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광수-
dc.contributor.author차지은-
dc.creator차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8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8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6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829-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의 행태는 주위 환경과 밀접하게 상호작용을 주고받고 있으며, 도시 공원은 도시 공간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중요한 도시 환경이다. 특히 도시 공원의 분류 중 근린공원과 어린이공원은 거주지의 가까이에서 근린 거주자들의 보건, 휴양과 정서생활의 향상을 위해 계획되는 것으로 현대인들의 여가 생활을 위한 공간이다. 현대 사회의 공간은 점차 복합적이고 다기능적인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고 사람들 역시 어떤 하나의 공간을 상황에 따라 변용하여 사용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과학 기술, 교통, 통신의 발달은 현대 사회를 동시적이고 다층적인 모습으로 바꾸어 놓았고, 도시 공간 역시 변화하였다. 기존의 주거지역에 다른 여러 목적의 공간들이 침투하면서 주거지역 안에서 휴식 공간으로 이용되던 도시 공원은 여러 사람들의 다양한 행위를 담는 공간이 되었고 그 정체성이 변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인간 행태와 환경과의 관계성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 인간의 다양한 행위를 지원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에 대해 알아본 후,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새로운 형태의 근린 공동 시설을 계획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행태 지원성을 갖는 환경은 이용자에게 다양한 행위 가능성을 제공하여 행태유발을 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갖게 되며, 그 가능성이 도시 공원 내에서 이용자들 간에 그리고 이용자와 환경 사이의 관계를 풍부하게 만든다. 이를 통해 공간의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는 도시 공원 공간을 다양한 물리적 환경으로 인간 행위를 지원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구축하고자 한다. 인간 행태를 지원하는 도시 공원의 계획을 위해 다음과 같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도시 공원의 개념과 일반적 사항, 기능, 분류 등에 대해 조사하고 변화하고 있는 도시 공원의 의미와 그 사례를 살펴보았다.둘째, 인간 행태와 물리적인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고 행위 지원을 위한 물리적인 장치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셋째, 도시 공원의 정체성이 변화하여 자생적인 활동이 일어나고 있는 공원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그 주변 환경과 대상지의 물리적 환경을 조사하고 공원 내에서 유발되는 이용자들의 행태를 분석하였다. 넷째, 조사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지에서 일어나는 인간 행태를 뒷받침 할 수 있는 공간을 계획하고 구체화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인간 행태와 환경의 상호 관계성을 반영하여 사용자 중심의 상호작용을 보다 긍정적으로 활성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로써 도시 공원은 새로운 정체성을 지니게 될 것이며 도시 구성원들의 다양한 필요에 부응하는 도시 공간이 될 것이다. 본 연구자는 선정한 대상지의 상황을 반영하여 디자인 작업을 하였으며, 이러한 계획안은 각각의 도시 공원 상황에서 지역적 특성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그 대상지에 맞는 시설로 적용될 때 의의를 갖는다.;Human behavior is closely linked to one's surrounding environments which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the urban park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s to people living within city environments. Within the categories of urban park, the neighborhood park and the children park are particularly planned in the vicinity of housing area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health, recreation and livability of residents. The space of contemporary society has changed to complex and multi-functioned space, and in accordance with this contemporary citizens show a significant character in that they use a single space with various purposes according to respective situations.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system has brought a number of changes to the modern society, as well as today's city environments. Contemporary city has now changed into the simultaneous and multi-layered space. As diverse urban spaces have been permeating into the existing residential district, the urban park which only used to be a space for rest have become an open space which is able to serve for various activities of citizens, resulting in the change of its identity.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for the suggestion of the reconstruction of public neighborhood space appropriate for the contemporary society regarding to physical environments supporting human behaviors, followed by the research on the relation between the human behavior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The environment supporting people's behaviors has the latent possibilities to induce various activities of people, and those possibilities can enrich the relation between users and their surroundings within the urban park. In respect to these concepts, this study intends to reconstruct the urban space that has come to