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옥경-
dc.contributor.author이민영-
dc.creator이민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6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6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4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627-
dc.description.abstractThe sociopolitical reality of the part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over 50 years has set the North at odds with the South. The cultural conflicts of the North and South Koreans have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Undergoing the unification process, the lack of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leads to misunderstanding and complication between the two as in the case of Germany. However, little is known in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the North and South together as a community in daily living. The researchers only have been concerned about the North Korean defectors’ adaptation and assimilation issues in South Korea. They have hardly dealt with the cross-cultural practical studies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North and the South Koreans can be understood by studying the intercultural families and the married couples of the two parts. Because the conjugal relations are the primary units of the social relations, intercultural couples (intermarriage) promote the assimilation and integration of a polyglot population into one commun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deal successful marital relationship of the North-South Korean intercultural couples, maintaining the key features of their cultural identitie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study was grounded in the couples’ narratives that are considered a form of social discourse rather than literary discourse. With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by applying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family process experiences of intercultural couples, this study strove to shed light upon the North and South Koreans’ living experiences, meanings and processes. This exploratory study examined the narratives surrounding the following questions: 'How is their experience of the family process?' and 'how i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What challenges do intermarried couples consider to be the greatest; how do they negotiate; what resources do they rely upon; what is longed for and what is avoided? A narrative inquiry and socio-cultural constructivism were coincident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which has a socio-cultural constructivism logic could be showed by the voice of the inter-married couples without breaking. Moreover this is very useful research methodology to understand private experience and social view surrounding the intermarriage couples. Five North-South Korean couples who have been married more than two years were selected by snowball sampling method from an urban and rural area in South Korea. The collection of data was included mostly by depth interview and observation, a field note, a research diary, letters and e-mail with the subjects, and a participant's writing etc. A process of the analysis passed through a repeated reading and analysis. The description and the interpretation which go through whole narratives resolved the research question and social value of the stories by the participants. As shown in the above process, the following themes were drawn out from family process experience of each North and