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3 Download: 0

MEAW의 gable bend 양 증가에 따른 치아이동 양상의 입체적 비교연구

Title
MEAW의 gable bend 양 증가에 따른 치아이동 양상의 입체적 비교연구
Other Titles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teeth movement in the use of MEAW with the different gable bend
Authors
차가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교정치의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윤식
Abstract
치축개선을 위해 임상적으로 많이 사용해온 Multiloop Edgewise Arch Wire (MEAW)는 호선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디자인으로 작고 지속적인 교정력을 얻을 수 있고 발휘되는 힘도 다양하다. 이제까지 MEAW의 역학적 해석을 위해 다각적인 연구들이 이루어져왔으나 각 치아의 교두부터 치근까지 전체적인 치아이동 양상을 한 눈에 나타내고 이해시키기는 힘들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MEAW의 gable bend의 양을 증가시킬 때 나타나는 치아이동 양상을 입체적으로 나타내보고저 함이다. 연구방법은 치아이동 시뮬레이션 장치인 Calorific Machine^(ⓡ)을 이용하여 상악치열을 배열하고, 각각 5°와 10°의 gable bend를 부여한 MEAW를 장착시킨 후 이동시켰다. 치아이동 전과 이동 후의 실험모형은 1mm 단위의 3차원 CT로 촬영되었고 이를 V-works 4.0™를 이용하여 3차원 데이터로 변환시켰다. 개개의 치아모형의 협설측교두에 reference marker를 삽입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Rapidform 2004™으로 중첩하여 치아이동방향과 이동량을 계측하였다. 치아이동방향은 X축(교합면), Y축(관상면), Z축(시상면)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같은 조건에서 3회 반복하여 실험하였으며 3개의 데이터의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제1대구치에서 gable bend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치아의 협측이동이 커졌으며 관상면에서 보았을 때 제1대구치의 협설측근심교두는 5°에서는 압입되었고, 10°에서는 정출되었다. 10°에서 근심교두가 정출된 것은 gable bend의 양이 커지면서 치근의 근심경사량이 커지고 따라서 근심교두가 하방으로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시상면에서 보았을 때 제1대구치는 약간 근심 이동하였고 치근첨의 근심 이동량이 교두의 근심 이동량 보다 더 컸다. 제2대구치 관상면에서 보았을 때 교두는 압입되었으나 그 정도는 5°가 10°보다 뚜렷하였다. 이는 10°에서는 치근의 근심경사가 많이 일어남에 따라 실질적인 압입량은 적어진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제1대구치보다 제2대구치에서 치아의 압입량과 치근의 근심 경사량이 크게 나타났다. 시상면에서 보았을 때 교두는 원심 이동양상을 보였고, 치근첨은 근심 이동양상을 보였다. 치근첨의 전방 이동 양상은 5°보다 10°에서 더 뚜렷했다. 5°와 10°모두 토오크의 영향은 미비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teeth movement in the use of MEAW with the different gable bends. The maxillary dentition was arranged using the Calorific Machine^(ⓡ), the simulating device for tooth movement, and teeth movement was performed after application of the MEAW with the 5°and 10°gable bend three times. CT(computed tomography)images were taken before and after teeth movement in each 1mm sectioned layer, which was transformed into three dimentional data using V-works 4.0™ and then superimposed using Rapidform 2004™ for measurement of the direction and amount of teeth move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three dimensional changes of teeth movement have been verified by the use of the Calorific Machine^(ⓡ) in this study. 2. Mesial tipping of roots was found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molars with the greater amount in 5°gable bend than 10°gable bend, and on the second molar than the first molar. 3. MEAW with 5°gable bend produced both intrusion and mesial tipping of roots on the first molar, while MEAW with 10° gable bend produced both greater mesial tipping of roots and extrusion of mesial cusps. 4.Torquing effect of MEAW was not significant irrespective of the amount of gable ben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교정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