lose its identity into an multi-functioned open space within city which could support citizens' various activities by means of several physical devices. For the suggestion of public facilities providing supports to citizens, the following procedures were taken. First, the basic notions, general conditions, functions and the classification of urban park were examin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change of identity of urban park under the influence of contemporary city space was investigated along with several examples of urban parks. Second, for the preliminary research of the study, existing theori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human behaviors and several cases of the physical settings causing the specific behaviors were examined. Third, through the case of Hong-Ik children's park where various user groups show complex utilizing conditions, the circumstances leading people's diverse activities around the park and the pattern of space-users were analyzed. Fourth,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public space which could be in support of various human activities was proposed. Through these processes, the proposed facilities were intended to be planned in order to make the interaction focused on the space users more plentiful by reflecting the relation between people and their surrounding settings. Thereby the urban park was able to have the new identity and become the principal urban space satisfying the citizens' various needs. The design was proceeded reflecting the specific situations of the selected site. The design proposition as such can be significant when it is applied with reference to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n each individual cas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제 1장. 서론 =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 범위 및 방법 = 2 제 2장. 도시 공원의 개념과 일반적 상황 검토 = 2 2.1. 도시 공원의 개념과 기능 = 2 2.1.1. 도시 공원의 개념 = 3 2.1.2. 도시 공원의 현황 및 기능 = 5 2.2. 도시 환경에 대한 새로운 관점 = 7 2.3. 도시 공원의 위상 변화 = 8 2.3.1. 다중적 활동 상황을 보이는 도시 공원의 사례 = 9 A. 창천 어린이 공원 = 9 B. 노고산 새마을 어린이 놀이터 = 10 C. 홍익 어린이 공원 = 10 제 3장. 도시 공원 디자인의 이론적 배경 고찰 = 11 3.1. 인간 행태와 장이론 = 11 3.1.1. 레빈의 장(Field)이론 = 11 3.1.2. 바커의 행태적 장이론 = 13 3.1.3. 장과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 = 14 A. 개인공간(Personal space) = 15 B. 영역성(Territoriality) = 17 C. 밀집화(Crowding) = 19 D. 프라이버시(Privacy) = 20 3.2. 인간행태와 물리적 장치 = 22 3.2.1. 깁슨의 행태지원성(Affordance) = 22 3.2.2. 인간행태를 지원하는 물적 환경 = 23 A. 이동 행위 = 24 B. 멈추는 행위 = 25 C. 앉는 행위 = 25 3.3. 현대 사회와 불확정성 개념 = 27 3.3.1. 다중심적, 다층적인 현대사회의 특징 = 27 3.3.2. ‘불확정성’의 용어 의미 = 29 3.3.3. 현대건축에서의 불확정성 개념 = 29 3.3.4. 복합적 기능의 건축 = 31 제 4장. 대상지와 이용자 패턴 분석 = 33 4.1. 홍대 지역의 일반적 현황 = 33 4.1.1. 홍대 지역의 장소정체성 형성과 변화 = 33 4.1.2. 홍대 지역의 공간 분석 = 35 4.1.3. 홍대 지역의 특성화된 이벤트 = 36 A. 클럽 데이(Club Day) = 36 B. 홍대 거리미술전 = 37 C. 한국 실험예술제 = 37 D. 프린지 페스티벌 = 38 E. 프리마켓 / 희망시장 = 38 4.2. 홍대 앞 놀이터의 현황과 분석 = 39 4.2.1. 홍대 앞 놀이터의 물리적 현황 = 39 4.2.2. 홍대지역의 핵심 공간으로써의 놀이터 = 40 4.3. 홍대 앞 놀이터의 이용자 현황과 패턴 분석 = 41 4.3.1. 주중 공원 이용자의 패턴 분석 = 41 4.3.2. 주말 공원 이용자의 패턴 분석 = 43 4.3.3. 공원 이용자의 다중적 활동 상황 = 45 제 5장. 디자인 과정 = 47 5.1. 디자인 개념과 전략 = 47 5.1.1. 행위 지원 장치로써의 판 = 47 5.1.2. 판 상부에서의 행위 유발 전략 = 48 A. 레벨 차이로 행위 유발 = 48 B. 프로그램 연장 = 49 5.1.3. 판 내부에서의 행위 지원 전략 = 49 5.1.4. 판 상부와 내부의 소통 전략 = 50 5.2. 디자인 계획 = 51 5.2.1. 프로그램 구성 과정 = 51 A. 프로그램 요소 = 51 B. 프로그램 공간 배치 계획 = 51 5.2.2. 행위 종류와 지원 장치 = 52 5.2.3. 행위 지원 장치의 배치 = 53 A. 판 상부에서의 레벨 계획 = 53 B. 판 내부에서의 지원 장치 배치 계획 = 55 5.2.4. 상부로 돌출되는 프로그램 요소 = 56 5.3. 최종 계획안 = 57 5.3.1. 공간 계획 = 57 5.3.2. 프로그램 공간 세부 계획 = 59 A. 진입로 & 만남의 광장 = 59 B. 프리마켓 사무실 = 60 C. 이벤트 판 & 임대 작업실 = 60 D. 음향 지원실 & 음악연습실 = 61 E. 어린이 놀이방 & 어린이 도서관 = 62 F. 경로당 = 63 E. 진입로 & 소규모 공연장 = 64 제 6장. 결론 = 65 참고문헌 = 67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564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dc.title도시 구성원의 다중적인 활동 상황을 반영한 근린공동시설 재구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홍익 어린이 공원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construction of Neighborhood Public Facilities Reflecting Citizens' Complex Activities : focused on the Case of Hong-Ik Children's Park --
dc.creator.othernameCha, Ji Eun-
dc.format.pageⅹⅰ,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과학기술대학원 건축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과학기술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