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은봉-
dc.contributor.author김수경-
dc.creator김수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4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0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5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060-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see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in Korean rural society in 1970s when Saemaul Undong(Movement) was launched by authoritarian government for the modernization in an agricultural district. This paper focuses on Saemaul Undong in two villages of Cheorwon , Kangwon Province or Sagok2-ri and Guntan1-ri in order to provide actual evidence. Based on the interviews of two towns’ then Saemaul Leaders and the information on Saemaul Undong of those areas during the 1970s, this research analyzes people’s attitudes, the way of the Movement and the achievement of the Movement. In addition, this paper emphasizes on some changes in political and economic areas of the two villages for about 8 years, comparing to before and after the movement being implemented. The existing theses on the Saemaul Undong are to assess the necessity and effect of it based on the successful, fruitful results and meaning of the movement. Furthermore, even though there are various cases throughout this country, comprehensive research have been mostly conducted so far. Therefore, this thesis illuminates how the Movement was propelled in the rural areas, why differences occurred in two villages and what kind of impacts on farming society were brought by the Movement. Each government of the 1950s and early 1960s introduced various agricultural policies to root and establish their political bases. Given the fact that pre-modernization era in agricultural areas, it was most of the population who engaged in a farming sector. So, it was the main factor that the government had a full support from farmers in order to grasp the political power. There are two examples which played active roles in an effort to gain popular support : agricultural reforming plans, led by American military authorities and President Lee Seung Man administration, and ‘measures to stop high interest rates on farmers’ conducted by President Park Jung Hee’s military regime. However, in reality, they were not so much helpful to a farming sector as expected due to political interests and a lack of national finances which was supposed to go to reforming plans. As a result, people engaged in agriculture still had to face vicious circles in terms of poverty despite nation-wide agricultural reforming programs. The Third Republic President Park Jung Hee tried to recover his illegitimate regime by making a splendid economic success. Although rural areas were his political base, they were not included in government-led first and second economic development packages. The intensive investments in manufactures accomplished the high-speed economic development during the 1960s and caused rural areas to make a slow growth relatively. President Park implemented, in the late 1960s, ‘The Policy of The High Price in Rice’ in order to raise the income level of a farm household. But it was not an appropriate method to address deeply rooted problems like economic losses of farmers and economic depressions in agriculture sector caused by long- established low price policy in crops. That’s because negative effects from the 1960-economic development started to emerge such as the wide income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communities, the massive movements from rural toward urban areas as well as urban problems. Saemaul Undong was put in force to solve the agricultural problems in terms of economy led by excepting rural growth from the economic development schedules. The Movement was spread rapidly all the rural communities throughout the nation in 1972 when the Yusin Regime or President Park’s administration came into power. It was pushed ahead, depending on the government’s effective administrative organized systems. Its driving force was farmers’ labor-force provided for free. At the early stage of the Movement, top priority was establishing infrastructure for high productivity like widening the town entrance, building a farm road, setting up The Community Town Hall and reforming housing. From the middle of the 1970s, the high income level