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崔韶子-
dc.contributor.author尹振榮-
dc.creator尹振榮-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8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3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5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381-
dc.description.abstract本稿는 朝鮮 知識人 朴趾源이 쓴 18世紀 後半의 대표적인 燕行錄인 『熱河日記』에서 宗敎에 관련된 기록들을 선별하여 이를 통해 朴趾源과 중국인들이 인식한 淸代의 宗敎와 이들 宗敎들이 당시 중국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燕行錄은 明·淸 王朝에 걸쳐 최소 600여 種이 써졌으며 이처럼 방대한 양의 연행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또한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진행되어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國文學에 집중되어 있으며 史學 분야에서도 특히, 中國史의 입장에서 조선 지식인의 관점을 통해 중국의 실상을 이해한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기존의 中國史 연구들을 기반으로 하여 『熱河日記』를 이용해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淸代의 宗敎를 살펴보았다. 『熱河日記』를 資料로 선택한 이유로써 다음의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熱河日記』의 구성이 날짜별·주제별로 체계적이며 내용도 박지원이 지향하고 있는 實利的이고 利用厚生적인 가치관에 따라 방대하고 상세하게 기록되어있기 때문이다. 당시 박지원은 淸을 방문했을 때, 기본적으로 淸의 정치·사회경제·대외관계 등을 살펴보는 이외 異國의 풍속과 문화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관찰했다. 이에 따라 『熱河日記』의 다양한 내용 중에서도 宗敎에 관련된 기록 또한 적지 않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조선 지식인의 눈으로 본 淸의 宗敎라는 점에서 특기할만한 이 부분에서는 박지원의 인식과 청대 종교의 실상이 실질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국 측의 사료를 이용하고 있다. 朝鮮 使行의 목적지가 北京이고 박지원의 관광이 주로 북경에서 이뤄졌기에 여기서는 地方志인 『北京市志稿』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熱河日記』를 선택한 두 번째 이유는 시대적 배경 때문이다. 朴趾源이 淸을 방문한 1780년, 즉 18세기 후반의 淸朝는 정치적·군사적·사회경제적인 면에서 전성기로 맞아 사회문화의 하나인 宗敎의 활동이 안정적일 수 있었다. 이 때 淸朝는 제국으로써의 면모를 갖추고 祖先의 땅인 滿洲를 비롯하여 중국본토 18省, 臺灣을 직접 통치하였으며 內外蒙古, 回部, 準部, 靑海, 西藏 등의 藩部를 간접적으로 통치하고 있었다. 군사적·정치적 안정을 기반으로 淸은 사회경제적인 면에 있어서도 번영을 누렸다. 이 시기 淸朝는 영토가 확대된 만큼 대다수의 漢族을 비롯한 여러 민족들을 통제할 필요를 느꼈는데 이것은 대규모 편찬사업을 통해 淸朝에게 불리한 思想을 걸러내는 작업으로 이어졌다. 청조의 이 같은 정책은 宗敎思想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청대의 종교들은 淸朝의 엄격한 통제 하에서 관리되고 있었다. 교리 면에서 별다른 성과를 이루지 못한 한편 정부에 의해 철저히 통제되던 청대의 종교들이었지만 淸朝의 끊임없는 관심과 당시의 경제적인 흥성을 발판으로 적극적으로 사회에 참여할 수 있었다. 박지원은 喇마敎寺院 및 佛敎寺刹, 道觀, 廟堂을 방문하였으며 이에 따라『熱河日記』에서 喇마敎·佛敎·道敎·民間信仰·天主敎을 18세기 후반 청의 주요 종교로 소개하였다. 따라서 그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라마교사원 및 불교사찰, 도관, 묘당이 청의 사회에서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는 모습을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본고는 이 부분이 특정 宗敎가 王朝에 정치적 영향력을 가지지 못하던, 王朝가 종교들을 통제하던 시대인 청대 종교의 의의라고 생각하고 있다. 18세기 후반, 淸의 宗敎에 -라마교·불교·도교·민간신앙·천주교- 대한 朴趾源과 중국인들의 인식 및 당시에 종교가 가지는 의미는 『熱河日記』에 기록된 朴趾源, 개인의 관찰과 그와 열하의 太學에 머무르고 있던 중국 선비들이 나눈 筆談에서 알 수 있다. 여기서는 朝鮮 선비인 박지원과 中國 선비들이 인식한 청대 종교들을 통해 정치적·경제적·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 이들 종교들이 가지는 의미를 밝혀 청의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담당하였는지 정리하였다. 첫째, 정치적인 측면에서 대외적으로는 라마교가, 대내적으로는 중국 본토에 살고 있는 다수의 漢族이 믿어오고 있던 불교·도교·민간신앙이 淸朝의 외부에 대한 회유와 내부의 단결을 위해 청조로부터 후원되고 있었다. 소수 이민족 왕조인 淸朝는 광활한 영토와 諸民族들을 성공적으로 장악하기 위해 강압과 회유책을 번갈아 사용했다. 여기서 박지원은 熱河에서 라마교의 首長인 班禪을 목격함으로써 청의 대외관계 중에서도 淸과 蒙古·西藏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인식하게 된다. 이때 몽고와 서장 지역 민족들의 國敎인 라마교가 청 정부가 이들 藩部를 회유하는 정책의 일환으로써 크게 부각된 것이다. 둘째, 喇마敎寺院 및 佛敎寺刹, 廟堂이 교역 장소 제공 및 생산 활동을 통해 청대 사회의 경제적인 부분에 있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라마교 및 불교) 사찰과 묘당은 마을에서도 교통이 용이한 중심지에 위치하고 집단의 모임이 자주 이뤄졌기에 당시 중국사회에서 경제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었다. 셋째, 淸 사회의 고위계층부터 서민계층까지 여러 계층의 사람들이 쉽게 모이고 드나들 수 있는 곳인 사찰과 묘당은 위와 같은 지리적·문화적인 이유에 따라 본래의 종교적 역할을 하는 외에 사회문화적인 면에서 公務나 마을의 大小事가 수행되는 장소, 숙박 장소 등으로 이용된다. 본 논문은 朴趾源, 개인의 기록인 『熱河日記』를 통해 청대 종교문화를 인식하고 그 사회적 역할을 고찰해보았다. 淸代의 자료가 아닌 朝鮮의 자료로 당시 중국사회를 이해하려했기에 인식과 당시의 사실에 대한 한계가 드러나는 부분이 없지 않다. 