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0 Download: 0

인도네시아(Indonesia) 후기힌두-불교시대(Late Hindu-Buddhist Period) 마자빠힛(Majapahit) 왕국의 금속공예 연구

Title
인도네시아(Indonesia) 후기힌두-불교시대(Late Hindu-Buddhist Period) 마자빠힛(Majapahit) 왕국의 금속공예 연구
Other Titles
Indonesian Metal Craft of Majapahit Kingdom in the Late Hindu-Buddhist Period between the late 13th and 15th century
Authors
곽준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홍남
Abstract
본 논문은 인도네시아 후기힌두-불교시대 마자빠힛(Majapahit) 왕국의 金屬工藝에 관한 硏究이다. 마자빠힛은 1293년부터 1527년까지 東部자바(Java, Jawa)를 통치한 왕국으로 강력한 왕권과 군사력, 체계적으로 정비된 정치 · 종교 · 사회제도를 바탕으로 당시 동남아시아 각국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이 왕국은 말레이반도 전 지역, 수마트라(Sumatra), 칼리만탄(Kalimantan), 발리(Bali)에까지 세력을 확장하였으나, 본 논문에서는 왕조의 중심지가 존재했던 자바의 유물만을 다루었다. 지금까지 자바 미술에 대한 연구는 중부자바(Central Java) 족자까르따(Jogjakarta)를 중심으로 하는 전기힌두-불교시대(8세기~10세기 초) 건축과 조각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런데 19세기 후반부터 碑文을 비롯한 文獻硏究와 發掘이 진행되어 구체적인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후기힌두-불교시대 유적, 유물을 연구할 수 있는 바탕이 마련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4~15세기 마자빠힛 왕국의 금속공예 부분은 이 시기 문화를 전반적으로 연구하는 학자들에 의해 부분적으로만 논의가 이루어졌을 뿐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인도네시아의 후기힌두-불교시대 역사와 사회 · 종교 · 문화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마자빠힛 미술의 성립 배경을 논하였다. 前代 문화가 印度 종교, 문화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수용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면, 후기힌두-불교시대에는 힌두교와 불교를 토착화시키고, 민속신앙과 융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독자적인 미술을 창조해 내었다. 갑작스런 중심이동으로 인한 혼란기가 지나고, 끄디리(Kediri) 왕조(1042~1222년) 때에는 지배자의 정통성을 강조하는 수단으로 문학을 장려하였다. 이러한 후원 아래 제작된 12세기의 다양한 王宮詩(까까윈, Kakawin)는 인도의 『라마야나(Ramayana)』, 『마하바라타(Mahabharata)』에 바탕을 두었지만, 이를 토착화하여 새롭게 고대 자바어로 번안한 작품들이다. 이 작품들은 이후 미술에 다양한 모티브를 제공하였다. 13세기 싱아사리(Singasari) 왕국(1222~1292년) 이후부터는 체계화된 정치제도와 새로운 종교 이념을 바탕으로 전기힌두-불교시대를 능가하는 수많은 사원, 조각, 보다 정교해진 금속공예품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마자빠힛 왕조에 이르러 동부자바는 역사상 가장 화려한 정치 · 문화적 황금기를 누리게 된다.『나가라끄르따가마(Nagarakertagama)』,『빠라라똔(Pararaton)』과 같은 歷史詩는 14~15세기 왕조의 역사와 왕실문화를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이 시기 건축, 조각, 금속공예도 새로운 신앙의 형태와 도시문화 속에서 탄생하였다. 전기힌두-불교시대 이전부터 이미 존재했던 祖上崇拜와 神王思想을 바탕으로 동부자바의 사원은 죽은 왕과 왕비의 化現像을 安置한 장례용 사원의 성격을 띤다. 또한 새로운 宗派의 유행으로 인한 修行方法의 변화와 神山崇拜의 강조로 쁘낭궁안(Penanggungan), 아르주나(Arjuna) 등의 산기슭에는 禮拜用 神像을 생략한 수많은 사원들이 築造되었다. 사원의 浮彫는 조각적인 특성보다 이야기의 전달을 중시하여, 平面化되었다. 이렇게 마자빠힛이 독자적인 예술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었던 것은 13세기 앙코르 왕조의 몰락과 스리위자야 왕국의 쇠퇴, 中國의 침략으로 인한 동남아시아 각국의 위기상황에 기인한 것이었다. 당시 마자빠힛 왕국은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元에 대해 독립적인 입장을 취하였고, 약화된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자바 문화를 전하는 主體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막강한 지배력을 행사했던 마자빠힛 왕조는 왕권의 절대성을 수시로 확인시킬 필요를 느꼈으며, 이를 위해 주기적으로 각 지역의 사원을 방문하고 각종 儀式을 거행하였다. 그리고 문학과 예술을 후원하였다. 勸力과 富, 靈驗한 能力의 象徵이었던 金은 裝身具로 제작되어 왕과 왕비를 비롯한 왕조전체 구성원들의 지배력과 정통성을 부각시켰다. 12세기 이후 제작이 중단된 銅製神像을 대신하여 정교한 銅製用具들이 종교의식, 궁정행사 등에 동원되었다. 소리, 물, 불을 통한 “淨化”의 과정은 당시 의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였고, 鍾, 鼓, 淨水容器, 燈, 香爐 등이 그 기능을 효과적으로 담당하였다. 한편 각종 象徵들은 神, 祖上의 존재를 확인시켜 주는 도구로 사용되었다. 마자빠힛 왕국의 匠人들은 모가 나고, 날카로운 장식을 선호하였다. 그들은 형태를 거스르는 듯 한 뾰족한 요소들을 곳곳에 배치하였다. 이렇게 과감한 장식을 사용하는 한편 불안해 보이는 공간은 허용하지 않았다. 서로 떨어져 있는 부분들은 다른 장식요소로 연결하였고, 단순하게 뻗어나가는 면은 이를 가로지르는 다른 면으로 제한하였다. 또한 구조적으로 약한 부분은 다른 장식으로 보강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무른 金製裝身具의 뒷면을 받치는 동판이나, 가장자리를 두른 金絲裝飾, 銅製用具의 마름모꼴 四葉花文과 화염장식으로 대표된다. 금속공예에 표현된 모티브는 건축, 조각, 비주류 미술인 테라코타 상에서까지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당시 장인들 간의 교류가 활발하였으며, 작품의 바탕이 되는 종교, 문화적 배경을 모두 공유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13세기 후반~15세기 인도네시아 자바 미술의 基底部에는 지배층과 피지배층이 공통적으로 숭배하는 힌두, 불교, 민속신앙과 이를 표현한 文學이 존재했다. 