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재경-
dc.contributor.author김지영-
dc.creator김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9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4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99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2000년 이후에 동거에 관한 담론만 무성한 현실에서 동거에 대한 사회적 반응은 성도덕 위기나 정상 가족 제도에 대한 사회적 위협으로 인식되고 있는 현실에서 여성들의 동거 경험의 다양한 층위가 은폐되고 획일적으로 읽혀진다는 문제제기에서 출발한다. 이성애적 관계에서 정서적·경제적·성적 안정을 구하기 위해서 실천하는 여성들의 동거 선택은 가족과 결혼에 대한 가부장적 요소를 나름대로 극복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으며, 여성에게 불리한 제반의 사회적 조건에서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하나의 행위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중적 성규범과 결혼 제도에 편입되는 것만을 정상적이라고 상정하는 사회 규범에서 여성들이 동거를 선택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통해서 우리 사회의 성의식, 결혼관, 가족 관계, 남녀 관계 등의 성별 관계의 변화의 지점을 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30대 여성들의 동거 선택 과정, 결혼과 동거에 대한 인식을 통해서 동거의 유형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가족 제도 밖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가족 제도 안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는 여성들이 동거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협상과 저항적 행위를 통해서 동거의 사회적 위치와 의미 그리고 동거 현실에 대한 맥락을 드러내고자 시도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의 동거 진입 과정은 모두 연애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초기에는 연애의 연장에서 이루어졌던 동거가 장기화 되면서 새로운 관계를 정립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참여자들의 동거 진입 과정, 동거와 결혼에 대한 인식에 따라 동거 경험을 세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A-연애 과정으로서 동거, B-결혼을 고려하게 되는 동거, C-비혼 동거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해보았다. 둘째, 동거 관계에서 경제적인 측면은 두 사례를 제외하면 대부분 수입에 따른 일정한 생활비 배분을 하고 있었으며, 상호경제적 지원을 해주는 경제적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었다. 누가 생계를 부양하느냐에 따라 가사 분담은 달라지게 된다. 남성과 여성의 관계에 있어서 경제적인 독립은 동거 생활의 중요한 요인이며, 이것은 가사 노동과 가족 관계에서 협상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A-연애 과정으로서 동거의 경우 여성들은 남성을 끊임없이 가사 노동에 참여하도록 유도하지만 가사 분담의 문제가 장기화될 경우에는 동거 관계를 정리하게 된다. 또한 B-결혼을 고려하게 되는 동거와 C-비혼 동거의 경우는 가사 분담의 갈등은 동거 초기에 발생하지만 동거 기간이 길어질수록 협상의 과정을 통해서 가사 분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지속적이고 평등한 동거 관계를 유지하게 위해서는 가사 분담은 중요한 요인이지만 그 타협점을 만들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며 단기간의 동거인 A-연애 과정으로서 동거의 경우에는 가사 노동을 여성이 담당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셋째, 가족임금 이데올로기는 남성 한 사람의 벌이로 가족 모두의 생계를 책임지게 하는 것으로 남성을 부양자로 위치 지우면서 가족 내의 성별 분업을 공고히 하고 여성을 생계 부양자로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여성은 사회적 자원의 접근에 있어서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한다. 이러한 현실에서 연구참여자들은 결혼 제도에서만 지원되는 사회적 혜택을 동거 남성을 통해 자원을 확보함으로써 경제적 안정을 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넷째, 연구참여자들이 연애 과정에서 성관계를 경험하면서 가부장적 문화 에서 순결에 대한 가치관과의 갈등을 겪게 되면서 자신의 성적 주체성을 확보해 내는 과정을 겪는다. 이와 같이 동거는 여성들은 자유로운 성적인 실천의 장이 되기도 하지만 동거에 대한 사회적 비난과 시선으로 인해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갈등과 단절을 경험하거나 상처를 받게 된다. 동거 기간이 지나면서 연구참여자들은 동거를 이해해 줄 수 있는 사람들에게만 동거 사실을 공개하는 등 선별적인 인간관계로 축소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남성과 여성이 함께 동거를 해도 여성에게는 성적인 비난이, 남성에게는 무책임함과 가장으로서 의무를 회피하는 비난으로 이어지는 것은 우리 사회의 동거에 대한 사회적 시선에 있어서 이중 잣대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B-결혼을 고려하게 되는 동거와 C-비혼 동거의 경우는 동거 기간이 장기화될 경우에는 긴밀한 가족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현실에서 언젠가는 동거 사실이 가족에게 알려질 수밖에 없으며, 동거 사실이 가족에게 알려질 경우에는 두 사람만의 동거 관계 안으로 가족 관계가 개입되어진다. 결혼 제도 내에서는 일정 부분 며느리의 역할을 수행해야 되는 측면이 있지만 동거 관계의 경우는 동거 남성의 가족에서 원하는 관계 형성을 여성이 조정하거나 거부함으로써 남성과의 협상의 지점을 마련할 수 있다. 이는 결혼 제도 밖에 존재하면서도 결혼 제도 안의 역할이 요구되는 현실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은 여성에게 주어지는 성별화된 양육과 아이는 어머니의 일로 간주되는 현실에서 자신의 일과 양육의 병행을 부담스럽게 인식하고 있었다. 