South intermarriage couple. From [A]&[B] couples; 〈wife who saved spouse by marriage and husband who saved spouse's life by marriage〉, 〈belief that North is cold hearted and reality warm hearted North〉, 〈direct expression of North and double standard of South〉, 〈only three given chances and endless opportunities〉, 〈wife who is against restriction and husband who is worried constantly〉, 〈strict wife and loose husband〉, biased south and capable North〉, 〈confirming sincere love〉. From [C]&[D] couples: 〈innocent wife and secure husband〉, 〈absolute belief and freedom of religion〉, 〈husband who wants to enjoy romance and wife who thinks it's luxury〉, 〈living on my own and living with parents〉, 〈husband who celebrates anniversaries and uncomfortable North families〉, 〈taking care of as my own family〉, 〈asking when you don't know〉. From [E]&[F] couples; 〈innocence and being alert〉, 〈feeling sorry and feeling guilty〉, 〈marriage relationship between North and South are different〉, 〈North Reds and South Reds〉, 〈unconditioned criticism and realistic criticism〉, 〈male / female discrimination and male / female cooperation〉, 〈money is power and money is just money〉, 〈living with North defectors as one in community〉, 〈keeping North self dignity〉, 〈become and counsellor and educated〉, 〈praising each other〉, 〈expanding responsibility of a householder〉. From [G]&[H] couples; 〈enthusiastic husband and career woman wife〉, 〈marriage disapproval and marriage envy〉, 〈North is inferior and North is not inferior〉, 〈North is different and we are the same〉, 〈North family is priority and South family is priority〉, 〈North style and South style food〉, 〈North father and South mother〉, 〈romantic sympathizing about North〉, 〈better than South men〉, 〈taking mutual position〉. From [I]&[J] couples; 〈illusion and resting place〉, 〈husband who wants obedience and wife who disagrees〉, 〈wife with no ideology and husband who is outdated〉, 〈following essence and following Roman law in Rome〉, 〈husband who can't live with just bread and wife who earns bread〉, 〈blinded love and beast's acts〉, 〈black and white theory and comfortable and uncomfortable theory〉, 〈looking back at South and North〉, 〈finding meaning and learning Southern manners〉, 〈renewing North and South family〉. From the five couples' narratives resulted in 〈meeting at DooMoolMeori〉,where the North Han river joins the South Han river, this Han river metaphor could describ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in the intercultural couples' family process. This metaphor represents intercultural process of the North-South Korean couples. It means through South and North Koreans' marriage, they form a new type of family and by experiencing cultural differences in psychologically, relationally, and socially way they face all kinds of conflicts and challenges and by interacting and negotiation with their new tasks they create a new culture in the dynamic process. Once more this metaphor was interpreted to get divided into 'above the surface of the river' and 'below the surface of the river' at the 〈DooMoolMeori〉 landscape. The former, which means the interaction of socio-structural landscape and the North-South Korean intercultural couple, got divided into 〈We are just like other couples at DooMoolMeori〉 which means the couples' adoption of the discourse of homogamy and 〈We are different from other couples at DooMoolMeori〉 which means the couples' adoption of the discourse of heterogamy. The latter, which means the interaction of psycho-relational landscape and the North-South Korean intercultural couple, got divided into 〈Unprepared meeting at DooMoolMeori-Unfamiliar spray〉, 〈Shaking up at DooMoolMeori-Wild waves〉, 〈Difference at DooMoolMeori-Rough whirlpool〉, and 〈Diversity at DooMoolMeori-Shining flow〉. 