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06 Download: 0

특수 목적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Title
특수 목적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Authors
이상숙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구본관
Abstract
이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점차 다양해지는 학습자의 특성과 변인에 부합하여 특수목적 한국어 교육으로서 관광 한국어 교재의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시작되었다.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우는 목적은 매우 다양하며, 이 중 한국 관광을 위하여 독학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이 바로 관광 한국어 교재의 사용자이다. 이 연구에서의 대상은 최근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 중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다. 관광 한국어 교재의 학습자는 독학으로 교재를 학습하고 활용하기 때문에 교실 상황에서 학습하는 학습자들과는 다른 특징을 보이지만,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에서 이에 대한 연구나 조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출판된 관광 한국어 교재의 분석과 관광 한국어 교재의 수요자 요구 조사를 바탕으로 실제 교재의 개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관광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앞선 연구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우선 이론적인 배경으로 특수 목적 언어 교육의 교육 과정과 교재 개발 연구를 통해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의 하위 분야로서 관광 한국어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재를 평가하는 여러 앞선 연구 성과를 토대로 관광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는 구체적인 틀을 세우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에 출판되어 있는 일본인 대상의 관광 한국어 교재 중 7종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교재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먼저 교재 전체의 구성을 크게 내적 구성과 외적 구성으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내적 구성에서는 교재의 목표 및 전체적인 구성 및 교재의 체제, 교재의 내용(주제 및 기능, 상황, 어휘, 문화)을 각 교재별로 살펴보고, 세밀한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다시 세 권의 교재를 선정하여 문법 및 표현 등의 항목으로 나누어 자세한 특성을 정리하였다. 또한, 교재의 내적 구성과 구별되는 교재의 외적 구성에서는 교재의 크기 및 관련 구성물, 전체적인 레이아웃, 도움 자료 등을 살펴보았다. 기존의 교재 분석 뿐 아니라 교재를 사용할 수요자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일본인 관광객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 조사한 학습자들의 요구는 ‘설문자의 개인 정보, 한국어 학습 경험, 한국 방문, 관광 한국어 학습 형태, 관광객이 경험하는 의사 소통 상황, 교재에 필요한 내용, 한국 문화, 교재에 필요한 자료, 관광 한국어 교재의 외적 구성에 대하여’ 등의 9개 항목에 걸쳐 파악하였으며 이 요구 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요구 및 필요 목표 상황 등을 상세히 도출할 수 있었다. 이 모든 분석을 통합하여 이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관광 한국어 교재의 기본 개발 원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한국어 의사소통 기능 향상과 화자-청자간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관광 한국어 교재의 체제에는 한글을 소개하는 내용, 관광에 필수적인 문형, 듣기 자료용 CD, 연습문제와 모범 답안, 단어집, 한국의 지도 등이 필요하다. 셋째, 수요자 요구 조사를 통하여 관광에 필수적인 목표 상황을 추출하여 제시해야 한다. 이 연구의 목표 상황 분석에서 상위의 응답을 보인 주제는 긴급 상황, 숙박 상황, 상거래 상황, 교통 이용 상황, 식당 상황, 관광 상황 등이 지적되었다. 넷째, 단원의 주제, 기능 및 과제, 문법, 어휘, 문화 등의 내용은 단계적으로 배열하여 서로 유기적인 통일성과 연계성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관광 한국어는 선수 학습을 위한 독학용 교재로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구성하도록 한다. 즉, 관광 상황에서 필요한 대화문 제시 뿐 아니라 이 교재를 통해 한국어의 기초적인 부분을 학습할 수 있도록 연습의 유형을 다양화하고 체계적인 복습의 장치를 마련하며, 메타언어로서 일본어를 적절히 활용하여 학습자의 이해를 돕도록 한다. 여섯째, 수요자의 요구에 부합하고, 제시하는 주제 및 상황과 관련된 한국 문화를 소개한다. 앞에서 정리한 단원 구성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구성 요소를 주제, 기능 및 과제, 문법과 표현, 어휘, 문화로 나누어 전체 단원 구성의 틀을 마련하였으며 그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재 단원 구성 순서는 ‘제목, 정보제시, 기본 어휘, 대화문, 문형 제시 및 연습, 과제(듣기, 읽기, 쓰기 포함), 참고 어휘, 문화’의 순이 적합하다. 그리고 전체 단원 구성의 주제는 상거래, 식사, 교통 이용, 관광, 숙박, 긴급 상황 등이며 각 주제별 세부 상황으로는 물건 고르기, 가격 교섭, 식당 예약, 음식 주문, 지하철 이용, 택시 타기, 길 찾기, 관광지에서, 숙박처 예약, 시설 이용, 병, 도난 및 분실 등으로 나누어 제시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숙박’을 주제로 한 단원의 실제 모형을 제시하여 본 연구의 내용을 구체화시켰다. 지금까지 제한된 법위에서의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이 아닌 학습자의 요구와 목표 상황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특수 목적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대한 논의를 위하여 관광 한국어 교재의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학습자 중심의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서 점차 다양해지는 학습자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교육 자료가 연구, 개발되도록 그 계기를 촉발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This study aims at helping develop a textbook for tourism Korean for a specific purpose, which meets the increasingly diversifying needs and variables of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ose Learners have various purposes in studying Korean language. Among them, the self-studying learners with a purpose of touring to Korea are the potential readers of the textbook. This study targets Japanese tourists who account for 50% of the whole foreign tourists in Korea. Although th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with a purpose of tourism study and use textbooks on their own, which means they are different from the learners in classroom settings, almost no studies have dealt with this issue so far.