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김경아-
dc.creator김경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5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5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4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585-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지역혁신체제(regional innovation system) 구축 또는 지역별 혁신클러스터(innovation custer) 구축을 위한 많은 논의들이 국가의 균형발전을 꾀하고 지역경제성장을 촉진하는 새로운 지역정책으로 각광받고 있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및 산업자원부, 과학기술부, 정보통신부 등을 중심으로 지역혁신체제 및 혁신클러스터에 관련된 정책들이 수립하고 있다. 지역별 권역별 핵심산업들을 선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혁신체제를 구축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또한 혁신체제에서 강조하는 네트워크로서 산학연에 대한 다양한 지원정책들의 추진할 계획이다. 문제점은 지역혁신체제 정책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다루어야 할 지역산업구조가 기업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과 혁신을 위한 협력파트너들과 협력전략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지역혁신체제의 당위성과 필요성을 논의하기 앞서, 정책이 전제하고 있는 지역의 혁신적 환경이 과연 얼마나 어떠한 방향으로 실제 개별기업의 혁신에 영향을 주고 있는가에 대한 탐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지역혁신체제는 ‘지역’에 입지한 기업들의‘혁신’에 긍정적 역할을 수행하는‘시스템’으로서 ‘지역산업구조’와 ‘혁신을 위한 협력전략’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기업의 기술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혁신체제의 요인들의 크기와 특성들을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지역혁신체제 정책을 논의하기 위한 기초연구가 되고자, 지역혁신체제에서 강조하는 요인 중에서 기업이 입지한 지역의 산업구조와 기업이 채택한 협력전략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대상은 전국 16개 시도에 입지한 중분류제조업 전체산업이다. 본 논문에서 협력전략이란 기업이 선택한 혁신을 위한 협력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다. 협력목적과 협력파트너를 기준으로 분류한 6가지 협력전략유형들이 산업의 기술수준과 혁신종류에 따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혁신과 관련된 비즈니스서비스업(business service industry)의 발달과 동종산업의 집적(agglomeration)과 같은 지역산업구조가 기업혁신성과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가를 살펴본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대상은 전국 중분류 제조업체 중에서 상시종사자규모 평균 6인 이상의 3,559개 기업이며, 이들 기업이 2000년부터 2001년에 상업화에 성공한 기술혁신이다. 기술혁신의 종류는 공정혁신, 개선혁신, 신제품 혁신이다. 이 때 혁신이란 해당산업이나 지역의 최초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설문응답기업의 입장에서 과거와 다른 신제품, 개선제품, 공정이 실현되고 상업화 되었는가를 의미한다. 즉, 혁신이란 혁신을 채택한 사람 또는 조직에게 새로운 것(newness)인가를 기준으로 하는 Rogers(1995)의 혁신에 대한 정의와 같다. 분석자료는 과학기술정책연구소(STEPI)에서 2002년 실시한 ‘2002년도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제조업’의 설문응답 원자료이다. 이 원자료는 전국 16개 시도의 제조업 중분류별 3779개 기업의 설문응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통계청에서 공식승인을 받은 통계조사로서 모집단에 대한 정보제공에서도 통계적 의의가 있다(통계청 승인번호 39501). 조사에 사용된 설문지는 EU 및 OECD에서 기술혁신활동을 측정할 수 있는 방안으로 마련하고 1992년 OECD가 작성한 Oslo Manual에 기초하고 있다. 실증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OECD 및 EU 회권국에서 2차에 걸친 기술혁신조사(Community Innovation Survey: CIS)에 사용된 설문지이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는 향후 보완적 연구로 선진국과의 국가간 비교연구도 가능하다. 기업혁신에서 지역혁신체제의 영향은 혁신을 위해 기업이 채택한 네트워크를 의미하는 혁신협력전략과 기업이 입지한 지역산업구조의 영향으로 한정하였으며, 제도적 또는 문화적 측면에서 지역혁신체제의 요소들은 연구의 범위가 아니다. 연구의 범위를 기업의 기술혁신에 대한 지역산업구조 및 협력전략으로 한정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지역혁신체제의 이론적 개념은 기업과 그 지역에 입지한 대학 및 연구소 등 지역의 혁신성을 보여주는 인적자원과 물리적 자원과 이러한 구성요소들 간의 혁신활동을 위한 원활한 네트워크 즉 협력관계, 지역성 또는 신뢰 등의 혁신적 문화 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지역혁신체제의 독창성은 지역에 입지한 기업들, 대학 및 연구기관, 정부 등의 다양한 주체들이 신뢰 등을 바탕으로 원활한 협력관계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암묵지 및 지식이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교류한다는 시스템적인 시각에 있다. 본 연구의 초점은 지역에 입지한 기업의 기술혁신과 혁신을 위한 협력전략 및 지역산업구조이며, 이것은 궁극적으로 지역혁신체제 논의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기술혁신성공과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집적경제, 기술혁신에 영향을 주는 혁신적 산업발달, 기업이 혁신을 위해 선택한 협력전략 등을 총 3599개 개별기업차원의 자료로 실증분석한다. 기술혁신에 영향을 주는 혁신적 산업발달이란 기업이 입지한 지역의 연구개발업과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의 생산성을 의미한다. 혁신에 영향을 주는 집적경제란 기업이 입지한 지역의 동종산업의 종사자분포를 의미하며, 이것은 집적경제 및 클러스터이론 등에서 중요한 논점이다. 설문조사에서 협력파트너가 입지한 지역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기업의 협력파트너의 입지가 반드시 기업이 입지한 지역과 일치한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이 입지한 지역의 산업구조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 선택한 협력전략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는 효과적 지역별 혁신체제 구축을 위해서 지역의 대학 및 연구소, 시장에서 공생하는 지역기업들과 혁신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제조업 중분류산업의 3599개 기업을 분석대상으로, 기업특성, 지역산업특성, 협력전략 및 기술획득방법 등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실증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첫째, 산업별 종사자들의 분포와 기술수준을 기준으로 중분류 제조업 산업을 7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7개 산업들의 협력관계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둘째, 로짓회귀분석을 통해 공정, 개선, 신제품혁신과 혁신매출로 측정한 기업의 혁신성과에 대해 기업특성, 지역산업구조 및 혁신을 위한 협력전략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실증분석하였다. 