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창원-
dc.contributor.author학미-
dc.creator학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4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7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5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738-
dc.description.abstract발음을 정확하게 하는 것은 언어를 정상적으로 사용하고 의사소통을 잘 하기 위한 선결조건이다. 본고는 실험 음성학적으로 중국어와 한국어의 단모음을 비교ㆍ분석하여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한국어 발음 교육의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Ⅰ장에서는 지금까지 이루어져 온 한국어 단모음 체계에 대한 논의, 중국어 단모음 체계에 대한 논의,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 체계를 비교 연구한 논의와 음향 음성학적으로 연구한 논의를 살펴보았고 본고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실험 음성학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중국어 단모음 [ i ], Ï[ ? ], Ï[ ? ], ü[ y ], a[ α ], e[ γ ], u[ u ], o[ o ], er[ ? ] 9개와 한국어 단모음 /ㅣ/, /ㅔ/, /ㅐ/, /ㅡ/, /ㅏ/, /ㅓ/, /ㅜ/, /ㅗ/, /ㅚ/, /ㅟ/ 10개를 실험 대상으로, 두 언어의 단모음 실험 음성학적인 연구를 하였다. 두 언어의 단모음 포먼트 값을 측정하여 포먼트 배치도를 만들었다. 실험 결과에 대하여 중국어와 한국어 단모음의 발음 특징과 이전 연구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Ⅳ장에서는 먼저 한국어와 중국어 단모음의 제1포먼트(F1)와 제2포먼트(F2)의 값을 대조하였다. 두 언어에 있어서 같은 소리로 처리할 수 있는 단모음은 한국어 /위/와 중국어의 [ y ]이다. /어/와 [ γ ]도 마찬가지다. 두 대립쌍의 중국어 F1과 F2의 값은 모두 한국어보다 조금 낮다고 볼 수 있다. F1과 F2 둘 중 하나의 포먼트가 비슷하고 다른 한 포먼트는 차이가 있을 경우 비슷한 소리로 한국어 /우/와 중국어[ u ], 한국어 /이/와 중국어 [ i ]가 그러하다. 이 두 대립쌍의 F1 값은 거의 똑같고, F2 값은 비교적 큰 차이를 볼 수 있는데 한국어 /우/의 값은 중국어 [ u ]보다 훨씬 더 높은 반면에 한국어 /이/는 중국어 [ i ]의 F2 값보다 훨씬 더 짧다. 한국어 /으/는 중국어 [ ? ], [ ? ] 와 각 두 대립쌍을 구성한 것으로 처리한다. 나머지 두 대립쌍 /아/와 [ ? ] 및 /오/와 [ o ]의 F1, F2 포먼트 값은 서로 불규칙적인 차이가 나타난다. 중국어 [ α ]는 한국어 /아/보다 조음할 때 개구도가 더 크고 조음점이 조금 뒤로 간다. 중국어 [ o ]는 한국어 /오/보다 개구도가 더 크고 조음점이 조금 앞으로 갈 것이다. 그 다음에 대조분석의 기초 상에서 중국어와 한국어의 유사한 발음을 전설모음, 중설모음, 후설모음으로 나누어서 비교․분석을 하였다. Ⅴ장은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의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이 장에서는 먼저 앞장에서 얻은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실제 발음 교육할 때 학습장들에게 한국어 조음 방법을 모색하고 논의하고자 하였다. 발음 교육의 중점을 더 잘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교육시킬 수 있기 위해서 한국에 있는 중국인 학생들에게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다음에 실험을 통해서 얻은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어떻게 발음해야 하는 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한국어 발음을 교육할 때 학생들에게 정확한 한국어 발음 방법을 모음별로 각각 설명하였다. 한국어와 중국어 단모음을 발음하는 차이를 더 분명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혀의 조음 위치도를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Ⅵ장은 결론으로서 이상의 논의들을 종합하고 요약하였다.;Proper pronunciation is the prerequisite of accurately using language and expressing ideas. This paper trie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ingle vowels of the Chinese and Korean language and explore an effective way of how to master Korean pronunciation for the Chinese learners through experimental phonetic analysis. In Chapter Ⅰ, we elaborate the objective and scope of the study of this paper, and recall the study of the Korean single vowel system, the Chinese single vowel system, the comparative studies on both of them, especially the vanguard phonetic study up till now so as to exhibit the direction in which this paper is going to proceed. The main body divides four parts: experiments, the analysis, the comparative analysis, and their applications to the language teaching. In Chapter Ⅱ,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experimental phonetic analysis are displayed. In Chapter Ⅲ we have experiments with the vowels of the two languages: nine from the Chinese single vowels (i. e. [ i ], Ï[ ? ], Ï[ ? ], ü[ y ], a[ α ], e[ γ ], u[ u ], o[ o ], er[ ? ]) and ten from the Korean ones (i.e. /ㅣ/, /ㅔ/, /ㅐ/, /ㅡ/, /ㅏ/, /ㅓ/, /ㅜ/, /ㅗ/, /ㅚ/, /ㅟ/). After measuring the formants of all the single vowels in the two languages, we make a formant chart, and compare our resul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ngle vowels in the two languages with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In Chapter Ⅳ, we firstly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first and the second formants between the Korean single vowels and the Chinese ones. The result is summed up as follows: (1) Korean /위/ and Chinese [y] are the same sound, so are /어/ and [ γ ]. In case of two contrast pairs, the first and the second formants of Chinese single vowels are all lower than those of Korean. (2) When it comes to the case where either the first or the second formants are similar but the others are not, the two vowels sound alike, such as the Korean /우/ and Chinese [u] pair, and the Korean /이/ and Chinese [i] pair. In both of the cases, the first formants are nearly the same, but the second ones provide a relatively sharp contrast. We get a much higher second formant value in Korean /우/ than in Chinese [u], while obtaining a shorter second formant in Korean /이/ than in Chinese [i]. (3) Korean /으/ and Chinese Ï[ ? ] or Ï[ ? ] can be grouped as the contrast pairs. (4) In the two remaining contrast pairs (i. e./아/ and[ɑ], /오/ and [o]), irregularities are observed of the first and the second formants. When pronouncing Chinese [γ], the mouth is more open, and the articulation takes place more backwards than Korean /아/. Chinese [o] is likely to be pronounced with the mouth more open, and a little more forwards than Korean /오/. Next, on the basis of the contrast analysis, we divide the similar vowels of the two languages into three traditional categories (i. e. front, central, and back vowels), and compare the categories. As a result of the contrast analysis, the acoustic parameters of single vowels in the Korean and the Chinese languages do not generally show many differences. This leads us to the conclusion that in one language single vowel system there are few vowels totally new to the other vowel system, and therefore few Korean vowels are hard for Chinese learners to acquire, and the vice versa. In Chapter Ⅴ, we try to apply our results to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main points of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and educate Chinese learners more effectively, we survey 77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to find out what are difficult for them to pronounce among Korean vowels. Under the discussion of the outcome, we suggest the ways how the Chinese learners should pronounce Korean single vowels, and supply the exact pronunciations of Korean single vowels and the ways to pronounce