때문에 마자빠힛의 지배자들이 금속공예를 통해 표현하고자하는 理想들은 더욱 효과적으로 공유될 수 있었다. 이 왕국에서 神은 곧 祖上이자 王이었으며, 명상과 금욕, 가르침을 통해 이들에게 한 발짝 더 나아가고자 하는 욕구가 새로운 모티브와 양식적 특징을 만들어 내었다. 본 연구에 따르면, 13세기 후반~15세기까지의 금속공예는 양식적으로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단지 소재가 되는 모티브의 변화나 장식요소의 생략 혹은 첨가를 통해 몇몇 작품만 정확한 편년을 시도할 수 있을 뿐이다. 또한 인도네시아 금속유물의 경우 정확한 출토지를 알 수 없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지역에 따른 분석도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시대 소재지와 축조시기가 분명한 사원의 부조, 출토지가 분명한 조각, 제작년도가 확실한 문학작품에 등장하는 제재와의 비교 연구를 통해 마자빠힛 금속공예의 양식을 분석하였다.;This is a study of the metal craft of Majapahit kingdom during the Late Hindu-Buddhist Period. Majapahit ruled the eastern part of Java between 1293 and 1527. With mighty sovereignty, strong military power, systematically organized politics, religion and social system, they controlled several countries in the region of South-East Asia. Even though this kingdom expanded their power to the regions of Malaysia, Sumatra, Kalimantan and Bali, in this thesis, only artifacts from Java, which was the centre of this kingdom, have been described. So far, studies on Javanese art have been focused only on architecture and sculpture of the early Hindu-Buddhist Period(8th-early 10th Century), taking Jog Jakarta of central Java as a focal point. However, researches on ancient documents and inscriptions and excavations of ancient capital have progress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so that the study of artifacts and remains of the late Hindu-Buddhist Period can now be based on concrete historical facts. Nevertheless, the metal craft of Majapahit has been discussed by some scholars who studied generally on the culture of this period. First is a commentary on the history, society, religion and culture of the Late Hindu-Buddhist Period of Indonesia and the background of emerging Majapahit art. As the earlier culture was directly influenced by Indian religion and culture, in the latter period, Hinduism and Buddhism were localized and combined with the folk religions. A new art arose from these historical forces. After abrupt change of power was made, during the Kediri dynasty(AD 1042-1222), literature was promoted as means of strengthening the legitimacy of the ruler. With such a support, various Kakawins which were originated from or and adapted in Ancient Javanese were written during the 12th century. These works gave new ideas and motives to the arts of later periods. From the Singasari dynasty(1222-1292), based on the systemized politics and new religions, numerous temples, sculptures and exquisite metal crafts were created which were surpassing the early Hindu-Buddhist Period. And in the Majapahit dynasty, eastern Java was in the golden age of both politics and culture. Epic poetry such as and vividly describe the history of the dynasties and their culture of the 14th and 15th century. At that time, architecture, sculpture and metal craft were re-born in the new style of religions and new culture of the city. With the tradition of ancestor worship and concept of devaraja(God King) which had already existed since the early Hindu-Buddhist Period, the temples in eastern Java have characteristics of a funeral and commemorative temple which enshrines the statues of past Kings and Queens. Furthermore, because of ascetic practices due to the spread of new sects and emphasis on holy mountain worship, many temples around the mountains of Penanggungan and Arjuna were built without a statue of deity. The reliefs produced around the temples were flattened having the priority of delivering stories instead of emphasizing lifelike. The reason that Majapahit dynasty could develop their unique culture