첫째, 산업간 협력파트너 및 협력종사자분포를 기준으로 대도시집중형 산업과 지방(광역도)집중형 산업으로 분류하고, 여기에 OECD의 4가지 산업기술수준분류를 바탕으로 제조업을 7가지 유형의 산업으로 분류하였다. 7가지 산업별로 혁신활동에서 협력파트너의 중요도, 협력관계 등의 특징 및 차이점을 비교분석 하였다. 대도시형 산업들이 협력관계를 통해서 혁신활동을 추진하는 경향을 보이며, 특히 중위기술산업들에서 고위기술산업보다 외부협력을 통한 혁신활동이 활발하다. 이것은 고위기술산업에서 기술은 기업의 핵심자원이되기 때문에 협력을 통한 혁신보다는 자체개발 등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나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 하나의 특징은 대도시형 저위기술산업의 혁신율이 비교적 높다는 것인데, 상대적으로 저위기술산업들의 혁신에 대한 연구들이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효과적인 혁신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 고위기술산업뿐만 아니라 저위기술산업들의 혁신활동에 대한 실증분석연구들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둘째, 기업특성, 지역산업구조, 혁신을 위한 협력전략 및 기술획득방법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로짓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업혁신에 영향을 주는 지역산업구조란, 집적경제에서 논의되어 온 동종산업의 집적과 생산자서비스업, 특히 기업의 혁신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비즈니스서비스업의 발달을 뜻한다. 혁신을 위한 협력전략이란, 협력 목적에 따라 혁신파트너를 선택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앞에서 7개 산업유형별 비교에서 살펴본 협력파트너와 협력목적을 요인분석을 통해 유형화하였다. 협력파트너는 기업형파트너와 연구형파트너, 협력목적은 파트너의 전문성공유형, 유통중심(supply chain)형, 안전지향적 배분형으로 분류하였다. 협력전략은 3종류의 협력목적에 따라 선택한 연구형파트너와 기업형파트너이며, 총 6개 유형의 협력전략이다. 기술혁신 네트워크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누구와 협력하였는가를 개별협력파트너를 더미변수로 하여 실증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누구와 협력하는냐 못지않게 왜 협력하는가가 혁신활동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전문성을 공유한다고 하여도 연구형 파트너로부터 전문성을 공유하는 것과 기업형 파트너로부터 전문성을 공유하는 것은 지향하는 전문성의 성격이 다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같은 연구형 파트너라고 하여도 전문성을 공유하기 위한 협력과 위험을 분산하고 비용을 분담하기 위한 협력은 혁신활동의 강도와 진행방향에 차이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로짓회귀분석을 통해 기업의 혁신성과에서 기업특성, 산업특성이외에 지역혁신체제의 구성요소로서 지역의 산업구조와 혁신의 협력전략이 미치는 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로짓회귀분석은 공정혁신, 개선혁신, 신제품혁신 등 3종류의 혁신에 대한 성공여부, 시장최초의 혁신성공여부, 혁신에 의한 매출액여부를 종속변수로 한다. 혁신에 성공한 기업들 중에서 혁신성과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선형회귀분석은 혁신관련 특허 및 지적재산권 출원건수와 표준화점수를 응용한 총혁신지표를 종속변수로 한다. 독립변수는 기업특성, 산업특성과 지역혁신체제 요소로서 지역산업과 협력전략이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혁신성과에서 기업특성의 영향중에서 기업규모는 혁신성과와 U자형의 2차함수의 관계를 갖는다. 단, 고위 및 중고위산업의 특허 및 지적재산권 출원건수와 총혁신지표(Innovation Index)에 대해서는 일정규모의 기업들이 혁신성과가 더 높으며 그 이상의 규모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역U자형의 관계에 있다. 혁신에 성공한 저위 및 중저위기술산업 기업에서는 기업규모가 큰 기업들이 특허 및 지적재산권 출원건수가 더 많은 선형관계이다. 자본집약도는 고위 및 중고위기술산업들에서만 유의한 설명변수였는데, 그 이유는 이들산업이 자본집약적 산업이기 때문이다. 연구개발과 관련된 지출액은 저위 및 중저위 기술산업에서 회사내부로 지출한 금액이 혁신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그러나, 특허 또는 시장최초와 같은 양질의 혁신에 대해서가 아니라 개별기업의 관점에서 새로운 시도라고 할 수 있는 혁신성공여부에 대해서만 유의성이 있다. 지역산업구조의 대리변수 중에서, 총산업종사자에서 제조업 종사자의 비율로 측정한 제조업의 집적은 혁신성과에 영향을 주는 지역산업요인으로서 유의성이 없었는데, 이것은 자료의 한계 때문에 공간범위가 광역시도로, 비교적 공간의 범위가 크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개발업은 발달한 지역에 입지한 고위 및 중고위 기술산업의 기업들의 국내외 최초의 혁신성공과 신제품혁신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반면 전문서비스업은 고위기술산업군의 혁신에 중에서 시장최초의 혁신과 특허 및 지적재산권 출원건수와 같은 양질의 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반면 공정혁신에 대해서는 오히려 음의 관계에 있다. 이것은 공정혁신의 특성과 전문, 과학, 기술서비스업이 발달한 지역이 대도시라는 것과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즉, 도시에 입지한 고위 및 중고위기술산업들은 도시내부의 기업들과의 협력 또는 아웃소싱등을 통해서 보다 효과적인 생산체제를 유지할 수 있다면, 오히려 대도시지역의 이들 기업들은 공정혁신의 필요성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은 지역더미변수 중에서 유일하게 유의한 고위기술산업군의 대도시지역더미가 음의 값을 갖는 것과도 일치한다. 현재 산업자원부의 10대산업 및 정보통신부, 과학기술부의 핵심동력산업을 선정하고 추진하는 산업들이 모두 이러한 고위기술산업들이다. 또한 지역혁신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각 지방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유치하겠다는 산업들도 모두 고위기술산업이다. 고위기술산업의 유치도 중요하지만, 지역에 유치한 고위기술산업이 지속적인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연구개발서비스업과 같은 지식기반서비스업의 발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지역혁신체제가 제공하고자 하는 혁신의 공간에서 질 높은 연구개발서비스업의 육성 및 유치도 함께 제고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법률, 광고, 회계 및 마케팅 등을 포함하는 전문, 과학 및 기타서비스업의 경우, 고위기술산업의 개선혁신에 관련된 특허 및 지적재산권의 출원여부에서도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의 생산성이 높은 지역에 입지한 기업들의 혁신성과가 더 높았다. 고위기술산업을 유치하겠다는 지방정부들의 적극적인 자세는 높이 살만하지만, 지역에 유치한 고위기술산업들이 지속적으로 혁신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특히 신제품 혁신을 창출하는데 있어서 혁신적 지역분위기의 필요성, 특히 전문, 과학기술 및 기술서비스업과 같은 고부가가치 지식기반산업의 육성 및 유치도 함께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이 지역혁신체제의 원래 의도인 혁신적 지역 환경이자 혁신을 위한 네트워크 즉 협력전략을 의미하는 정책인 것이다. 