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2 Download: 0

제7차 국어과 쓰기 영역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연구

Title
제7차 국어과 쓰기 영역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연구
Authors
장은영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구본관
Abstract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of writing in Korean are analyzed and investigated. Especially, how this curriculum is reflected in the textbooks is examined in detail and a method that the contents of textbooks closely keep steps with ones of the curriculum is suggested. Also, the present thesis provides a material which helps the contents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being embodied in textbooks and taught in school. In Chapter 2, the characteristics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of Korean are summarized and split into two categories, which are the structure and content parts and their details are introduced. The curriculum also has the categories like 'substance,' 'principle,' 'attitude,' and 'reality' and each category includes various subcategories. Particularly, whether these classifications are reasonable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nts in the Korean education and what subcategories a content in a category belong to are investigated. And the comparison of the orders or arrangements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sic and advanced activities in textbooks and their fitness in writing are discussed. In Chapter 3, it is described how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re transformed into the learning objects and activities. Consequently, 9 categories ar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features that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re changed into ones of textbooks. Also, in order to present textbooks of which contents are identical with ones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novative methods are discussed in Chapter 4. The major results of the present thesis are that the researches for improving the writing abilities according to ages or grades and estimating an exact learner's educational level are essential. And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reality' category must be appeared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prevent from occurring a distortion when the educational objects are got across,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should be reflected in textbooks clearly and A-A-A and A-A--A- are used as the best transforming combinations of the contents. When the A-A-A combination is employed in the education of writing Korean, the learning activities in textbooks should always embody both of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learning object of textbook. Especially, in the case that it is difficult to describe a content in a single chapter, the A-A--A-is a remarkable combination.;본 연구는 제7차 국어과 쓰기 영역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구현된 양상을 고찰하여, 교육과정 내용이 교과서에 충실히 반영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쓰기 영역 교육과정 내용이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 내용이 교과서에 구체화되는 과정에 대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다음의 절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Ⅱ장에서는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크게 교육 내용 체계와 교육 내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어과 교육과정 쓰기 영역의 교육 내용 체계와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본질’, ‘원리’, ‘태도’, ‘실제’의 범주명으로 나누어 내용 체계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각 범주에는 하위 영역을 설정하였는데, ‘본질’ 범주는 ‘필요성, 목적, 개념, 방법, 상황, 특성’의 하위 영역을, ‘원리’ 범주는 ‘글씨 쓰기, 내용 생성, 내용 조직, 표현, 고쳐쓰기, 컴퓨터로 글쓰기’의 하위 영역을 ‘태도’ 범주는 ‘동기, 흥미, 습관, 가치’의 하위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 범주화가 적절한 것인지, 각 범주별 교육 내용이 그것이 속한 범주에 적절한 것인지, 또한 하나의 범주 아래에 속한 교육 내용이 어떠한 하위 영역에 속하는 것인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범주의 교육과정 내용이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 배열 순서에 따라 배열되어 있는지를 1학년에서 10학년에 해당하는 모든 교육과정 내용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교육 내용에 제시된 기본 활동과 심화 활동 수준 차이의 적절성 여부를 살펴보았고 학년별로 인지적, 정의적 측면의 내용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교육과정 내용이 교과서에 어떠한 양상으로 구체화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교육과정 내용이 교과서의 학습 목표, 학습 활동으로 변환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교육과정 내용이 교과서에 변환되는 양상을 9가지로 분류하였다. Ⅳ장에서는 국어과 교육 내용이 교과서에 충실히 반영되기 위한 교육과정 개선 과제와 교육과정 내용이 교과서에 반영되는 방식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쓰기 영역 교육과정 내용의 설정, 교육 내용의 단계별 설정, 기본 활동과 심화 활동 사이의 명확한 수준 차이 설정, 인지적 교육 내용과 정의적 교육 내용 사이의 균형을 위해서는 기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즉, 발달 단계에 따른 쓰기 능력을 규정하는 연구와 학습자의 발달 수준을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교육과정 내용의 진술이 구체적이고 명확하여야 교육과정 내용이 교과서에 반영될 때 변형을 줄일 수 있다. 셋째, ‘실제’ 범주에 관련된 교육 내용이 교육과정 내용에 명확하게 드러나야 한다. 넷째, 교육과정 내용을 가장 충실하게 교과서에 반영할 수 있는 유형은 AAA유형과 AA­-A-유형이다. 다섯째, AAA유형으로 교육과정 내용을 반영할 때, 교과서의 학습 활동은 교육과정 내용과 교과서의 학습 목표를 구체적인 활동으로 풀어낸 것이어야 한다. 여섯째, AA-A-유형은 교육과정 내용을 하나의 단원에 담기에 내용이 큰 경우, 하나의 교육과정 내용을 여러 단원에 걸쳐 반영할 때 적절한 유형이다. 그리고 이 유형으로 동일한 교육과정 내용을 둘 이상의 단원으로 구체화할 경우 서로 다른 단원에 같은 교육 내용이 중복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