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아동복 선호 실태 조사 연구

Title
아동복 선호 실태 조사 연구
Authors
김주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숙자
Abstract
The objective of my research it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setting up market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kid's wear market which reflecting children and mother's opinion. For my research, I collected data from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and compared and analyzed different preferences on designs of kid's wear. The sample groups of my research are 4th, 5th, and 6th graders and their mothers within Seoul, South Korea. The method of survey on the research is the following. First, I selected 4 elementary schools from each county in Seoul, Kang-Nam and Kang-Buk county. Then equally divided the number of 4th,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each county and surveyed their mothers. I applied the method of questionnaires to collect the raw data for my research and analyzed the total 550 questionnaires: 275 questionnaires from the children and 275 questionnaires within my sample group. The data was analyzed by statistical frequency,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χ2-test and t-test and so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ings : First, The Children and mother's consumer preferences for clothing style are the followings. In terms of functionality of clothing style, boys and their mothers prefer 'Polo T-shirts with trousers (long pants) as their school uniforms, and for girls and their mothers favor 'simple T-shirts with shorts (short trousers)'. In the case of going outs to suburban area, picnics and theme parks, boys are likely to select 'simple T-shirts with shorts (short trousers)' and their mothers are likely to choose 'casual jacket with cargo pants.' Both girls and their mothers wants to wear a 'simple T-shirts' along with shorts (short trousers)'. In the event of visiting urban area such as department stores or restaurants, boys and their mothers prefer to wear trousers (long pants) with a polo T-shirt. For girls and their mothers have a favor in wearing a one-piece dress with a short cardigan. Both boys and their mothers' favorite outfits are casual jacket with cargo pants. Girls and their mothers have a preference over simple t-shirts with shorts (short trousers). The major reason why children are prefer a certain style is, because of the appeal of designs, and the second reason is comfortable design. For upper garment, boys prefer 'blue shade', and girls choose 'sky blue shade ' as their favorite. Boys mothers select 'blue shade' and 'white shade' for girls' mothers. For pants, boys, girls, and girls' mothers all choose 'blue shade' as their favorite, and the boys' mothers say 'indigo shade' (deep blue shade) and 'beige shade' are their most preferred tone of color for their pants. In preference of pattern design, boys and girls prefer "letters or marks." Boys' mothers favor non-patterned designs and girls' mothers like 'plant patterned' designs. The number of boys mother who prefers 'cross stripes'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boys who prefers it. In the preference for 'animal or human patterned design, there are more number of boys prefers it than the number of boys' mothers who have preference for. For the preferred tone of colors, boys preferred 'vivid tone of color', and girls choose 'pale tone of color.' 'Bright tone of colors' preferred by boys' mothers and 'light tone of color' by girls' mothers. Therefore, it shows that girls and their mothers' preferences for light color is higher than the boys and their mothers' preference for it. Also, the boys and their mothers prefer brighter tone of color such as 'bright' 'light' and 'pale' and relatively their preference for 'dark tone of color' is hight as well. The research clearly reflects girls and their mothers also prefers brighter color tones such as 'bright color tone,' 'light color tone,' 'pale color tone', but no one prefers 'gracie color tone' and 'dull color tone.' Seco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clothing is as followed. The study shows children are relatively satisfied with what their mothers bought for them. But, there are some responded cases that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 clothes their mothers