본 논문의 정책적 함의 및 한계는 다음과 같다. 지역혁신체제의 논의의 실익은 기업의 혁신성과를 향상시키도록 지역을 하나의 혁신적 공간으로 재구성한다는데 있다. 혁신을 통해 지역경제를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전체가 혁신적 연계성을 갖도록 개선하는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지역혁신체제를 도입하고 구축하기 전에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실제로 기업혁신에서 지역혁신체제에서 주요하다고 지적하는 요인들의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가에 대한 실증분석이다. 특히 지역산업구조가 산업의 혁신에 미치는 효과를 이해하고, 기업의 협력파트너와 협력목적에 따라서 기업혁신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에서 주목할 점은 고위기술산업군의 경우, 특허 또는 시장최초의 혁신과 같은 양질의 혁신의 성과를 높이는데 지역의 비즈니스서비스업의 발달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혁신성공여부를 설명하는데도 유용하다는 점이다. 반면 동종산업의 비중으로 측정한 집적경제이익은 적어도 광역시도 단위의 공간규모에서는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광역자치단체 수준에서 동종제조업의 집적경제 또는 집적비경제를 논의는 유의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적어도 공간적 범위를 수도권이나 4대 광역권과 같은 공간차원에서, 동종산업의 집중에 의한 집적경제나 집적비경제는 확인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테크노파크 또는 혁신클러스터와 같은 상대적으로 보다 작은 규모의 집약된 공간에서의 동종산업 집적이익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협력전략의 경우 모든 산업에 대해서 생산공정을 개발하거나 부품을 원활하게 조달하고 신규배송채널에 접근하기 위한 ‘유통중심’의 협력목적을 가지고 기업형파트너와 협력하는 것은 혁신성공과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고위기술산업의 경우 기업형파트너와 전문성을 공유하기 위한 협력전략은 시장최초의 혁신성공과 혁신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허 및 지적재산권을 출원은 위험과 비용을 분산시키기 위해 기업형파트너와 협력할 때 더 높은 성과를 거두는 경향이 있다. 반면, 연구형파트너와의 협력은 전문성공유를 목적으로 할때, 모든 산업에서 해당기업이 공정혁신, 개선혁신, 신제품혁신의 성공과 혁신매출액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단지, 이러한 협력은 시장최초 또는 특허출원과 같은 혁신에는 유의하다고 할 수 없다. 이것은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들이 시장선도적인 혁신이나 특허출원과 첨단혁신보다는 기업에 입지한 기업들이 새로운 혁신을 채택하고 성공적으로 도입하는데 있어 인큐베이터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지방정부 및 지역혁신체제와 관련된 정책들은 산학연의 관계를 첨단산업의 창출보다는, 이미 시장에 도입된 혁신을 지역에 입지한 기업들이 빠르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혁신의 전도사적인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오히려 첨단산업의 시장선도적이고 신기술의 창출을 위해서는 기업들이 전문성을 공유하고 혁신과 관련된 유통부문에서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정책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 협력목적에 따라 다양한 협력파트너를 쉽고 효과적으로 탐색하고 협력관계를 체결할 수 있도록 지역의 기업들에 대한 정보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야할 것이다. 이것은 특히 고위기술산업들에서 지역내 기업들이 win-win 하도록 하는 정책정보망 형성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기업혁신성과에 대해 지역산업구조와 혁신협력관계가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에 대하여, 제조업 전체 중분류산업의 3599개 기업자료를 실증분석하였다. 지역혁신체제의 논의를 더욱 풍부하게 하고, 한국기업혁신성과에서 지역특성과 협력전략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지역혁신체제에 대한 접근이 기업의 성과에 국한되었으며, 제도 및 문화 등과 같은 혁신체제의 또 다른 주요요인들은 향후 연구과제로 남겨두었다. 또한 혁신체제의 관점에서 기업혁신을 실증분석하였으나 아직 초기단계의 연구이기 때문에, 지역혁신체제가 기업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좀 더 세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할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 지역산업구조와 협력전략에 대하여 한국적 지역혁신체제 이론의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Studies on regional innovation system or innovation cluster have recently been on the spotlight as new regional policies with expediting impacts o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The policies on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innovation cluster have been discussed among the related government organizations such as Presidential Committee o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ese policies deal with selecting regional core-industries and forming an innovation system based on the selected core-industries. In addition, the authorities plan to carry out various mechanisms to support the network that encompasses the industry, the academy and the research institute. Such network has greatly been emphasized in the literature of innovative system. However, such approaches have been pointed out as lacking empirical analysis on how the difference among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s produce separate outcomes of corporate innovation, who are the subjects of the cooperative innovation and what are the cooperative strategies for the innovation. Before arguing the necessity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what would be the result of the business innovation within the regional environment under current government policies and regional environment system should examined. This study discusses the effects on the technology innovation brought by 'regional industrial system' and 'cooperative innovation strategies,' which