동거 관계에서 아이를 낳을 수 없는 사회적 현실과 아이를 원하게 되면 결혼 제도로 편입되어야만 가능하기에 동거 과정에서 출산은 고려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본 연구는 동거에 관한 연구가 부재한 현실에서 개인 여성들의 행위에 초점을 맞추어 우리 사회의 동거 성격을 단면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고, 소위 결혼 적령기라고 하는 20~30대 여성의 동거 경험을 통해서 성별 관계의 변화와 한계점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사회의 동거 현실에 대한 맥락을 드러내고자 시도한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is study begins from an issue raising that the various phases of women's cohabiting experience were covered up or standardized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there had been nothing but exuberant discourses on living together and it had been socially considered as the crisis of sexual morality or the threat against normal family system since 2000. Women choose to live together with their partners before marriage to seek emotional, economic, and sexual stability in a heterosexual relationship. Their choices seem to be an attempt to overcome the patriarchal elements of family and marriage system, and to be an action of a strategical choice to live in the male-oriented societ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at has been changed in gender relationships including sexual awareness, marital duty, family relationship, and romantic relationship by seeing how women choose to live together even under the custom that the double standard toward sexual morality exists and living together can be tolerated only with marriage.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e types of living together through looking through the procedure of choosing to live together with their partners and their thoughts about marriage and cohabitation. Also, it aims to show the social context and meaning of living together by seeing how women, who can not feel free of involving in the general family system even outside the system, negotiate and resist to keep their cohabiting relationship.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all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hoose to live together before marriage, as a subsequent to their romantic relationship. They built a new relationship as their cohabitation turned into be a long-term in the beginning. Now I classify the three types of living together based on the procedure of the participants' moving in together and their thoughts about cohabitation and marriage. [A: cohabiting couples as a course of romantic relationship], [B: cohabiting couples considering marriage], and [C: cohabiting couples having no consider of marriage.] Second, in respect of the economic aspects of cohabiting relationship, cohabiting couples mostly shared living expenses considering each one's income and formed a small economic community of mutual support except only two cases. Division of household labor was dependent on who wsa first breadwinner. Economic independence is an important element for cohabiting couples, and it can be a negotiation point in relation with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nd family relationship. In the case of [A: cohabiting couples as a course of romantic relationship], a woman was easy to break up with her partner when she went on asking him to share household and it did not work. [B: cohabiting couples considering marriage] and [C: having no consider of marriage] had trouble with dealing with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n the beginning, but it went smoothly through mutual negotiating as time went by.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s an key element to maintain an equal cohabiting relationship, but it takes time to find a point of compromise. And in a short-term cohabitation, a woman of [A: cohabiting couples as romantic relationship] was more liable to do household. Third, family wage ideology makes a man take the responsibility of feeding all the family members identifying his status as a breadwinner of his family and standardizing sexual division of labor. It does not allow a woman's status as a breadwinner disabling her to approach social resources. Considering the reality, the participants seemed to seek social benefits and economic stability by social resources from their male partners, which could have been achieved only with