shop for them because of their unappealing designs. In the aspect of design, color, size and comfort of clothes, the study shows that boy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clothes in the market than girls, so overall, boys are more pleased with the current products. In the category of color shade, boys mothers are also more contented with the current colors of clothes in the market than the girls mothers. In the design aspect of children's (kids) wear, children's requests for improvement in children' wear are ranked in the order of price, design, size. For mothers', the first request was price and the following was size and design. Therefore, not only the children requested for price adjustment, but also mothers requested for lowing price of children's clothes.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data, there are more requests for the size of girl's wear than the request for size of boy's wear. Furthermore, the number of girls' mothers requested for improvement of design are outnumbered by the number of boys' mothers who had same request.;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이들의 의복 디자인 선호도를 파악, 비교 분석하고, 이들의 의복 만족도를 확인함으로써 아동과 어머니의 의견이 함께 반영되는 아동복 시장의 특성에 맞는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 초등학생 4,5,6학년과 그들의 어머니로, 조사방법은 강남, 강북 각 4학교씩 8학교를 선정하여 4,5,6학년을 지역적으로 균등 배분한 후, 이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배분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동 275부, 아동의 어머니 275부로 최종 55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3.0 Package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χ2-test,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과 어머니의 선호 의복 스타일은 다음과 같다. 용도별 선호 의복 디자인으로 학교 등교용 의복으로 남아와 남아 어머니 모두 ‘폴로 티셔츠와 긴바지 디자인’을 , 여아와 여아 어머니의 경우 ‘간단한 티셔츠에 반바지 디자인’을 가장 선호하였다. 외출용(놀이공원, 교외) 의복의 경우 남아는 ‘간편한 티셔츠에 반바지 디자인’을, 남아 어머니의 경우 ‘캐쥬얼한 자켓과 카고 바지 디자인’을 가장 선호하였다. 여아와 여아 어머니의 경우 ‘간편한 티셔츠에 반바지 디자인’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출용(외식, 백화점) 의복으로 남아와 남아 어머니의 경우 ‘폴로 티셔츠와 긴바지 스타일’을 , 여아와 여아 어머니의 경우 ‘원피스에 짧은 가디건 디자인’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선호하는 의복 디자인으로는 남아와 남아 어머니 모두 ‘캐쥬얼한 자켓과 카고 바지 디자인’을 가장 선호하였고, 여아와 여아 어머니의 경우 ‘간단한 티셔츠에 반바지 디자인’을 가장 선호하였다. 선호하는 디자인으로 선택한 이유로는 아동의 경우 ‘디자인이 마음에 든다’는 응답이, 어머니들의 경우 ‘편할 것 같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상의 선호색으로는 남아의 경우 ‘파랑색 계열’, 여아의 경우 ‘하늘색 계열’, 남아 어머니의 경우 ‘파랑색 계열’, 여아 어머니의 경우 ‘흰색 계열’의 선호가 가장 많았다. 결과적으로 상의 선호색으로 남아와 남아 어머니의 경우 ‘파랑색’, ‘하늘색’, ‘흰색 계열’의 선호율이 높았고, 여아와 여아 어머니의 경우 ‘하늘색’, ‘흰색’, ‘분홍색 계열’의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하의 선호색으로 남아, 여아, 여아 어머니 모두 ‘파랑색 계열’의 선호가 가장 많았고, 남아 어머니의 경우 ‘남색’과 ‘베이지 계열’의 선호가 가장 많았다. 남아 어머니의 경우 남아에 비해 ‘청록 계열’의 선호가 높았고, 남아의 경우 남아 어머니에 비해 ‘하늘색’과 ‘검정 계열’의 선호가 많았다. 선호 무늬에서는 남아, 여아 모두 ‘문자·마크 무늬’를 가장 선호하였고, 남아 어머니의 경우 ‘민무늬’를, 여아 어머니의 경우 ‘식물 무늬’를 가장 선호하였다. 남아 어머니의 경우 남아에 비해 ‘체크 무늬’의 선호가 많았고, 남아의 경우 남아 어머니에 비해 ‘동물, 사람 무늬’에 대한 선호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아의 경우 역시 여아 어머니에 비해 ‘동물, 사람 무늬’의 선호가 여아 어머니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체크무늬’나 ‘민무늬’의 선호에서는 여아 어머니가 여아 보다 선호율이 더 높았다. 선호 색상톤에서는 남아의 경우 ‘비비드톤’을, 여아의 경우 ‘페일톤’을, 남아 어머니의 경우 ‘브라이트톤’을, 여아 어머니의 경우 ‘라이트톤’을 가장 선호하여 여아와 여아 어머니가 남아와 남아 어머니에 비해 더 옅은 색을 가장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남아와 남아 어머니는 ‘브라이톤’, ‘라이트톤’, ‘페일톤’ 등의 밝은 색톤의 선호가 많았는데 상대적으로 ‘비비드톤’의 선호도 높게 나타났다. 남아의 경우 ‘다크톤’의 선호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여아와 여아 어머니 역시 ‘브라이트톤’, ‘라이트톤’, ‘페일톤’의 밝은 색톤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레이시톤’, ‘덜톤’의 선호 응답자는 없었다. 둘째, 의복 만족도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머니가 사다 주시는 의복 만족에 대해 아동들은 비교적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가 사다주는 의복에 불만족하는 이유는 ‘디자인이 마음에 안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시판되고 있는 의복에 대해서 아동에 관해서는 디자인, 색상, 사이즈, 편안함의 항목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 만족도에서도 남아가 여아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의 경우 색상의 항목에서 남아 어머니가 여아 어머니 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복 디자인에 바라는 점에서는 아동의 경우 ‘가격’에 대한 요구, ‘디자인’, ‘사이즈’에 관한 요구 순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경우 ‘가격’에 관한 요구, ‘사이즈’, ‘디자인’에 관한 요구 순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과 어머니 모두 ‘가격’에 관한 요구가 가장 많았고 수치적으로 여아의 경우 남아에 비해 ‘사이즈’에 관한 요구가 많았다. 그리고 여아 어머니가 남아 어머니에 비해 ‘디자인’에 관해 요구한 응답자가 더 많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