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명수-
dc.contributor.author김재진-
dc.creator김재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8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6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6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603-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서양은 기독교를 중심으로 하지만 한국의 종교 상황은 서구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말하자면, 한국 사회는 다종교인 유교, 불교, 기독교, 도교등 다양한 종교들이 공존하고 있다. 이런 다양한 종교의 영향으로, 한국 기독교는 소위‘샤머니즘적 기독교’또는‘유교적인 기독교’로 불린다. 이런 점에서, 한국 기독교의 과제는 독특한 다원종교적 상황에서 한국 기독교의 정체성을 찾아보는데 있다. 즉, 우리 역사 안에 있는 학문들 중에서 오늘의 한국 기독교인들에게 주요한 지침이 될 수 있는 유교를 중심으로 퇴계 이황과 다산 정약용의 사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래서 필자는 유교의 天사상을 살펴봄으로서 기독교의 하느님을 재조명하는데 논문의 목적을 둔다. 우선, 필자는 공자와 맹자가 말하는 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공자가 말하는 天은 조화자이며 동시에 주재자이고 운명의 의미이다. 뿐만 아니라, 그는 仁을 강조함으로써, 天은 인간 마음 안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는 인간의 마음 안에서 天이 행동하는 것을 깨닫는 인간 중심의 사고에서 天人合一을 이상으로 한다. 또한, 맹자도 공자와 같이 天을 운명의 의미와 주재자로 보며 인간의 심성에서 天을 말한다. 그는 인간의 심성에서 선의지를 발견하면, 인성이 무엇인지 그리고 天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의미에서, 맹자는 天이 인간과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심성 내부에 더불어 있는 天를 말하고 天과 심성은 동일하다고 강조한다. 두 번째로, 퇴계는 주희(주자)의 영향을 받았고 理의 원리를 말한다. 理는 창조와 변화에 역할을 한다. 단지, 理는 氣인 사물의 현상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 그래서 퇴계는 氣를 理의 부속물이라 생각한다. 이런 점에서, 퇴계는 理가 절대적인 원리이며 天으로 본다. 반면에, 다산은 퇴계의 견해와 다른 입장에 있다. 다산에 의하면, 理는 독립적 실체가 아니라 氣에 부속물이다. 氣는 理보다 더 우월한 것이다. 이것은 다산이 영적인 존재뿐만 아니라 물질적 존재도 강조한 것이다. 즉, 다산이 말하는 天은 理가 아니다. 그에게 있어 天은 형체가 없는 주재자이며 영적인 존재이다. 그래서 다산은 天을 만물에 질서를 부여하고 인간의 행위를 감찰하시는 존재로 생각하였다. 세 번째로, 퇴계는 天을 인간의 본성과 연관지어 인간의 본성은 하늘에서부터 온 것이라 강조하고 동시에, 인간의 본성은 善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는 인간이 정신적으로 또는 신체적으로 어떻게 수양하는가에 중점을 둔다. 즉, 수양함으로 聖人의 경지에 도달한다. 성인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해, 퇴계는 敬을 제시하였다. 한편, 다산은 인간의 性이란 嗜好이며 善을 지향하는 도덕적 성향은 인간만이 소유한 것으로 본다. 다시 말해, 인간은 선과 악을 구별할 수 있는 도덕적 존재이다. 그래서 다산은 인간의 도덕적 실천행동이 인간의 자유의지의 결과라고 말한다. 나아가, 그는 도덕적 가치들을 실현하는 것은 본래부터 인간이 타고난 선함을 되찾는 것이 아니라 가능성으로 부여받은 선행을 할 때 발현된다고 생각하였다. 이런 점에서, 다산에게 있어 誠은 인간의 마음이라기보다는 인간의 행동을 통해 끊임없이 성실한 노력으로 얻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한국 사상을 공부함으로서 필자는 한국적인 신학을 정립하려고 노력할 것이다.;Religious situation in Korea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at in western culture. In Korea, various religions are coexisting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Christianity, and Taoism. Due to the effect of these various religions, Christianity in Korea is often called ‘shamanic Christianity’or ‘Confucius Christianity’. From this perspective, an assignment that the Korean Christianity has is not in religious pluralism but rather it needs to find the identity under this unique circumstance. Therefore, this paper is going to look into the ideology of Toigye Lee Hwang and Dasan Jung Yak Yong focusing on Confucianism among the studies in Korean history that can be the major guide to the current Korean Christi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ideology of Heaven in Confucianism. Furthermore, I put some consideration on how we can interpret God in western religions in Korean environment. First of all, this study looks into Heaven that Confucius and Mencious discussed. Heaven that Confucius talked about is the lord and destiny. He thinks that Heaven is inside of a