was considered to be the main purpose. This thesis intends to broad the research scales based on case studies in a neighboring area of The Truce Line. It has found Saemaul Undong was put in place in two villages under the auspice of the residents. Two truce line-adjacent towns, Cheorwon-gun Sagok2-ri and Guntan1-ri showed differences in the way of the Movement’s process because of the their own different geographic conditions. Sagok2-ri was a Civilian control line village, artificially built by the government’s economic development projects in 1971. Saemaul Undong there was begun at the same time town’s creation. Poor living conditions made the dwellers meet the demands for the Movement and fully participate in the Campaign. In addition, it was easy to provide manpower free of charge thanks to the large number of younger population at the age of 20, 30s among the inhabitants. On the other hand, Guntan1-ri was a naturally-born and typical farming village, composed of a variety of generations. There was no objection to Saemaul Undong itself, though, each household selectively took part in different cases of the Movement where they coincided with their own personal economic interest. There were conflicts between the residents during the process, but it was selected as a role model in terms of its results thanks to the community’s Saemaul Undong leader’s every effort. Even though the case evidence for the research was not so much out there, it finds that Saemaul Undong has brought changes to the rural areas both in an indirect and in a direct ways. Each village had autonomy to administrate the Campaign. Furthermore, the Movement’s different outcomes have resulted from the every town’s unique system, even though they were located in a same district. Commonly, at the early stage, it aimed to improve the farming area’s poor living standards and environments. In the case of Sagok2-ri, the residents’ full supports were driving force to upgrade their income levels. However, in Guntan1-ri, its place was just to make the living conditions better steadily and continuously until the end of 1970s. They have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in the stages of Saemaul Undong . Firstly, it led the dwell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cess. Secondly, the residents could express their opinion to the government through the town meetings. Thirdly, newly-elected leaders, called Saemaul Undong leaders were main actors who are at the center of the course. Although they took the helm just within the Saemaul Undong project, their capacities resulted in various consequences of the Movement under the autonomy of the town unit. Apart from other changes, it altered the appearances of the rural communities. It came to build new roads, convert old houses to modernized one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Saemaul Undong has drawn the actual increase in the economic incomes. However, development in the repairing facilities in it played a key role in going up in the crop productivity. Therefore, it is fair to say that Saemaul Undo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gricultural economy to some extent.;이 논문은 1970년대 권위주의 유신체제 하에서 농촌근대화를 목적으로 추진된 새마을운동이 한국 농촌사회에 어떠한 정치적 경제적 변화를 초래하였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실증적인 제시를 위해 강원도 철원군의 두 마을, 근남면 사곡2리와 갈말면 군탄1리에서 진행되었던 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본다. 1970년대 당시 두 마을의 새마을지도자의 인터뷰와 새마을운동 기록 자료를 토대로 새마을운동 사업의 전개과정에서 나타난 두 마을 주민들의 참여태도, 사업추진 방식과 사업실적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약 8년 동안 연구지역에서 농촌새마을운동 사업이 추진된 결과, 새마을운동 직전의 두 마을의 정치적 경제적 변화가 나타났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새마을운동에 관한 기존 연구는 주로 새마을운동의 성공적인 성과와 의의를 중심으로 새마을운동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한 평가 위주였다. 또한, 새마을운동이 전국적으로 실시되었던 만큼 다양한 사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거시적인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새마을운동이 얼마만큼 성공적이었는지의 논의에서 벗어나 기존의 연구에서 간과하였던 사례연구를 통해 새마을운동이 농촌마을에서 어떠한 역동성에 의해 추진되었으며, 두 마을에서 새마을운동의 전개에 상이점이 나타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지, 그리고 새마을운동 농촌사회에 가져온 변화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1950년대-1960년대 초기에 각 정권은 정치적 지지기반의 공고화를 위해 다양한 농업정책을 내놓았다. 본격적인 산업화가 진행되기 이전이었던 만큼, 전체 인구 가운데 농민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절대다수였다. 