'Meeting-spray' landscape means the unique meeting process of the South Korean and the North Korean defector couples. From this process two themes were drawn out following as 〈doubt and curiosity〉 and 〈worry and envy〉. 'Shaking up-waves' landscape means the psycho-emotional challenging process of this couples, and four themes were drawn out from it: 〈surprise〉, 〈ambiguity and uncertainty〉, 〈confusion and absurdity〉, and 〈angry and discomfort〉. 'Difference-whirlpool' landscape means the relational-contextual challenging process of the couples, and eight themes were drawn out as following: 〈pride between a residence and confidence〉, 〈language between straight and roundabout speaking〉, 〈money between absolute and relative value〉, 〈gender role between discrimination and difference〉, 〈ritual between careless and carefulness〉, 〈behavior pattern between competence and rashness〉, 〈value between simplification and variety〉, and 〈bring up a child between independently and protectively〉. 'Diversity-flow' landscape means the process of the negotiation and change of the couples and its' themes were 〈healing〉, 〈co-existence〉, 〈familial attachment〉, 〈benchmarking〉, and 〈identity development〉. From these landscape themes of the family experience in the North-South Korean intercultural couples, the couples were faced with difficulty by personal and cultural difference. But they interacted cross-culturally successfully overcome barriers to adjustment and consequently develop images of themselves as competent individuals and couple who can understand the viewpoints of people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Also the alternatives which the couples found out made it possible to develop from the confrontation to the harmony of Korean society. By studying it, we delve into a rich resource for our social work knowledge and practice on the North-South Korean intercultural couples’ dynamics, the adjustment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cultural minority, and on ensuring continuity of culture in the mixed community in the unified Korea. Overall, this research intends to be an initiative and fundamental study of the upcoming studies and the culturally sensitive social work practice and family social work practice in the unified Korea.;본 연구의 목적은 남한과 북한에서 각각 다르게 성장한 성인들이 부부 관계를 형성하여, 가족 내·외부의 다양한 도전들에 대처하는 가족과정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이야기(내러티브)를 통해 탐색하고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남북한의 분단 상황으로 인한 문화적 이질감은 통일 과정에서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것이 예상되며, 남북한 사람들이 가족을 이루었을 때는 심각한 가족 문제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남북한 사람들, 북한이주민과 관련한 사회 및 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문화적으로 민감한 사회복지 실천적 대안 논의를 시작해 보고자, 남북한 이문화의 문제를 가장 대등하고 밀접하게 경험하는 남한주민과 북한이주민 부부를 대상으로 ‘그들의 가족과정 경험은 어떠한가?’와 ‘그 경험의 의미는 어떠한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여 이들의 경험을 자세히 들여다보았다. 본 연구자는 연구의 목적을 충족시켜 줄 만한 연구 논리로 사회문화적 구성주의를 제시하고 이에 적합한 연구 방법으로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사회문화적 구성주의 논리를 가진 내러티브 탐구 방법은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목소리를 조각내지 않고 드러낼 수 있으며, 무엇보다 부부만의 개인적인 은밀한 경험과 이들을 둘러싼 사회적 시각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한 연구 방법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남한에 거주하는 남한 주민과 북한이주민 부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결혼 기간이 2년 이상으로 현재까지 결혼 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부부 다섯 쌍(총 10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총 11개월 동안 주로 심층 인터뷰와 관찰, 현장노트, 연구일지, 연구자와 주고받은 편지, 참여자의 저술 등을 포함하였다. 