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숙-
dc.contributor.author장수연-
dc.creator장수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6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7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5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703-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독서 교육은 국어과뿐만 아니라, 모든 교과가 고유의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학습 방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학습 지도 방법이 될 수 있다. 즉 단지 독서 행위 그 자체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로 하여금 교과목별, 관련 단원별로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독서 지도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독서를 통한 교과 학습은, 교과 학습이 지니고 있는 과제 의식 하에서 책을 읽기 때문에 읽기의 목적이 뚜렷한 독서 활동이므로 그 중요성이 크다. 언어적인 측면에서는 국어교과에서, 주제적인 측면에서는 각 교과목에서, 나아가 정보적 측면에서는 문헌정보학의 영역에서 서로 합하는 광대한 영역이 독서 교육의 범주이다. 이렇게 독서가 학습과 연계된다면 독서는 전 교과 학습의 필수적인 과정이 되게 되며,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의미 있는 독서 동기를 가질 수 있다. 의미 있는 독서 동기에 의해서, 지속적인 독서 경험을 하게 된 사람들은 학교 교육 이후에도 자연스럽게 독서 습관을 지니게 될 것이다. 이러한 독서를 통한 독서 교육을 위해 교사는 수업에 적용할 독서 자료를 선정하게 되는데, 이때 ‘학습자의 읽기 능력’은 가장 중요한 독서 자료 선정 기준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독서 자료 선정 과정을 체계화하여 그에 따른 독서 자료를 선정하고, 이 후 국어과 와 타교과 학습을 위한 교과 연계 독서 지도 모형을 구안한 후,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보았다. 그리고, 독서를 통한 교과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검사하여 본 연구자가 선정한 독서 자료의 효용성과 독서를 통한 교과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7차 교육과정에서의 독서교육의 의미와 그에 따른 독서 교육에서의 교과 연계 수업의 의미를 알아보았다. 또한 초등학교 독서 자료의 의의와 독서 자료의 종류와 특징, 초등학교에서 독서 자료의 교육적 활용을 읽기 교육과의 관련 면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독서 교육을 위한 독서 자료의 선정 요건을 형식 및 내용적 요인과 교육과정과의 관련 요인 측면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를 위한 독서 자료 선정 과정을 체계화하고 이에 따라 국어(읽기)과와 사회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한 후, 단원의 특성에 맞고 단원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내용의 독서 자료들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다른 교사들과의 협의를 통해 독서 기준 판정 요건에 따라 최종 독서 자료를 선정하였다. 또한 독서 자료 선정을 통한 교과 연계 독서 지도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국어과와 타 교과의 두 종류로 나누어 구안하였다. 독서를 통한 국어과 수업은 국어 수업에서의 언어활동을 중심으로 하며, 타 교과 수업은 학습 과제 해결 과정에서 배경지식의 확장과 교과내용의 보충 ․ 심화 활동이 중심이 된다. 또한 본 연구자가 구안한 교수-학습 모형에 따라 읽기 교과와 사회과에 따른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그리고 독서를 통한 교과 수업의 적용 후 그 효과를 면담, 학업 성취도 평균 비교, 독서 태도 변화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선정된 독서 자료는 아동의 흥미에 부합하며, 교과 연계 독서 수업은 아동들의 교과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독서 동기를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독서를 통한 교과 수업의 적용에 따른 효과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구안한 학습 모형의 효과와 연구의 한계점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 독서 자료를 선정하여 교과 수업과 연계한 독서 수업을 하기 위한 독서 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한 독서 자료 선정을 통한 교과 학습을 위한 독서 지도의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 교육은 국어과 수업뿐만 아니라 모든 교과 영역에서 학습 능력 신장의 효과를 지닌다. 둘째, 학생들이 폭넓은 독서를 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도서 선정 시 현장성 있는 검증의 과정이 마련되어야 하며, 독서를 통한 교과 수업은 교육과정, 독서 자료, 학생의 분석을 통한 준비된 수업이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과 학습을 위한 독서 지도와 같은 실질적인 과제 중심의 다양한 교육이 필요하다.;Reading education can be an important learning guidance method in the progress of applying diverse learning methods to achieve the unique learning goal of not only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also all other curriculum. In other words, the goal should not be on the reading activity itself, but on the way to solve tasks given to students in each curriculum, related chapters to find a way for guiding reading. Curriculum learning through reading has large priority since it is a reading activity with clear goal of reading since the readers read books under the mind for the task curriculum learning has. The scope of reading education is extremely wide by adding themselves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from linguistic aspect, every curriculum from a theme aspect, and documentary informatics from informatics aspect furthermore. If reading is connected to learning in this way, reading will become a necessary course to the whole curriculum, and students can naturally get good motivation for reading. People who formed a reading habit through good reading motivation will continue to read even after school education. Teachers will have to select reading material to apply on classes for such reading education through reading, and ‘reading ability of educators’ becomes the standard of the most important reading material selection. Therefore this dissertation selects reading materials by systemizing the process of reading material selection, and