내성, 병원감염균의 변화 등을 파악하여 적기에 병원감염 문제를 인지하고 적절한 중재 조치를 즉각적으로 취하도록 하는 등 효율적인 병원감염의 예방과 관리에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부 의료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병원감염 감시 활동의 체계를 재정립하고, 아직 병원감염 감시를 실시하고 있지 않은 의료기관의 효율적인 병원감염 감시 체계 수립을 도모하기 위해, 병원감염 감시 조직, 인력, 활동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감염관리간호사를 중심으로 한 효율적인 병원감염 감시체계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단계에서는 병원감염 감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병원을 대상으로 병원감염 조직, 인력, 활동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병원감염 감시체계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2단계에서는 실태조사 분석 자료와 외국의 병원감염 감시체계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 실정에 맞는 체계적인 병원감염 감시체계 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감염관리간호사가 배치되어 병원감염 감시를 실시하고 있는 26개 병원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가능한 한 정확하고 신뢰성있는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1999년 7월 18일 부터 1999년 10월 8일 까지 서울에 위치한 조사대상 병원은 연구자가 모두 직접방문, 그외 지역 병원은 FAX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서는 1976년 미국 공중보건서비스(Public Health Service)와 질병관리쎈터(CDC)가 병원감염 감시와 관리 프로그램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설문서의 감시 평가 부분을 참고하여 개발되었다. 설문서의 내용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병원감염 전문가의 검토,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수정·보완하여 최종 감시체계 조사 설문서를 확정하였다. 설문서는 병원감염 조직, 인력, 감시 활동 등 3부분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병원감염 조직, 인력, 감시 활동 변수의 빈도, 백분율, 평균, 사건율 등을 산출하였다. 1. 병원감염 감시 조직에는 감염관리위원회와 감염관리실이 있다. 감염관리실은 조사대상 26개 병원 중 20개 병원에 설치되어 있었다. 감염관리실내 감염관리 전문인력으로 간호사가 배치되어 있었으나, 이중 겸임 감염관리간호사가 30%를 차지하였으며, 감염관리의사는 65%가 배치되어 있었다. 전담 감염관리간호사가 있는 병원에서는 겸임 감염관리간호사가 있는 병원에 비해 감염관리위원회 회의를 더 빈번히 개최하여 1년에 평균 6회 개최하였고, 병원감염 감시 결과에 따른 정책 및 실무 반영율이 높아 전담 감염관리간호사의 역할이 위원회의 활동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2. 병원감염 전문인력으로 감염관리간호사가 1995년도에 가장 많이 임용되었는데, 전담 감염관리간호사로 65.4%, 겸임 감염관리간호사로 34.6% 임용되어 있었다. 감염관리간호사들은 1인당 평균 794병상을 담당하고 있어 CDC의 250 병상 당 1명의 기준을 3배 정도 초과한 수준이었다. 우리 나라에는 감염관리간호사 임용기준이나 자격 제도가 아직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으로, 병원감염 관리 경험 및 실무와는 동떨어진 업무를 수행하다 임용되거나, 전문성 보다는 다경력자를 임용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국내 병원감염 교육 프로그램은 단기간에 포괄적인 교육 내용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병원감염 관리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신규 감염관리간호사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경험 있는 감염관리간호사들의 경우에는 교육 요구나 경력에 근거한 교육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중견 감염관리간호사들은 병원감염 감시 활동이외 병원감염 관리, 교육, 연구 등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활동해야 하므로, 이들의 교육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한 차등화된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감염관리간호사들의 병원감염 관리 활동 시간을 조사한 결과, 병원감염 감시 및 유행조사에 전체 근무시간의 42.3% 시간을 할애하고 있어 전담 감염관리간호사는 주당 18-19시간, 겸임 감염관리간호사는 6-13시간을 할애하고 있었다. 