따라서 농촌지역에서의 정치적 지지율이 집권의 승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미군정에서부터 이승만 정권에 걸쳐 단행된 농지개혁, 군사정권 시기에 실시된 농가고리채정리 등은 개혁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러한 농업정책들이 정치적 이해관계와 해당 정책에 대한 재정 부족을 이유로 농가경제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한 채 종결되었다. 따라서 농민들은 여전히 범국가적인 정책의 마련에도 불구하고 빈곤의 악순환에 봉착하게 되었다. 제3공화국의 대통령에 당선된 박정희는 태생적 정통성의 결여를 경제발전의 성과를 통해 만회하려고 하였다. 박정희 대통령의 정치적 지지기반은 농촌지역에 있었으나, 국가주도의 1,2차 경제개발정책에서 농업부문은 발전의 논의에서 소외되었다. 1960년대 급속한 경제성장은 제조업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를 통해 이루어졌고, 상대적으로 농촌에 대한 투자와 농촌경제의 성장은 더디게 되었다. 박정희 대통령은 1960년대 후반 농가소득 향상을 위한 대책으로 고미가정책 실시하였다. 그러나 장기간의 저곡가정책에 의한 농민들의 경제적 손실과 침체상태의 농촌경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는 방안은 아니었다. 이미 이 시기는 도농격차와 급격한 이농, 도시문제의 심화로 대표되는 1960년대 발전의 역기능이 나타나고 있었기 때문이다. 새마을운동은 바로 이와 같은 경제성장 과정에서 배제되어 경제적으로 도태되어 있던 농촌경제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등장하였다. 새마을운동은 1972년의 유신체제 전환과 맞물려 전국적으로 일사불란하게 농촌사회 곳곳에 파고들었다. 새마을운동은 국가의 효율적인 행정조직체계를 바탕으로 추진되었다. 새마을운동의 원동력은 농민들이 무상으로 제공한 노동력에 있었다. 새마을운동의 초기 새마을운동은 마을 진입로 확장, 농로개설, 마을회관 건립, 주택개량 등과 같은 생산기반조성사업에 집중되었다. 그리고 1970년대 중반부터는 소득증대사업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휴전선인접지역의 사례연구를 통해 공간적인 연구범위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새마을운동의 일반적인 전개 즉, 마을주민들 간에 적극적인 협조 아래에서 새마을운동이 진행되었는지를 이 두 마을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휴전선에 인접한 두 마을, 철원군 근남면 사곡2리와 갈말면 군탄1리의 새마을운동 전개양상은 마을의 입지조건 차이로 인해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다. 사곡2리는 1971년, 정부 정책에 의해 입주가 시작된 민통선 마을이었다. 이 마을은 마을의 형성과 거의 동시에 새마을운동이 시작되었다. 기본적인 생활기반이 취약하였던 만큼 새마을운동과 주민들의 필요가 상충하여 새마을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이 마을의 입주민들은 20 ,30대의 젊은층이 많았기 때문에 새마을운동에 필요한 무상 노동력의 제공이 용이하였다. 반면에, 군탄1리는 자연부락 마을로 다양한 연령대로 구성된 전형적인 농촌마을이었다. 새마을운동 자체에 대한 반대는 없었지만, 마을 주민들은 개별 농가의 경제적 이익에 부합하는 사업에 선택적으로 참여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새마을운동 사업 전개에서 마을 내의 갈등도 적지 않았지만, 새마을지도자의 헌신적인 노력의 결과 새마을 우수마을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사례연구의 케이스가 협소하긴 하지만, 이 연구를 통해서 새마을운동이 직 간접적으로 농촌사회에 가져온 변화를 찾을 수 있었다. 새마을운동은 마을 단위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동일 지역에서도 마을 구성의 상이한 조건적 차이로 인해 새마을운동의 결과도 다르게 나타났다. 공통적으로 초기 새마을운동은 농촌의 낙후된 생활환경 개선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사곡2리의 경우는 마을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소득증대 사업도 시도되었다. 그러나 군탄1리의 경우는 1970년대 말까지 생활환경 개선 운동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사업이 진행되었다. 비록, 두 마을의 새마을운동이 진행과정에서 상이한 점이 많았지만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새마을운동은 국가정책의 집행에 농촌 주민들을 직접 참여의 주체로 만들었다. 그리고 마을회의를 통해 이들은 자신들의 필요 요구를 국가에 표출할 수 있었다. 또한, 새마을지도자라는 새로운 리더십이 구심점으로 떠올랐다. 비록 이들이 새마을운동 사업이라는 한정적인 부분에 주도적인 위치에 있었으나, 마을단위의 사업에서 이들의 역량은 새마을운동의 결과에도 상당한 차이를 만들어냈다. 새마을운동은 다른 무엇보다도 농촌 마을의 외관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새로운 길이 만들어졌고, 낡았던 집들이 현대식으로 고쳐졌다. 새마을운동이 농가경제 소득에 실질적인 상승효과를 가져왔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새마을운동 사업 가운데 수리시설의 개설 등은 결과적으로 미곡생산량의 증대라는 결과로 나타났기 때문에 새마을운동이 농촌 경제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 부분들을 찾아낼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Ⅰ. 서론 = 1 1. 기존연구의 검토 = 5 2. 연구방법 및 논문의 구성 = 11 Ⅱ. 1970년대 농촌새마을운동의 전개 = 14 1. 새마을운동의 등장 배경 = 14 1) 새마을운동 이전의 농업정책 = 14 (1) 해방 후-1950년대 농업정책 = 14 (2) 1960년대 농업정책 = 19 2) 유신체제의 등장 배경 = 23 3) 새마을 가꾸기 운동 = 32 2. 새마을운동의 전개과정 = 37 1) 새마을운동의 점화기 = 37 2) 새마을운동의 고양기 = 39 3) 새마을운동의 퇴조기 = 41 3. 새마을운동 사업의 운영체계 = 43 1) 중앙행정조직 구도 = 43 2) 지방행정조직 구도 = 45 IV. 강원도 철원군 사곡2리와 군탄1리의 새마을운동 = 47 1. 사례지역의 배경 = 47 1) 사례지역 선정의 배경 = 47 2) 새마을운동 전개 이전의 사례지역 상황 = 52 (1)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사곡2리 = 54 (2) 강원도 철원군 갈말면 군탄1리 = 58 (3) 두 마을의 구성과 유형의 비교 = 59 2. 새마을운동 초기 마을별 수용태도 = 61 1) 새마을운동 참여 유도 방식 = 61 2) 마을 별 새마을운동 참여 태도 = 66 (1) 마을의 필요에 의한 적극적 수용 : 사곡2리 = 66 (2) 공동사업에 대한 개별농가의 실리지향 참여 : 군탄1리 = 68 Ⅳ. 새마을운동의 추진방식 = 74 1. 마을단위 새마을운동 운영체계 = 74 1) 새마을지도자 = 79 2) 마을 내 새마을운동 운영체계 = 84 2. 새마을 사업 실태 = 87 1) 사곡2리 새마을운동 사업 전개 = 88 2) 군탄1리 새마을운동 사업 전개 = 94 3. 새마을운동의 결과 : 사곡2리와 군탄1리의 정치 경제적 변화 = 101 Ⅴ. 결론 = 108 참고문헌 = 112 Abstract =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995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dc.title1970년대 새마을운동과 한국 농촌사회의 정치 경제적 변화-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강원도 철원군 사곡2리와 군탄1리를 중심으로-
dc.creator.othernameKim, Suk Yeong-
dc.format.pagevii, 12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정치외교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