work as a whole positive 'system' for companies located each 'region.' Regional industry structures have been referred as one of the key factors in the regional innovation literature. This study aims on examining how each regional industry structure determines the success of innovative cooperative strategies employed by companies located on each region. For the end, this study investigates sizes and feature of influential factors to the technology innovation within regional innovation system. As its empirical cases, it takes compani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roughout sixteen provinces and citie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can be served as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effective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The term, 'cooperative strategies' in this study refers a set of cooperative relation that a company chooses to have for the innovation. According to purposes and subjects of the cooperation, this study categorizes cooperative strategies into six types and analyzes how each type of cooperative strategies affect the outcome of innovation as looking at the level of technology and nature of innovation. Furthermore, this study looks on how the development of business service industry, which is related with the innovation of industry, and regional industry structures such as agglomeration of alike companies affect the fate of innovation of each company. This study examines the technology innovation that 3,559 companies that have successfully introduced technology innovation to the market from 2000 to 2001. These companies are enlisted in manufacturing division in the Korea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KSIC) and with more than six full-time employees. The technology innovation includes innovation at each of a process, a reformation and products. When a process, a reform or a product is defined as 'innovation' in this study, it means not only that ideas or skills are firstly announced in the region or the industry but also that interviewee-companies believe to introduce to the market with bearing differences from the previous ones. In other words, this study takes the same stance with Rogers(1995), defining innovation as the newness of a process, a reformation, or a product to the adapting entity or organization.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data from 'Korean Innovation Survey 2002: Manufacturing Sector' by Science Technology Policy Institute(STEPI). STEPI collected the data directly through interviews. These data, with the official approval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NSO), consist of interviews with 3779 manufacturing companies in sixteen cities and provinces throughout Korea and bear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sense of providing information on a population (The approval number by NSO is 39501). The questions in the interview are based on Oslo Manual designed by the OECD to assess the technologic innovation activities among the member states of the OECD and the EU. To consider the questionnaires in these analysis have applied twice for the Community Innovation Survey (CIS) among the member states of EU and OEC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be served as valuable asset for comparative studies among the developed states in the future. This study confines the scope of impact from regional innovation system on the business innovation only within what the industry structure of each region where a company is located. It excludes the institutional or cultural factors in the assessment of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Theoretical definition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is made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hat demonstrate the innovative aspects of the region such as University and research institutes located in each region, and the innovative culture that includes the active cooperative network system among the resource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reliability. Therefore, originality of regional innovative system depends on the smooth network based on the trust and the systematic efficiency of tacit knowledge exchanges among various entities such as companies,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governments. Nevertheless, the ultimate focus of the regional innovative system lies on the cooperative strategies and regional industry system for the technology innovation and business