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4 Download: 0

모바일- 텍스트를 이용한 Urban Inter-Space 표현 연구

Title
모바일- 텍스트를 이용한 Urban Inter-Space 표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Urban Inter-Space design using Mobile-text: TypeSpace
Authors
김보영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호
Abstract
Communities are reproduced and social relationships are created in various ways in urban spaces. Along with these, newly emerging communication media, such as wireless network, locative media, and ubiquitus computing are changing the way we perceive things and how we behave socially in the urban environment. This study views the urban environment as the social and recreational space, a communal domain, an endlessly changing canvas, or an invisible network with many layers and it aims to take a new approach to social relationships in the city as well as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Specifically, the mobile phone, which became a necessity in the fast-paced city, and laser lights were used to achieve these goals. First, the concept and meaning of space and city was examined. Then the concept of Inter-Space was redifined as the alternative space for an industrialized metropolis and the space with edge. Also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phone as a communicational media were considered. On the basis of all these studies, I combined an mobile medium, using mobile text transmission system through SMS, and laser lights to create an interactive piece. Through the interactive process between messages produced by mobile phones and streets where mobile phones physically exist, the boundary between cyber space and physical space has been blurred and a new space has been produced. The integration of physical space and cyber space is not only an attempt to recover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ime, space, and self in the past, but also the creation of a new inter-space, which reflects and organizes ever-changing urban environments. 'TypeSpace' suggested the mobile phone as a communication medium that interconnected between cyber space and physical space and experimented with one of its function, SMS, to create a new inter-space. If I provided aesthetic desire and made positive influences on spectators living in the fragmented and bleak city through 'TypeSpace', the ultimate goal of my piece has been fulfilled.;도시는 커뮤니티의 재생과 사회적 교류가 일어날 수 있는 공간이다. 이러한 교류는 새롭게 등장한 무선 네트워크, 위치기반 기술, 유비쿼터스 컴퓨팅 등의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함께 우리의 인식작용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를 활용하는 미디어 아트는 미술관과 갤러리의 벽을 넘어 도시라는 광범위한 영역으로 그 배경을 확장시키고 있다. 따라서 오늘의 미디어 아트는 테크놀로지라는 매체 시스템 그 자체에 한정 되거나 미적 효과만을 양산하는 것에서 벗어나, 인간과 사회에 대한 새로운 문제 제기와 관람객과의 상호작용 하는 소통의 기능도 크다. 본 연구는 도시의 경계공간인 골목이 창출하는 물리적 공간과 모바일 미디어에 의한 사이버 공간이 이루어내는 새로운 공간의 존재를 탐색하는 것이다. 새로운 공간 모색은 개개인의 필수품이 되어버린 모바일 폰의 SMS(Short Messaging Service) 문자 메시지를 컴퓨터 프로그래밍한 레이저를 통한 미디어 아트로 표현된다. 이와 같은 미디어 아트를 통해 삶이 바쁜 도시에서 사람들에게 새로운 공간을 유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간, 모바일 미디어, 미디어 아트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이 요구되는 본 논문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제 II장의 1절에서는, 넓은 의미의 공간과 도시의 개념을 설명한다. 산업화에 의해, 거대해진 도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공간 개념의 등장이 필요하다. 사이 공간(Inter-Space)은 물리적 공간과 사이버 공간의 결합인 동시에 이곳과 저곳을 경험할 수 있는 장소(place)이다. 2절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서의 모바일 폰의 특성과 도시와의 관련성을 언급하였다. 3절에서는, 모바일 미디어의 콘텐츠와 미디어를 이용하는 예술작품과의 상관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4절에서는, 공적 장소에서 자행되었던 모바일 미디어 아트들의 사례를 찾아보았다. 제 III장에서는 이러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공간, 모바일 미디어의 메시지 서비스, 그리고 빛(레이저)의 요소를 결합하는 형태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서의 모바일 폰을 이용한 메시지의 의미와 골목이 가지는 물리적인 속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에 준해 골목이 가지는 경계공간의 의미를 사이버스페이스와 물리 공간의 경계로 확대 적용하였다. 이것은 파편화 되어가는 도시조직들의 관계를 재설정해줌으로써, 단순히 과거의 유기성을 회복하는 것이 아니라, 시시각각으로 급변하는 도시의 흐름을 원활히 네트워크화하고 담아낼 수 있는 공공영역의 장소성을 재생시킬 수 있을 것이라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