조사대상 병원의 57.7%에서 감염관리의사가 병원감염 활동하고 있었는데, 이들의 병원감염 관련 업무시간은 주당 4.9시간에 불과하였으며, 행정적인 지원 활동에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었다. 3. 병원감염 감시 활동을 보면, 병원전체 감시만을 하고 있는 병원은 16%, 병원전체와 표적감시를 하고 있는 병원은 44%, 표적감시만을 하고 있는 병원은 40% 이었다. 병원전체 감시에서는 대부분 미생물 배양 검사 결과를 통해 병원감염 환자를 발견하고 있었으며, 감시 결과 지표로 병원감염 균주 분포만을 파악하는 경우가 많아, 병원전체 감시 결과를 병원감염율 감소 대책 수립에 활용하기 어려웠다. 표적감시는 주로 중환자실을 중심으로 하고 있었으며, 미생물 배양 검사 결과와 병동순회 방법을 활용하여 병원감염 환자를 발견하고 있었다. 전담 감염관리간호사와 감염관리의사를 둔 병원의 전담 감염관리간호사들은 학력수준이 높았고, 국내 병원감염 교육뿐만 아니라 APIC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SHEA 학회에 참석하는 등 다른 유형의 감염관리간호사에 비해 충분한 자격을 갖추고 있었다. 이 전담 감염관리간호사들은 병원전체 감시는 실시하지 않고 중환자실을 포함해 고위험 신생아실 등 특수병동을 집중적으로 표적 감시하고 있었으며, 병원감염 환자 발견을 위해 퇴원환자 의무기록을 검토하는 등 다른 유형의 인력에 비해 더 정확하게 환자를 발견하고 위험요인별 감염율을 산출하여 병원감염 대책 수립에 중요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 있었다. 최소한의 감염관리 인력인 전담 감염관리간호사와 감염관리의사를 두지 않고 일부 감염관리 전문인력을 두고 있는 다른 병원들은 제한된 인력에도 불구하고 부정확한 방법에 의한 병원전체 감시와 표적감시를 동시에 실시하고 있었으며, 불필요한 환경감시에도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고 있었다. 현재 병원 실정을 고려하여 제한된 인력 범위 내에서 각 병원의 병원감염 감시 목적을 설정하여 꼭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병원감염 감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병원감염 감시체계 현황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율적인 병원감염 감시체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병원감염 감시 및 관리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병원감염 실행 부서인 감염관리실이 250병상 규모 이상의 모든 중대형 종합 병원에 설치되어야 한다. 감염관리실이 실제적인 활동을 수행해 나가려면, 감염관리실 내 최소한의 병원감염 전문 인력으로 겸임이 아닌 전담 감염관리간호사가 임용되어야 하며, 감염관리의사가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감염학이나 임상미생물학 전공의가 없는 병원에서는 감염관리의사 배치가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전담 감염관리간호사를 배치하여 병원감염 감시 활동을 체계적으로 수행해 나가도록 해야 한다. 병원감염 감시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감염관리 전문인력은 감염관리간호사이다. 우리 병원 현실을 고려해 볼 때 최소한 감염관리간호사가 400 병상 당 겸임이 아닌 전담 감염관리간호사 1명씩 배치되어야 한다. 감염관리간호사의 체계적인 전문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임용 기준 및 자격인준 제도 등으로 감염관리간호사의 전문성 및 감염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병원감염 교육프로그램을 신규 감염관리간호사 과정과 중견 감염관리간호사 과정으로 차등화하고, 신규 감염관리간호사 과정에서는 병원감염 감시 활동에 초점을 둔 실습교육 위주의 2주일 교육과정을 개발·제공하도록 하고, 중견 감염관리간호사를 위한 과정은 병원감염 관리, 교육, 연구와 관련된 새로운 지식 및 기술 뿐 만이 아니라, 이와 관련된 문제해결중심의 각각 1주 교육과정으로 개발·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우리 나라에서도 감염관리간호사로서 전문가의 능력을 보증하고 국민 대중의 건강을 보호하여야 하므로, 감염관리간호사 자격인준 제도가 정부 차원에서 마련되어야 한다. 병원감염 감시를 제한된 인력과 자원으로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의미있는 자료를 얻을 수 없는 병원전체 감시보다는 우선 중환자실을 표적 감시하며, 각 병원의 감시 목적에 따라 고위험 신생아실 등 고위험 병원감염 병동을 감시하도록 해야 한다. 중환자들의 표적 감시를 위해서는 미생물검사 결과와 병동순회를 통해 병원감염 환자를 발견하도록 하고, 중환자실 감시에서는 우선적으로 3대 위험요인인 요로 카테터, 중심 정맥관, 인공 호흡기 사용관련 감염율을 산출하여 주요 병원감염율을 감소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병원감염 감시 체계의 표준화로 다른 병원과 자료를 비교 가능하도록 하여 병원감염 위험요인을 적극 관리해 나갈 수 있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이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