them, vowel by vowel. To make better distinctions between the articulations of Korean and Chinese single vowels, we make a figure of the places of articulation. As elaborated at the beginning of the paper, we expect this paper to be made good use of in the classrooms as a primary resource for teaching Chi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and be helpful to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The phonetic analysis of this paper is based on Chinese learners from north China but not southern China. Acoustic phonetic studies to be done in the future will hopefully lay emphasis on Chinese learners from the Southern areas, for their dialects are very distinct from the Northern standard Chinese especially in sounds. Further studies which will examine the corresponding phonemes of Southern Chinese dialects to Korean ones will allow teachers to teach the Korean language more effectively to the Chinese learners who speak various kinds of Chinese dialects.;正确地发音是正常使用语言与表达意思的先决条件。本文的研究目的在于,运用实验语音学的研究手段,通过汉语与韩语的单元音之间的比较分析,为学习韩国语的中国人谋求最有效的韩国语发音学习法。 第一章序论,阐明了本论文的研究目的和范围,回顾了迄今为止已有的关于韩国语元音体系、汉语元音体系、两种语言元音之间的比较研究,以及语音学方面的先行研究,揭示了本论文所研究的方向。 本论包括语音实验、结果分析、比较分析和发音教育四部分。 第二章阐述了实验语音学研究的理论背景。 第三章以汉语单元音 [ i ], Ï[ ? ], Ï[ ? ], ü[ y ], a[ α ], e[ γ ], u[ u ], o[ o ], er[ ? ] 和韩语单元音 /ㅣ/, /ㅔ/, /ㅐ/, /ㅡ/, /ㅏ/, /ㅓ/, /ㅜ/, /ㅗ/, /ㅚ/, /ㅟ/ 为对象,通过语音实验分析出两种语言的单元音的特性,测定了各元音的共振峰数值,画出了共振峰的分布图。根据实验结果分析了汉语与韩国语单元音的语音特征,并和以往论文的研究结果作了比较。 在第四章中,首先对照分析了汉语和韩国语单元音的第一共振峰与第二共振峰的值。两种语言中几乎可以认为是相同发音的韩国语 /위/和汉语的[ y ],韩国语/어/和汉语的[ γ ]。两组合中,汉语的 F1(第一共振峰)与 F2(第二共振峰)值都比韩国语稍微小一些。 F1和F2种一个值相似另一个值有一点差异的是韩语的/우/和汉语[ u ],韩语/이/和汉语[ i ]。韩语的/우/和汉语[ u ]的F1的值相同,但韩语的/우/比汉语[ u ]的F2值高许多,相反韩语/이/的F2值比汉语[ i ]小许多。韩语/으/和汉语的[ ? ]与[ ? ],分别构成两对组合。另外, /아/和[ α ]与/오/和[ o ]的F1、 F2值呈现出不规则差异,汉语[a]的发音比韩语/아/的开口度大,舌位也较靠后。汉语[ o ]比韩语/오/的开口度大,舌位较靠前。 之后,在对照分析的基础上,按前元音、中元音、后元音的类别,分别比较了韩语和汉语间相似单元音的发音。两种语言中互无对应的单元音很少,由此可知,中国人在学习韩语的发音时,难发的音不是非常多。 第五章是在韩国语发音教育上的应用。旨在利用前一章分析出的结果,摸索在实际发音中,中国人学习者应掌握的发音方法。为了更好地把握发音教育的重点,首先对在韩国的77名中国留学生作了问卷调查,之后,将此结果与实验结果结合在一起,按元音别分析说明了各韩语单元音的发音方法,为了更好地表明两种语言某些元音的差异,还根据过去研究中的汉语X光图片画出了韩语发音的舌位图。 如在研究目的中已经阐明的一样,希望本研究论文成为中国人韩语发音教育过程中的有用资料,并能对形成更科学的发音教育体系起到帮助作用。 本论文的语音实验是以土生土长在北方官话区的中国人学习者为实验对象的,如果想对中国各南方方言区的学习者起到更有效更快捷的韩国语发音教育效果,应该适当扩大实验对象范围,并有针对性地根据不同方言--尤其是南部方言的语音特征和韩国语之间相对应音素进行分类比较,相信能达到更好地教学效果。-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대상 및 방법 = 2 C. 선행 연구 = 3 Ⅱ. 실험 음성학의 이론적 배경 = 11 Ⅲ. 음향 음성학적 실험 및 결과 = 14 A. 음성 실험 = 14 1. 실험 목적과 절차 = 14 2. 실험대상의 선정 = 15 3. 실험 자료의 작성 = 16 4. 녹음 = 18 5. 음향분석 = 18 B. 음성 실험의 결과 및 분석 = 19 1. 중국어 단모음의 실험결과 = 19 2. 한국어 단모음의 실험결과 = 22 Ⅳ. 한국어와 중국어 단모음의 비교분석 = 27 A. 한국어와 중국어 단모음 포먼트의 대조 = 27 B. 한국어와 중국어 유사한 단모음의 비교분석 = 30 Ⅴ.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의 활용방안 = 46 A. 설문 조사 = 46 B. 발음 지도 방법 = 52 Ⅵ. 결론 = 58 <참고문헌> = 60 <부록> = 65 ABSTRACT = 69 中文提要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311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어와 중국어의 단모음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실험음성학적으로-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f the Chinese and Korean Monophthong Based on Experimental Phonetic Analysis-
dc.creator.othernameHao, Wei-
dc.format.pagevi,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