이 부분은 중국의 자료(『北京市志稿』)와 비교해야 했지만 중국인들이 기록할 수 없었던 사실이 박지원에 의해 보다 정확하고 상세하게 기록되기도 했기에 이를 통해 본 청대 종교문화에 대한 고찰은 그 자체로써 작지 않은 가치를 지녔다고 할 수 있겠다.;This thesis examines YeolhaIlgi (Rere Diary; 熱河日記), written by Ji-won Park, which is a representative travel diary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In particular, it sorts out the religion-related records, and investigates what religions there were in the Qing era, through the eyes of Park and the Chinese, and what role they were playing in the contemporary Chinese society. More than 600 kinds of travel diaries, at best, were written through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nd extensive researches on this vast quantity of diaries have been done in various fields. However, most of the researches are confined to the Korean literature. Furthermore, there are not many studies which try to grasp the status-quo of China from the perspective of a Chosun intellectual within the historical science, among others, the history of China. Therefore, this thesis is based on the extant studies of the history of China, and looks into the religions of the Qing dynasty within the socio-cultural framework, by virtue of YeolhaIlgi. There are two reasons for choosing YeolhaIlgi as a source. First of all, the organization of the diary is systematic according to dates and subjects, and its contents are extensive and detailed in accordance with Park's high values on the pragmatism and public welfare. When Park visited Qing, he not only examined the political, socio-economic, and diplomatic relationships of the country, but he observed the customs and culture of the foreign land, with deep interests. Thus, there are more than enough records about religions, among the varied contents of YeolhaIlgi. These records are especially appreciated in that the religions of Qing were estimated from the Chosun intellectual's standpoint. Here are China's historical sources added in order to compare Park's perception and the actual Qing's religious situation. The Chosun envoy's destination was Beijing and Park travelled mainly in Beijing. In this respect, a provincial archive, i.e., BukGyeongSiJiGo (北京市志稿), is mostly referred, here. The second reason to choose YeolhaIlgi is due to its historical background. The Qing dynasty was in its heyday in politics, military, and socio-economics in the late 18th century. Hence, in the year of 1780, when Park visited Qing, the religious activities, an aspect of socio-economics, were stable. At that time, the Qing dynasty had been established as an empire, ruling the ancestor's land, Manchuria, in addition to the 18 provinces in the mainland China, and Taiwan. Moreover, it indirectly controled the vassal states such as the inside and outside Mongolia, East Turkistan (回部), Jungar (準部), Qinghai (靑海), and Tibet (西藏). Based on this strategic and political stability, Qing flourished in the socio-economics. Due to the expanded territory, the Qing dynasty felt it necessary to control the Han and other races, which led to a grand-scale compilation with a view to filtering out the ideas unfavorable to the Qing dynasty. This policy was also applied to the religious ideas, so the religions in the Qing era was under the strict control of the government. Although the religions did not make much difference in the doctrines and were under thorough government control, they could take an active part in the society, with a basis on Qing's continuous interest and economic richness of the times. Park visited Lamasery (喇마敎寺院), Buddhist temples, Taoist temples, and shrines (廟堂), and in his YeolhaIlgi, he introduced Lamaism, Buddhism, Taoism, folk beliefs, and Roman Catholicism as the major religions of Qing in the second half of the 18th century. In detail, he wrote down the diverse roles, in the society, played