innovation; so is the ultimate focus of this research and that's why this research limits its analysis to the industry structure of the region. For this, taking the cases of 3599 companies, the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n the technology innovation at the individual company level according to the following factors: agglomeration economy that is determined by the spread of the alike industries within the region, the innovative environment which has the direct influence on the technology innovation, and the cooperative strategies that companies employ as innovation measure. Since the original data from the STEPI do not include the information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of companies' cooperative partners, it is hard to assume that companies and their partners are located within the same region. Accordingly,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e effect brought only by the innovative system of the region where the company is located and the innovative strategies that the company chooses to apply.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useful information in establishing the innovative cooperative network system among academic institutes, research centers, and companies that coexist within a regional market. To mention the method of this research in a more detail, this study takes 3,599 manufacturing companies enlisted as manufacturing division according to KSCI and analyzes the effect on the business innovation caused from the features of companies and regional industries, cooperative strategies, and the methods of technology attainment. The analysis is composed of two parts. The first part of analysis categorizes the manufacturing industries into seven types according to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employees and to the technology advancement of each industry. Once the types are clarified into seven, it examines and compare cooperative relations of each type of companies. The second part of analysis figures out how each of the feature of companies, the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and cooperative strategies for the innovation on the outcome of industry innovation. Applying logit regression analysis, it clarifies the result of analysis in each aspect of process, reform, and product innovation. The first part of analysis divides companies into those dense in the big city and those dense in the regional(provincial) cities according to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cooperative entities and their employees. Then, adding four types of industries clarified by the OECD according to the technology advance, the first part of the analysis categorizes the whole manufacturing companies into 7 types. Once gaining 7 categories, the study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n differences across the categories in terms of the role of the cooperative partner and the nature of the cooperative relation. Companies dense in the big city exhibit the tendency to utilize the cooperative relation in pursuing their innovation. Especially, cooperative relation has been found to be more efficient for those with mid level of industry technology than those with high level of industry technology. Such result is considered from the fact that industries with high level of technologies innovate themselves and develop their competitiveness by themselves rather than cooperating with another entity as technologies are considered as their core competitive resources. Another remarkable finding is the innovative propensity of companies with low level of industry technology is relatively high while the studies on these companies are extremely scarce. Thus empirical research on the companies with low level of technologies as well as those with high level of technologies are recommended in order to have the efficient innovative system. The second part examines the influence on the innovative output of business each from the features of companies, the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cooperative strategies for the innovation, and technology attainment methods by using logit regression analysis. Agglomeration of alike companies, as discussed in the agglomerated economy literature, and development of product service industry, especially business service business that holds direct influence on the innovation of companies, are found in the efficient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for company innovation. Cooperative strategies for innovation