분석 과정은 연구 참여자 각 이야기를 연구 문제와 사회적 가치에 초점을 두고 기술하고, 모든 내러티브를 관통하는 ‘의미’를 찾기 위해 분석과 해석이 반복되는 과정을 거쳤다. 상기의 과정에서 이끌어 낸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가족과정 경험에 대한 이야기는 [가][나]부부는 <결혼해 준 은인과 생명의 은인>, <부모형제 없다는 반공교육과 인정이 살아있는 북한>, <말을 막하는 북한과 이중적으로 말하는 남한>, <단 세 번의 기회와 무한 기회>, <구속과 통제가 싫은 부인과 노심초사 남편>, <철저한 부인과 느슨한 남편>, <냉정한 남한과 능력있는 북한 사람>, <애틋한 사랑 확인하기>이었다. [다][라]부부는 <깨끗한 여자와 안전한 남자>, <절대 믿음과 종교의 자유>, <낭만을 즐기고 싶은 남편과 사치로 보는 부인>, <내 집에서 살기와 친정에서 살기>, <기념일 챙기는 남한 남자와 낯선 북한 가족들>, <내 가족으로 잘 챙기기>, <모르면 자연스레 물어보기>이었다. [마][바]부부는 <순수와 경계>, <미안함과 죄책감>, <북한과 남한의 부부관계가 다르다>, <북한빨갱이와 남한빨갱이>, <무조건 비판과 현실적 비판>, <남녀유별과 남녀협조>, <돈은 곧 권위와 돈은 돈일뿐>, <북한이주민과 같은 운명체로 살기>, <북한 자존심 지켜주기>, <장자방이 되어 가르치기>, <칭찬합시다>, <세대주의 책임감 확장하기>이었다. [사][아]부부는 <적극적 남성과 전문직 여성>, <내 눈에 흙이 들어와도 안된다와 부럽다>, <북한 사람은 낮다와 낮지 않다>, <북한은 다르다와 우리와 같다>, <북한 가족이 먼저냐와 남한 가족이 먼저냐>, <북한식과 남한식>, <북한 아빠와 남한 엄마>, <북한에 대해 낭만적으로 공감하기>, <남한 남자보다 낫다>, <중간자적 입장 취하기>이었다. [자][차]부부는 <환상과 안식처>, <순종을 바라는 남편과 말도 안되는 소리>, <사상성 없는 아내와 시대착오적인 남편>, <본질추구와 로마에 오면 로마법>, <빵만으로 살 수 없는 남편과 빵을 벌어오는 아내>, <눈먼 사랑과 야수적 행위>, <흑백논리와 편함/불편함의 논리>, <남한과 북한의 모습 돌아보기>, <남한식 매너의 의미찾기와 배워보기>, <남북한 가족 새로 만들어가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5쌍의 부부 이야기를 통해 도출된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가족과정 경험의 의미는 <두물머리에서 만나는 과정>이라는 은유적 의미로 도출되었다. 이것은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상호작용 과정(intercultural process of the North-South Korean couples)’을 의미하는 것으로, 남한 주민과 북한주민들이 결혼을 통해 하나의 가족을 이루면서 문화적 차이로 인해 경험하는 심리·관계·사회적으로 당면한 갈등과 도전에 대해 능동적으로 타협과 변화를 만들어가며 상호 교류하고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가는 역동적인 과정을 의미한다. 이 과정은 다시 두물머리 풍경에서 ‘수면 위의 장소’와 ‘수면 아래의 장소’로 다시 나뉘어 해석되었다. 사회구조적 풍경과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상호작용을 의미하는 수면 위의 장소는 <두물머리에서 우리는 같음>과 <두물머리에서 우리는 다름>으로 의미가 나뉘었다. ‘우리는 같음’의 의미는 남북한이 한민족이며 남북한 사람들의 부부관계는 동문화 부부관계라는 사회적 담론을 채택하면서 부부들이 문화적 차이를 없애고 감추는 경험으로 해석되었다. ‘우리는 다름’의 의미는 남북한은 분단으로 인해 다르다는 담론을 채택하면서 실제 생활에서의 문화적 차이점을 인정하며 서로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안을 찾는 경험으로 해석되었다.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상호작용과 심리·관계적 풍경을 의미하는 수면 아래의 장소는 <두물머리에서 준비없는 만남-낯선 물보라>, 두물머리에서 혼란스레 섞임-굽이치는 물살>, <두물머리에서 만난 서로 다름-거센 소용돌이>, <두물머리에서 찾은 서로 다양함-흐르는 오색물>로 해석되었다. ‘만남’의 의미는 북한이주민과 남한주민의 독특한 만남의 과정으로 결혼에 대한 의심과 호기심, 우려와 부러움이라는 경험의 의미로 ‘낯선 물보라’의 풍경으로 나타났다. ‘섞임’의 의미는 남북한 부부의 심리 정서적 도전 과정으로 놀람, 모호함과 불확실성, 당황과 어이없음, 화와 불쾌함이라는 경험의 의미로 ‘굽이치는 물살’의 풍경을 보여주었다. ‘다름’의 의미는 남북한 부부의 관계적 도전 과정으로 자존심(텃새와 배짱사이), 언어 습관(직설과 간설사이), 돈의 가치(절대와 상대가치사이), 남녀역할(차별과 유별사이), 관습(무심과 세심사이), 행동방식(경쟁과 저돌성사이), 가치(단일과 다양사이), 양육방식(집단내 독립과 가정내 보호사이)에 관한 경험의 의미로 ‘거센 소용돌이’의 풍경으로 나타났다. ‘다양함’의 의미는 남북한 이문화 부부가 도전에 대해 타협과 변화하는 과정으로 개인과 문화의 복합적인 차이로 이해하는 정서치유, 서로 다름을 받아들이는 상생, 공통점으로 찾은 가족애, 남한식과 북한식 중 선택하는 본 따오기, 서로 성장하는 정체성의 확장으로 ‘흐르는 오색물’의 풍경으로 은유하였다. 이러한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상호작용 과정 경험과 그 의미는 개인적이고 문화적인 차이로 인해 전형적인 어려움들을 겪지만, 대부분의 부부들은 문화간의 경험을 통해 자기 자신을 돌아보며 자신의 삶을 도전적으로 더욱 풍성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또한 다른 사람의 관점이나 삶의 방식에 관해 더 풍부한 지식을 가지게 되어 다른 사람들의 갈등과 문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고 그들이 찾은 대안은 사회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것임을 의미한다. 두물머리에서 만나는 과정을 통해 동안 남북한 이질화 문제를 다루었던 분석적 개념들은 일상적인 상호작용 속에서 확장되었다. 