marriage. Fourth,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sexual relations in their romantic relationship and struggled against sexual morality in the patriarchal society seeking their own sexual subjectivity. Living together usually could cause a conflict in family and friendly relationship being a target of criticism as well as an opportunity of liberal sexual life for women. The participants went through an experience of speaking the fact of living together only to the persons whom it was acceptable to, cutting dow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to a selected group. Given the fact that women receive sexual criticism while men are accused of avoiding their marital duty when they are living together, we can easily see there exists the sexual double standard in our society. Fifth, their lives of [B: cohabiting couples considering marriage] and [C: having no consider of marriage] could be usually known to their families when they live together in a long period because Koreans generally build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members. When the fact was known to their family members, the only two's relationship could extend to their family relationships. A woman usually is expected to play a role as a daughter-in-law in a marriage system, but a woman of cohabiting couples can adjust the difference of opinions in a relationship with her partner's family members. This shows women cannot feel free of the roles demanded in a marriage system even when they live out of the system. Also,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both doing their work and raising kids are too much of a burden for them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mother have final responsibility for caring kids. Given that it is hard to have a child when living together and that cohabiting relationship is easy to go into a marriage system when wanting to have a baby, a matter of child birth was not considered in this study. Today, there are a number of women who want to live an independent life because of increasing job openings and extended education opportunities for women, and the changes of perceptions on the matter of marriage and sexuality, so that living together seem to be an attractive way of life for the women who want to enjoy the benefits of both marriage and living alone.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living together in the Korean society, focused on an individual female's cohabiting life, and sought its meaning in the respect of looking through the changes and limits in gender relationships through women's cohabiting experience in their 20s and 30s given expectation of marriage and showing the context of the reality of living together in our soci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 개요 = ⅳ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 5 1. 연구 과정 및 연구 방법 = 5 2. 연구참여자의 특성과 동거 진입 과정 = 10 C. 이론적 배경 = 15 1. 가족제도에서의 성별 관계와 동거 = 15 2. 동거에 관한 기존 논의 = 17 3. 동거를 둘러싼 사회적 담론 = 20 Ⅱ. 사례에서 나타난 동거 유형 = 24 A. 연애 과정으로서 동거 = 24 B. 결혼을 고려하게 되는 동거 = 25 C. 비혼 동거 = 27 Ⅲ. 경제력에 따른 성별 관계의 협상과 갈등 = 30 A. 소득에 따른 생활비 분배 = 32 B. 경제력과 가사분담의 연관성 = 33 1. 남성이 생계 부담 = 34 2. 동거 관계의 정리 요인으로서 가사 노동 = 37 3. 상호경제적 보완 관계 = 39 3-1. 가사 노동에 익숙한 남성 = 41 3-2. 가사 노동에 익숙해진 남성 = 42 C. 자원으로서 남성 = 46 Ⅳ. 동거를 둘러싼 섹슈얼리티 = 48 A. 자유로운 성적 관계와 피임 = 48 B. 동거에 대한 사회적 시선의 이중 잣대 = 52 C. 성별화된 동거 알리기 = 56 Ⅴ. 가족 제도의 경계선에 위치한 여성 = 60 A. ‘부담스런’ 가족 관계 = 60 B. 애매한 관계성에 기반한 갈등 = 63 1. ‘예비며느리’로서 기대되는 역할 = 63 2. 관계 조정자로서 남성 = 67 C. ‘원치 않게 되는’ 아이 = 70 Ⅵ. 종합논의 및 결론 = 74 참고문헌 = 78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283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동거를 통해 본 성별 관계의 지속과 변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20∼30대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Maintenance and Transformation of Gender Relationship through Living Together : Based on Women's Cohabiting Experience in their 20s and 30s-
dc.creator.othernameKim, Ji-Young-
dc.format.pageⅵ,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