are a set of actions of choosing the cooperative partner for the end of cooperation. Cooperative partners and purposes of cooperation from the previous seven industry-categories can be typifie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The types of cooperative partners are divided into the entrepreneur-like-partner and the researcher-like-partner. There are four types of cooper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cooperation; professional sharing one, supply chain one, and safety-oriented one. In total, there are six types of cooperative strategies. Previous studies on the technology innovation network have paid attentions to who cooperates with whom as taking the individual cooperative partner as dummy factor.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mposes the same importance on the question why cooperates as on who cooperates. For example, the nature of professionality shared with researcher-like partner is quite different that with entrepreneur-like partner even if the purpose of the cooperation is to share the professionality. Also, even if cooperating with the identical researcher-like partner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cooperation, i.e. whether to share the professionality and whether to divide risks and costs, companies get different results in terms of the degrees and the direction of the innovation activities. The logit regression analysis enables this study to empirically account the influence of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s and cooperative strategies for innovation on the outcome of business innovation. In the logit regression analysis, the innovations of processes, reformation, and products are taken as dependant variables toward the success/failure of innovation. This research employs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explain the differences of innovative outputs among the companies with successful innovation.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akes the total innovative index, which is determined from the number of innovation-related patents, the times of announcing copyrights, and the score of standardiza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the characteristics of companies and of industries, and the factors of regional innovative system including the regional industry and the cooperative strategies. The size of companies, which is part of the impact belonging to the character of companies on the innovative impacts, formulates an U-shaped function in the relation with the output of innovation. However, an inverse U-shaped function is formulated between the size of companies and the number of patents and copyright announcements in case of companies of mid and high level of industry technology: as the number of patents and copyright announcements by the industries of mid and high level of industry technology increases, companies upto a certain size have increasing innovative outputs while companies that exceed the certain level of size have decreasing innovative outputs. Among the companies of low and low-middle level of industry technologies, bigger companies formulates a linear regression relation with the number of patents and copy rights announcements. Capital intensiveness is available as an expository variable only to the industries of high and middle-high level of industry technologies because those industries are capital intensive. R&D related costs have the positive effects on the innovative output if the costs is spent within the company. However, they are applicable only to the innovation such as newly approached methods within the individual organization of business but not like a quality innovation within a market such as patents or the first invention. Among the proxy variables of the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the agglomeration rate of manufacturing industry, which is calculated by the ratio of the number of employe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within the total number of employes of the whole sectors, is not significant as determining factors of the innovative outputs. Such result can be induced from the limits of data since the spatial scope in this empirical study gets as wide as megalopolis. R&D industrie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ompanies that are located in the developed areas and with high and mid-high levels of industry technologies. Meanwhile, professional service industries are highly influential on companies of high level of industry technologies