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ways of developing a Korean textbook through analysis on the existing tourism Korean textbooks and assessment on needs of the learners. Since there has been almost no preceding studied on development of a tourism Korean textbook, this study defines "tourism Korean" as a subordinate sector of Korean education for a specific purpose, by examining such theoretical backgrounds as curriculums for language education and studies on text development for a specific purpose. This study also shows concrete analyzing frames, based on assessment tools the preceding studies proposed, to analyze 7 textbooks in the market among other tourism Korean textbooks for Japanese people. In analyzing the textbooks, this study divided them into internal structure and external structure to see how well organized they are. The former includes the purpose, structure, system and contents(subjects, functions, settings, vocabularies and culture) of each textbook. Further, the study surveyed another three textbooks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tails such as grammar and expression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latter which includes the size, appendices, general layouts and references. In addition to analysis on texts, this study surveyed 120 Japanese tourists to understand the needs of the potential users of the textbook. They were asked to answer "personal information, experience of learning Korean, experience of visiting Korea, how they study Korean, in what settings they need to speak Korean, what they want for a textbook, what they thought about the introduction part of the Korea culture in the textbook, the materials needed to be added to it and what they thought about external structure of the it." The analysis on the result of the survey greatly helped find out needs and targeted goals of learners of Korean. The following is the basic principles with which the textbook this study is proposing will be developed. First, the tourism Korean textbook should put emphasis on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of learner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a speaker and a listener. Second, the tourism Korean textbook should include introduction on Korean, essential sentence patterns for tourists, a CD for listening comprehension, exercise tests and answers, wordbooks, a map of Korea and so on. Third, the tourism Korean textbook should suggest essential settings for tourists through a thorough study on needs of the users. The settings the respondents answered to be the most essential were emergency, lodging, commercial transactions, transportations, restaurants and sightseeing situations. Fourth, the tourism Korean textbook should be coherent and inter-relative with one content to another by arranging the subject of the unit, function and tasks, grammar, vocabulary and cultural aspect by each stage. Fifth, the tourism Korean textbook should be organized considering its function as a textbook for self- and preparatory study. In other words, the textbook should include not only dialogues that is possibly needed when traveling Korea, but also a tool for diverse and systematic reviews to help learners study the basics of Korean, thereby helping them understand Korean by making the proper use of the meta-language, Japanese. Sixth, the tourism Korean textbook should introduce Korean culture that meets the needs of the users and is related to the given subjects or situations. Based on the principles shown above, this study divided the units into subjects, function and tasks, grammar and expressions, vocabularies and culture, to organize the textbook in the most practical way. The method of the text organization is as follows; The most proper order in the tourism Korean textbook is "the title, basic vocabularies, dialogues, sentence patterns and exercises, tasks (for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reference vocabularies and culture. The subjects for each unit should include the commercial transaction, restaurants, transportations, sightseeing, lodging, and emergency situations while the subordinate settings by the each subject should be on buying goods, negotiating the price, reserving seats in restaurants, ordering food, using subways, taking taxi, finding a way, booking a room in hotels, using facilities and responding to a disease, robbery and loss of his/her belongings. Based on the result of these analyses, this study also suggests a concrete model under the subject, "lodging." So far, the study has provided a method of developing a tourism Korean textbook, in order to look into Korean education for a specific purpose under which the various needs and targeted situations are considered and met, but not in a limited way. In addition, further studies with a focus on learners should take place, thereby encouraging further development of education materials that meets the needs of the us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