by Lamasery, Buddhist temples, Taoist temples, and shrines. This thesis argues that this fact is significant in the era where a particular religion did not have exclusive political influence over the government, but rather the dynasty regulated the religions. The outlooks of Park's own and the Chinese on the religions of Qing, i.e., Lamaism, Buddhism, Taoism, folk beliefs, and Roman Catholicism, and the implications of religion in the latter half of 18th century are due to Park's personal observation in his YeolhaIlgi, and the written conversation between Park and the Chinese scholars who were staying at the college (太學) in Rere. This thesis reveals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implications that the religions had, and defines the parts that the religions played in the Qing society. It is grounded in the Chosun intellectual, Ji-won Park's and the Chinese intellectuals' recognition of Qing's religions. First, in terms of politics, Lamaism was supported for the foreign affairs, and Buddhism, Taoism, and folk beliefs, which had been believed by the majority of mainland Han race, were espoused for the domestic affairs, in order to placate the outsiders and solidify the insiders of the Qing dynasty. The Qing dynasty, which was founded by an alien minority, made use of carrot-and-stick policy in turn, to successfully dominate the enormous territory and the manifold races. At Rere, Park witnessed the leader of Lamaism, Banseon (班禪), and regarded the relationship between Qing and Mongolia/Tibet as important, among other foreign relations of Qing. Lamaism was the state religion of Mongolia and Tibet, and it was brought into relief as an appeasement policy by the Qing government toward these subject states. Second, Lamaseries, Buddhist temples, and shrines served as an essential hub of economics, providing a trade market and producing merchandise. These temples and shrines were situated in the center of town, so group gatherings occur often in these places. Hence, they played a economic role in the Chinese society, at that time. Third, for these geographical and cultural reasons, these temples and shrines, which were open to the whole walks of life, i.e., from the high-ranking officials to the commons of the Qing society, were utilized as the places for the public affairs or the town's matters great and small in socio-cultural aspect, lodgings, etc. in addition to their original role of religion. This thesis has recognized the religious culture and considered its social role in the Qing period, by way of YeolhaIlgi, Ji-won Park's personal records. We cannot help admitting that there are some limits to the perceptions and facts since we deal with the Chosun data rather than the Qing data in trying to apprehend the contemporary Chinese society. Even though the comparisons with the Chinese material, BukGyeongSiJiGo, should be accompanied, the investigation of this thesis into the religious culture of the Qing era cannot be evaluated as little in and of itself, since some of the facts, which could not captured by the Chinese, were recorded by Park in a more precise and elaborate wa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目次 Ⅰ. 序論 = 1 Ⅱ. 18世紀 後半의 淸朝 = 7 Ⅲ. 朴趾源이 認識한 淸의 宗敎 = 14 1. 喇마敎 = 17 2. 佛敎 = 25 3. 道敎·民間信仰 = 29 4. 天主敎 = 33 Ⅳ. 淸代 宗敎의 役割 = 38 1. 政治的 役割 = 38 2. 經濟的 役割 = 42 3. 社會文化的 役割 = 47 Ⅴ. 結論 = 52 參考文獻 = 55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334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朴趾源이 認識한 淸代 宗敎-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熱河日記』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Religion of Qing Period in the Yeolhallgi-
dc.creator.othernameYoon, Jin-Young-
dc.format.pagev,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