designed a reading guide model connected to curriculum for learning of Korean Language and other classes and applied it on actual classes. Then the efficiency of curriculum through reading and efficacy of reading material selected by the researcher was observed by studying the response of educators concerning curriculum through reading. Chapter 2 studies the meaning of curriculum connected classes in read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meaning of reading education i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with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dissertation. Also, meaning of reading material in elementary school,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reading material, and educative utilization of reading material in elementary school were studied in the aspect of reading education. Moreover, the selection standards for reading material for reading education was observed by dividing them into form, content factors, and education curriculum related factors. Chapter 3 systemizes reading material selection process for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reading) and social science, and then selected reading materials of content that fi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pter and the chapter goal can approach. And the final reading material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for reading standard judgement through cooperation with other teachers, and designed teaching‐learning model for reading guidance connected to curriculum through reading material selection after dividing them into Korean Language and other subjects. Korean Language class through reading was to be based on linguistic activity in class, and in other subject classes, expansion of background knowledge and supplementation/deepened activity of curriculum through learning task solving process. Also, classes were designed according to reading curriculum and social science according to the teaching‐learning model designed by the researcher, ad applied on third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Then the efficiency of curriculum classes through reading was authenticated through interview, and comparison of average learning achievement and reading attitude change after application. The reading material selected as a result of authentication suits the interest of children, curriculum connected reading classes had positive effect on curriculum learning of children and effective to improve reading motivation. Chapter 4 studies the effect of model designed by the researcher and its limits based on effect analysis according to application of curriculum classes through reading. Also, it searches the direction for reading education to execute curriculum connected classes by selecting reading material at school sites. Chapter 5 makes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nd then suggests education issues. Furthermor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observed for the problems of this dissertation. The educative issues for curriculum connected reading guidance through selection of reading material through this dissertation are; First, reading educa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learning ability in not only Korean Language classes but also all other curriculum classes. Secondly, an environment for diverse reading must be prepared for students. Thirdly, a process of authentication with reality must be prepared for book selection, and curriculum classes through reading must be prepared through curriculum, reading data, and student analysis. Last of all, diverse education based on realistic task must be prepared such as curriculum connected reading guida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연구고찰 2 C.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Ⅱ. 독서교육의 이론적 배경 6 A. 제7차 교육과정과 독서교육 6 1. 추구하는 인간상과 독서 교육 6 2. 읽기 수업과 독서 교육 7 3. 교과 교육과 독서 교육 19 B. 초등학교에서의 독서 자료 및 교육적 활용 21 1. 독서 자료의 의의 21 2. 초등학교 독서 자료의 종류와 특징 23 3. 초등학교 독서 자료의 교육적 활용 26 C. 독서 지도를 위한 독서 자료 선정 요건 27 1. 형식 및 내용적 요인 29 2. 교육과정과의 관련 요인 31 Ⅲ. 독서 지도 교수-학습의 실제 32 A. 독서 지도를 위한 독서 자료의 선정 과정 32 1. 도서 선정의 범위와 기준 32 2. 도서 선정과 실제 교육 32 B. 교과 관련 교수-학습 모형 구안 35 1. 국어 교과 관련 독서 교수 학습 모형 37 2. 타교과 관련 독서 교수-학습 모형 39 C. 독서 지도 교수 학습의 실제 : 읽기와 사회 과목으로의 적용 40 1. 국어과 관련 독서 교수-학습의 실제 40 2. 타교과 관련 독서 교수-학습의 실제 56 D. 독서 지도 교수-학습의 효과 분석 70 1. 면담에 의한 학습자 반응 분석 71 2. 학업성취도 평균 비교 분석 73 3. 독서 태도 변화 설문 분석 74 Ⅳ. 결론 및 제언 76 A. 결론 76 B. 제언 78 참고문헌 80 ABSTRACT 82 부 록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663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교육 독서지도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dc.format.pageⅵ,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