was due to the downfall of Angkor dynasty, the decline of Sriwijaya dynasty and the crisis caused by Chinese invasion to several Asian countries. At that time, Majapahit dynasty stood against Won dynasty with their mighty army and confidently disseminated Javanese culture to other South-East Asian countries which had been weakened by the crises. As Majapahit kingdom was constantly in need of confirmation of the absoluteness of royal authority, the King not only visited every temple but also performed various ceremonies regularly. He also supported literatures and arts. Gold, the symbol of power, wealth and spiritual abilities, was made into accessories for all members of the dynasty, including the king and queen, to emphasize ruling power and legitimacy. Instead of the bronze status of deities (which had not been made since the 12th century), exquisite bronze instruments were used for religious rituals and royal ceremonies. The process of purification with sound, water and fire was a major part of ceremonies, so development of bells, drums, purification bowls, lamps and incense burners reached perfection. In addition to these ceremonial implements, various symbols were used to signify the existence of the God and ancestors. The craftsmen in Majapahit kingdom preferred decoration with sharp and edged corners. They made bold and decisive sharp edges but did not allow insecure spaces in their works. Separated parts have been connected with other decorating elements and simply stretched parts have been limited by other crossing decorations. Also structurally weakening parts have been reinforced with others. These kinds of characteristics can be shown in copper plates which support the back of easily bended gold plate, gold thread decorations around the edges and the combination of diamond-shaped floral motif with flame-like decorations on the back. Decorations which had been voluminous in the earlier period became flat and linear from the 14th century. Flame motifs, scrolls and meandering decorations were used repeatedly and emphasized the main motif. Motifs used in metal craft of Majapahit kingdom are scenes derived from well-known literature, religious symbols such as Panakawan and ascetic or Protective Kala, Makara and Naga. These motifs are original and common in architecture, sculptures and even non-mainstream group, terracotta art. This is the real evidence that at that time, between the craftsmen, not only communication was very active but also they shared all the background of religion and culture. In the source of Javanese art during the 14th-15th century, there were Hinduism, Buddhism and folk religion worshiped by both governors and the governed. Moreover, literature which were describing those facts and changes existed. This explains why the ruling class could share what they wanted to express through metal craft effectively with others. In this kingdom, the God was the King and the ancestor. Desire to come closer to him through meditation, abstinence and discipline made original Javanese motif and style. There doesn't seem to be distinct changes in terms of forms of metal craft between the late 13th-15th century. Only several works can be dat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changes of motif, omissions and additions of ornamental elements. It is also hard to analyze according to the regions since it is impossible to determine their original excavated site. Therefore, I made an analysis of the Majapahit style of metal craft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n themes of other works in the same period such as the temple relief, sculpture and literature that have distinct location or the dat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