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7 Download: 0

사용성 타당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Title
사용성 타당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Validity of Potal Site Usability Testing
Authors
김진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원용
Abstract
Usability is a term used to denote the ease with which people can employ a particular tool or other human-made object in order to achieve a particular goal. Usability can also refer to the methods of measuring usability and the study of the principles behind an object's perceived efficiency or elegance. Usability is now recognized as an important software quality attribute, earning its place among more traditional attributes such as performance and robustness. Indeed various academic programs focus on usability. Complex computer systems are finding their way into everyday life, and at the same time the market is becoming saturated with competing brands. This has lead to usability becoming more popular and widely recognized in recent years as companies see the benefits of researching and developing their products with user-oriented instead of technology-oriented methods. By understanding and researching the interaction between product and user, the usability expert can also provide insight that is unattainable by traditional company-oriented market research. For example, after observing and interviewing users, the usability expert may identify needed functionality or design flaws that were not anticipated. In the user-centered design paradigm, the product is designed with its intended users in mind at all tim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ich features make web usability stand out from other products or systems and whether validity about procedures of potal site usability testing is proper or not, by investigating big three potal sites and interviewing with usability experts. Researching potal web sites usability methods gives insights on how we can design user-friendly web sites and provide users with full experience satisfaction. Furthermore, in order to improve validity of potal web usability testing, there are four points to consider: sampling, choosing tasks, analyzing problems generating, problem solving.;산업기술과 정보의 발달로 인간욕구의 다원화 및 인간 중시화 현상이 부각되고 제품 혹은 시스템의 생산, 개발의 과정에서도 이러한 추세가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제는 개발 과정에서 디자인의 패러다임이 디자이너 중심에서 사용자 중심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 시스템의 발전과 보급률의 증가로 사용자들의 선택권이 확장되었고, 사용자는 이제 제품이 아무리 좋다 하더라도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고 학습 용이성이 어렵다면 제품의 선택을 유보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하게 되었다. 제품들의 기능은 날로 복잡해지고 이를 사용하는 인간의 인지 능력은 제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들은 이제 같은 품질,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품 혹은 시스템을 선택하는데 있어 자신이 느끼는 제품의 만족도(satisfaction), 유용성(utility), 사용성(usability) 등에 기준을 두어 제품을 선택한다. 이러한 사용성 개념의 발전, 확장과 더불어 사용성을 측정하는 방법들과 다양한 도구들이 등장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업계와 학계에서는 사용성 평가를 위해 많은 방법론과 평가 도구들을 제시하고 있고 또한 현재 사용중이다. 이러한 일련의 사용성의 개념화 작업들과 이를 기반으로 한 측정 도구들의 등장과 적용은 현재는 주로, 웹사이트와 정보가전 제품에 한정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 중 사용성 개념에 대한 체계적 이론화, 다양한 방법론들, 정교화된 가이드 라인은 웹 사이트 평가에서 활발히 이루어져 오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추세들은 인터넷 사용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웹이 사용자의 환경에 빠른 속도로 대중화, 보편화되면서 수많은 사이트들이 등장하게 된 배경에 기인한다 할 수 있다. 전반적인 사용성의 구성요소로써 지켜져야 하는 사용성의 가이드 라인이나 속성의 체크리스트는 존재하고 있기는 하지만, 사용성을 이루고 있는 추상적 개념들을 지원하기 위한 하위 범주로서의 사용성 측정 항목들이나 변수들이 평가 방법과 절차에 있어서 항상 동일하지는 않다. 웹사이트의 구축 목적에 따라 각각의 웹 사이트마다 고려되어야 하는 사용성의 속성들이 다르게 적용된다. 이러한 이유들로 절대적이며 어디에나 적용 가능한 사용성의 개념을 정의하기는 어렵다 할 수 있다. 그러나 보편적으로 지켜져야 할 가이드라인 혹은 사용성의 구성 요소들은 학자들의 연구와 업계에서 전문가들에 의해 경험적으로 축적된 기술들에 의해 존재하고 있다. 사용성에 대한 개념 확장과 사용성 평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학계와 업계에서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기존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여러 방법들이 실제로 사용성의 속성들을 타당도(validity)있게 검증해 내고 있는가에 대하여서는 제대로 밝혀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웹 사이트에서 사용성 평가가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포털 사이트의 사용성 평가에서 쓰여지고 있는 변수들이 제대로 측정되고 있는가의 타당도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보고자 한다. 포털 사이트 사용성 개념 정의 및 평가 도구로써의 타당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위하여 먼저, 국내의 대표적 포털 사이트 3사를 선정하여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여 현재 쓰고 있는 사용성 평가 방법에 대해 조사하여 보았다. 조사 결과 나온 사용성 평가 방법들 중 전문가 중심의 평가법인 발견평가법과 사용자 중심의 평가법인 사용성 테스트를 선정하여 이 방법들이 측정도구로써 실제로 타당도를 가지는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털 사이트에서의 사용성 개념은 제품 혹은 시스템에서 의미하는 사용성과는 다른 속성이 존재하였는데 이러한 속성의 차이는 웹이라는 매체가 가지는 인터페이스의 성격과 사용자와 인터페이스 간의 상호작용 (interaction)에 기인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포털 사이트에서 의미하는 사용성은 궁극적으로 사용자의 경험만족을 위한 하부개념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실제로 쓰이고 있는 사용성 평가 방법들을 조사하여 본 결과, 실제 업계에서는 특정한 사용방법을 정해 일방적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서비스의 목적과 성격에 따라 달리 유연성있게 적용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한 가지 방법만을 고수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한계점을 감안하여 상황에 따라 두 세가지를 병행하여 쓰기도 하고, 사용성 평가를 시행하지 않는 서비스들도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대표적인 사용성 평가 방법으로는 실사용자를 실험실에서 관찰하여 연구하는 사용성 테스트로, 사용성 테스트의 절차에 있어 표집문제 : 참가자 선정, 가설의 설정 : 태스크 선정, 자료의 해석 및 문제점 개선의 절차에 있어서 이론적으로 지켜져야 할 평가 기준에 있어 타당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포털 사이트에서 적용하고 있는 사용성 평가 방법들이 주로 수행도 측면에 대한 사용성 평가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평가 방법들은 인터넷 사용환경의 발전에 따라 수행도 측면의 많은 부분이 이전 환경에 비하여 많이 향상되고 있으므로, 웹사이트의 사용편의성에서 사용자의 감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따라서 감성측면에 대한 웹 디자인 사용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보다 종합적인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 방법론을 개발하는 연구가 수행 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