for the success of qualitied innovative outputs such as the first innovation in the market and the announcement of patents or copyrights. However, the process innovation is put in the negative relation. This is because the nature of the process innovation is closely linked with the big cities where the professional, science, and technology service industries are converged. In other words, because companies with high and mid-high level of industry technologies are usually located in the big cities where the companies find it easy to manage the efficient production line thanks to another companies within the cities to cooperate with or outsource, they do not have the need for the process-innovation. This aspect about a big city also accounts for that companies with high level of industry technologies in the big cities, which is the only meaningful one among the regional dummy variables, has the negative figure. Most of the industries that are selected and pursued by the related government organiza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Industry and Energy,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are the industries with high level of industry technologies as mentioned above. Also, most of industries that each local government has announced to attract are those with high level of industry technologies as mentioned above. The result of this study emphasizes it is equally important to develop knowledge-based industries such as R&D and intellectual service ones as well as companies of high level of industry technologies in order to achieve the intended competitiveness once companies of high level of industry technologies are attracted within a region. Accordingly, this study implies the necessity to consider developing the R&D industry of high quality in the space that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tries to provide the innovation with. In addition, in the case of professional service industries such as legal, advertisement, accountant, and marketing industries, the companies located in the region with high productivity in the field of professional and scientific services demonstrate higher innovative outputs in terms of patents and copyrights related with reform-innovation. It is approvable of local governments to aggressively attract the industries of high technologies; however, in tandem with those industries, they should consider to attract the knowledge-based industries such as professional, scientific and technologic service fields, which yield high added values, and thereby the innovative regional atmosphere in order to achieve the product innovation. This would be truly a cooperative strategies for the regional innovation as the regional innovative structures are planned. Beside the findings mentioned above, this research bear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s. What can be gained through the discussion of regional innovative system is the reconstruction of the region as the innovative space to improve the outcome of the innovation of individual companies. In order to improve the regional economy through the innovation, each parts of the region should be connected to each other from the innovative stance. Also,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related factors of a company with the regional innovative system should be preceded to the actual introduction and execution of regional innovative system. Especially, the effects that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cooperative partners and purpose of cooperation have on the industrial innovation should be better assessed. Amo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hat th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is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business service and the innovative output of companies within the regional market. Also, business service industry work as meaningful factor in accounting for the success/failure of corporate innovation. Meanwhile, agglomerate economic benefit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dense of the alike industries within a region do not have significance at least within as wide spaces as megalopolis cities and provinces. In other words, agglomerate economic benefits or losses are not confirmed within megalopolis cities and provinces such as the Metropolitan area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refore, studies on agglomerate economic effects from the convergence of alike industries within region should be targeted on relatively