갈등과 도전과정의 개념들은 구체적이지 않고 대립적 개념이었던 남북한 특성을 다양하고 상보적 개념으로 다시 바라보게 하였고, 지금까지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남북한 사람들의 타협과 변화 과정 개념들은 남북한 통일과정에서의 사람들간 통합의 희망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도출된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가족과정 경험은 남북한 이문화 사람들간의 상호작용을 돕는 사회복지실천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함께 제시하고 있다. 그동안 그들의 이야기는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사회적 소수자로서의 비밀스런 이야기로 전해져 왔다. 또한 그들이 부부와 가족 문제에 대해 사회적 편견과 정보의 제약으로 소극적인 문제 해결 방법을 답습하는 경험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통해 드러난, 상당한 시간 노력과 시행착오를 거쳐 적극적인 방법을 찾아낸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성공적 이야기들은 실천가와 유사한 도전을 받는 남북한 부부들에게 힘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전문적인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 및 사회적 변화를 위한 적극적인 옹호활동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는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사회적 소수자, 북한이주민, 그리고 그들의 가족에 대한 문화적 역량을 키우는 ‘문화적으로 민감한 사회복지 실천’과 가족복지 실천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회복지 이론과 방법론, 그리고 실천에 대한 함의는 사회적 소수자, 이문화 부부, 남북한 사람들의 관계, 나아가 남북한 통합과정에서 나타날 문제에 대한 사회복지실천 접근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서론 = 1 A. 연구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및 연구 질문 = 6 C. 연구의 의의 및 한계 = 7 1. 연구의 의의 = 7 2. 연구의 한계 = 8 Ⅱ. 문헌 고찰 = 9 A. 이문화 부부의 가족 경험 특성 = 9 1. 가족과정 이론(family process theory)과 이문화 부부 경험 = 9 2. 가족생활주기와 문화적 차이에 대한 타협(negotiation) = 12 B.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경험 사례 = 16 C. 용어의 개념적 정의 = 20 1. 남북한 이문화 부부(intercultural couple) = 20 2. 가족 과정(family process) = 21 Ⅲ. 연구 방법론 = 22 A. 연구 설계의 근거 = 22 B. 연구 논리 및 연구 방법 = 25 1. 사회문화적 구성주의 = 26 2. 내러티브 탐구 방법 = 28 C.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 32 1. 모집단과 표본 특성 = 32 2. 표집 방법 및 연구 참여자 특성 = 34 3. 연구 과정 = 35 4. 연구의 엄격성 = 44 5.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 48 Ⅳ.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가족 과정 경험 이야기 = 50 A. 북녀남남(北女南男) 이야기 = 51 1. [가][나] 부부 이야기 = 51 2. [다][라] 부부 이야기 = 69 B. 남녀북남(南女北男) 이야기 = 82 1. [마][바] 부부 이야기 = 82 2. [사][아] 부부 이야기 = 107 3. [자][차] 부부 이야기 = 128 Ⅴ.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가족과정 경험의 의미: 두물머리에서 만나는 과정-남북한의 이문화간 상호작용과정 = 150 A. 두물머리 수면 위의 이야기: 사회구조적 풍경과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상호작용 = 151 1. 두물머리에서 우리는 같음: 동문화 결혼 담론 채택 후의 경험 = 152 2. 두물머리에서 우리는 다름: 이문화 결혼 담론 채택 후의 경험 = 155 B. 두물머리 수면 아래의 이야기: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상호작용과 심리 관계적 풍경 160 1. 두물머리에서 준비없는 만남-낯선 물보라: 만남의 과정 = 160 2. 두물머리에서 혼란스레 섞임-굽이치는 물살: 심리 정서적 도전 과정 = 164 3. 두물머리에서 만난 서로 다름-거센 소용돌이: 관계적 도전 과정 = 168 4. 두물머리에서 찾은 서로 다양함-흐르는 오색물: 타협과 변화 과정 = 179 Ⅵ. 결론 = 187 A. 요약 및 결론 = 187 B. 연구의 함의 = 195 1. 이론적 함의 = 195 2. 방법론적 함의 = 197 3. 실천적 함의 = 198 C.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204 참고 문헌 = 206 부록 = 216 ABSTRACT = 2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459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the North-South Korean-
dc.subjectintercultural couple-
dc.subjectfamily process-
dc.subjectqualitative research-
dc.subjectnarrative inquiry-
dc.subjectconfluence-
dc.subjectintercultural process-
dc.subjectthe North Korean defector-
dc.subjectculturally sensitive social work practice-
dc.subjectcultural competence-
dc.title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가족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여-
dc.title.translatedA Narrative Inquiry of the Family Process Experience in the North-South Korean Intercultural Couples-
dc.creator.othernameLee, Min Young-
dc.format.pageⅷ, 23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