person's mind by emphasizing benevolence. Therefore, he considers unity of heaven and man as an ideal from the man focused thought that recognizes Heaven works inside of a man's mind. Mencious also considers Heaven as destiny and the lord and talks about Heaven from man's mind. He thinks that one can understand the human nature and Heaven when one finds goodwill in man's mind. Therefore he says that Heaven is not far from man but stays inside of man's mind emphasizing that Heaven and mind is identical. Secondly, Toigye is influenced by Joo Hee (Ju Ja) and talks about the principal of Reason(理). Reason takes a role in creation and change. Reason cannot exist without phenomenon of objects which is Energy(氣). Therefore, he considered Energy as an adjunct of Reason. From this perspective, Toigye sees Reason as an absolute principal and Heaven at the end. On the other hand, Dasan has different perspective from Toigye's opinion. According to Dasan, Reason is not independent substance but an adjunct of Energy. Energy is superior to Reason. This shows that Dasan emphasized not only spiritual existence but also material existence. In other words, Heaven from Dasan's perspective is not Reason. To him Heaven is the lord without the body and spiritual existence. Therefore, Dasan considered Heaven as an existence that gives order to all things and supervises man's behavior. Thirdly, Toigye emphasizes that man's original nature came from the heavens relating Heaven to man's true nature. At the same time, nature given by the heavens sees all people are good. Therefore, he focuses on how man can cultivate oneself psychologically as well as physically. That is, man reaches to the stage of being a saint by cultivating oneself. He suggested Respect to reach to the stage of a saint. On the other hand, Dasan considers man's nature is preference. That is, moral propensity that pursues goodness is the thing that only man has. So to speak, man is a moral existence that can distinguish good and evil. Therefore, Dasan thinks that man's moral behavior is a result of man's self-will. Furthermore, he thought that the reason why man actualizes moral values is not that he finds goodness inside of him that he was born with but he does good things that are given as possibilities to him. From this thought, Dasan considered that nature is not a man's mind but a result of constant and diligent effort through man's behavior. In conclusion, I think of Korean theology after looking into Heaven by Toigye and Dasan. It is because that we need to find Korean theology by using our own language rather than using western languages. Therefore, I would try to study Korean traditional ideologies and establish Korean style theolog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iii Ⅰ. 서 론 1 A. 연구 목적 1 B. 연구 방법 및 글의 구성 5 Ⅱ. 유교의 天 7 A. 孔子의 天 8 1. 運命天 9 2. 義理天 11 B. 孟子의 天 13 1. 運命天 13 2. 義理天 15 Ⅲ. 退溪와 茶山의 天 사상 18 A. 退溪의 天사상 18 1. 天卽理 19 2. 上帝 의미의 天 24 3. 自然 의미의 天 27 B. 茶山의 天사상 30 1. 理法天비판 31 2. 上帝天 34 1) 上帝天의 의미 34 2) 上帝의 속성 36 IV. 退溪와 茶山의 天人關係 42 A. 退溪의 天人關係 42 1. 天命 43 2. 天道와 人性 47 3. 敬 51 B. 茶山의 天人關係 53 1. 天命 54 2. 人間의 性 56 3. 誠과 愼獨 60 V. 결론: 한국 신학을 위하여 65 참고 문헌 70 ABSTRACT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449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退溪와 茶山의 天사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한국 신학을 위하여-
dc.creator.othernameKIM JAE JIN-
dc.format.page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