smaller spaces by the format of techno-parks or innovative clusters. Regarding the cooperative strategies, cooperation with the companies of 'supply chain' type is consider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successful innovation of all kinds of industries because the 'supply chain' typed partner companies aims on developing the production process, providing parts smoothly and assessing to the newly developed delivery channel. In case of companies with high level of industry technologies, entrepreneur-like partners are highly recommendable as the cooperative strategies to share the professionality of such partners bear surplusing effects on the success of innovation and innovative sales. From the cooperation with researcher-like partners, all the industries have the positive effects on the innovation of process, reform, and products, and the innovative sales as long as the cooperation aims on sharing the professionality. This type of cooperation cannot be said to be meaningful in terms of announcing the first innovation or patents in the market. This indicates that the desirable roles of Universities or research institutes are not to be the innovative leader such as introducing the first innovation or announcing patents but to be the facilitator in adopting new innovative policies. Therefore, the authorities in the local government and related with regional innovative system should appoint the facilitatory roles on the network of the industry, the academia and the research rather than the productive roles in the innovative system. Furthermore, there exists higher necessity to place appropriate and coordinating policies that would prevent any barriers along the flowing lines of innovation and the communication channels among the various partners. It is also given tasks of the government to facilitate smooth exchange of information among the various cooperative partners in order to have a successful and effective cooperative relations. This implies the necessity of the policies with so great accessability to the policy information that companies with high level of industry technologies within the region would have the win-win effects. In an attempt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and innovative cooperative relation on the innovative output of companies, this research carried out the empirical analysis on 3,599 companies which are categorized as the manufacturing industry. To enrich the discussion of the regional innovative system and to investigate the regional features and the impact of cooperative strategies were parts of what this research intended to. Nonetheless, it permitted its scope of assesment only to the output of companies saving the other key factors such as institutional and cultural ones for future research questions. Also, the empirical analysis on companies remained basic level, which leaves the urge to proceed the research into details. Following research should step up Korean regional innovative system in terms of cooperative strategies and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제 1장 서론 = 1 제 1절 연구의 배경 = 1 제 2절 연구의 목적 = 6 제 3절 연구범위와 분석대상 = 7 제 2장 기술혁신의 의의와 결정요인 = 10 제 1절 혁신의 의의 = 11 1. 혁신의 정의 = 11 2. 혁신의 유형 = 12 제 2절 혁신성과의 측정 = 14 1. 특허 = 16 2. 지식자본 = 17 3. 혁신채택여부 = 18 4. 혁신성공여부 = 19 제 3절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특성 = 20 1. 기업규모 = 20 2. 자본집약 = 22 3. 연구개발활동 = 22 4. 산업특성 = 24 제 4절 기술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 = 25 1. 기술혁신에 대한 공간적 이해 = 25 2. 기술혁신과 지역경제성장 = 28 제 3장 지역혁신체제와 기술혁신 = 30 제 1절 지역혁신체제의 개념 및 의의 = 31 1. 지역혁신체제의 개념 = 31 2. 지역혁신체제의 의의 = 33 제 2절 지역혁신체제와 기업의 혁신성과 = 35 1. 기술혁신에 대한 시각변화 = 35 2. 지역혁신체제와 기술혁신의 관계 = 36 3. 동종산업의 집적과 기술혁신 = 38 4. 비즈니스서비스업의 발달과 기술혁신 = 41 5. 지역혁신체제와 혁신협력전략 = 45 제4장 지역혁신체제와 기술혁신의 관계 분석 = 51 제 1절 지역혁신체제와 기술혁신의 관계 분석모형 = 52 1. 분석틀 = 52 2. 분석방법 및 변수설명 = 54 제 2절 분석자료의 구성 및 특성 = 58 1. 실증분석자료 = 58 2. 분석대상기업의 특성 = 60 3. 기술수준과 지역분포 = 64 제 3절 기술적 분석 = 70 1. 산업유형과 협력전략유형 = 70 2. 산업유형별 기술혁신활동 비교 = 75 3. 산업유형별 협력전략 비교 = 84 제 4절 지역혁신체제 분석의 계량모형 = 88 1. 회귀분석모형 = 88 2. 회귀분석 변수설명 = 91 3. 실증분석결과 = 98 제 5장 결론 = 109 제 1절 연구결과 요약 = 109 제 2절 정책적 함의 = 113 참고문헌 = 116 부록 1: 2002년 제조업 기술혁신 설문지 = 138 부록 2: 참고표 = 1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00191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dc.subject지역혁신체제-
dc.subject지역혁신시스템-
dc.subject기술혁신-
dc.subject집적경제-
dc.subject혁신협력전략-
dc.title지역혁신체제가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지역산업구조와 협력관계를 중심으로-
dc.format.page8, 18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