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혜-
dc.contributor.author진지영-
dc.creator진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4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9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4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956-
dc.description.abstract자연이란 「볼 수 있는 현상의 세계」이며 모든 예술의 근원이다. 그러므로 자연을 본다는 것, 느낀다는 것은 인간에게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계기가 되며 자연에 대한 동경과 열망을 갖게 하였다. 궁극적으로 인간의 자연에 대한 관심은 잠재적인 조형의 주제를 찾아 미적 표현 욕구로 승화되었으며 자연은 예술의 모체로서 그 대상이 되며 다양한 표현 가능성을 제시해준다. 이러한 자연이 주는 영감원은 예술적 표현에 있어서도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매개체로 독자적인 예술세계를 추구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연의 형태중에서 유기적 생명감과 비정형적 형태를 가진 버섯의 형태미를 이미지로 형상화하여 독자적인 조형세계를 추구하고자 하였으며 조형원리의 ‘형태’에 근거하여 전통적인 수공예적 염색기법인 홀치기기법을 도입하여 다양한 기법과 증열처리과정 증열처리: ‘스티밍’ 과정을 뜻하며 찜통에 쪄서 증열처리하는 것이다.을 결합시켜 주름, 구김, 요철 등 표면의 부조적인 재질감과 조형미를 갖춘 의상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버섯의 조형성을 이미지로 형상화하여 실용성과 독창성이 결합된 수공예적 고부가가치를 갖는 디자인을 창출하여 의상디자인의 표현영역의 확대를 추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버섯의 종류와 특징을 문헌과 사진자료를 통하여 조형적 분석을 하였으며 홀치기기법의 정의와 역사를 문헌과 사진자료를 수집하여 이론적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홀치기기법의 종류와 특징을 문헌과 사진자료 등을 통하여 조사 분석한 후 다양한 홀치기기법을 연구하였으며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홀치기기법의 작품을 수집, 분류,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총 8벌의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작품의 소재는 버섯의 조형성이 잘 표현될 수 있는 소재로서 폴리노방을 기본으로 니트, 울거즈, 가죽 등을 사용하였으며 홀치기기법 중 묶기기법을 중심으로 시침질, 통감기 등의 기법과 증열처리과정을 결합시켜 수공예적인 고부가가치의 의상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을 소재로 한 작품은 단순한 재현이나 모방을 표방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작가의 주관적인 조형의지에 따라 축소, 과장, 변형 등의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전개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버섯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유사형의 군집형태로 반복적인 선과 면의 조형성을 갖고 있어 현대적인 형태미를 표현하기에 좋은 모티브임을 알 수 있었다. 세째, 버섯을 모티브로 한 디자인 전개표현에 있어서 전통적인 수공예적 염색기법인 홀치기기법은 단순히 문양을 염색하는 과정에서 벗어나 묶기, 시침질, 통감기 등의 기법과 증열처리과정을 통하여 주름, 구김, 요철 등 부조적인 재질감의 조형적 표현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의 일원인 버섯의 조형미를 수공예적인 미적가치를 지닌 홀치기기법을 응용하여 독특한 조형성이 결부된 고부가가치의 의상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앞으로도 일반화된 사고에서 탈피한 홀치기기법의 다양한 소재개발이 이루어져 의상의 조형적 표현영역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Nature is visible world of phenomena and sources of all arts. Therefore, seeing and feeling nature is an opportunity to create beauty so that human beings will long for and yearn after nature. Ultimately, human interest in nature is sublimated to desires to express beauty after finding subjects of potential formative arts. Nature as the matrix of arts is an object of the expression and presents a variety of possible expressions. Inspiration from such nature lead to an original system of arts through various artistic materials and techniques. In this line, this study has analyzed the natural beauty of mushrooms, which has had something to do with humans for a long time, from the perspective of formative arts. The study has employed the method of tie, one of traditional handicraft dyeing methods, to apply varied techniques to artistic expressions, instead of simply dyeing some patterns onto textiles, in order to attain cubic effects after developing new material feelings such as wrinkles, rumples, and ruggedness. This study is aimed to create high value-added handicraft designs which are the combination of practicality and originality after imaging the formativeness of mushrooms, so as to expand the spheres of expressing costume designs. The theories of this study have been derived from documentations and photos describing the definition,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mushrooms. Then, the theories have been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formative arts. Furthermore, the kinds, characteristics and dyeing process of tie has been researched through related documents and photos, and the works of tie attested in the modern fashion have been collected, classified, and analyzed. Based on researches, the author has produced a total of eight works, whose materials include polyno-bang as well as knit, wool-gauze, and leather since they can express well the formativeness of mushrooms. Various methods of tie such as binding, winding, tying, and bundling have been applied to the eight works in order to express the quality and formativeness of mushrooms. Moreover, gradual addiction and gradation techniques have also been applied so as to develop high value-added costume desig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s: First, the works, whose motives comprise nature, do not simply represent reproduction or imitation but may develop various designs in accordance with the subjective formative intentions of the artist through the process of contraction, exaggeration, and transformation. Second, the shapes of mushrooms, which have the formativeness of repeated lines and faces, are usually a collection of similar forms and will serve as a good motive to express the modern formative beauty. Third, the expression of designs, whose motives are mushrooms, can be developed through the traditional handicraft dyeing method of tie, which does not simply dye patterns but formatively expresses the material relief feelings of wrinkles, rumples, and ruggedness through employing the methods of binding, winding, tying, and bundling and the carburetted processing method.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 high value-added costume design added with peculiar formativeness through applying the tie techniques, which have an aesthetic value, to the formative beauty of mushrooms, a part of nature. The present author expects that varied motives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to grow out of basic knowledge of the formative beauty and expand the extent of the formative expression of costum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xi 1. 서 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과 방법 = 1 2. 이론적 배경 = 3 2.1 버섯에 관한 일반적 고찰 = 3 2.1.1 버섯의 종류와 특징 = 3 2.1.2 버섯의 조형적 분석 = 7 2.1.3 버섯을 모티브로 한 디자인 사례분석 = 17 2.2 홀치기기법의 일반적 고찰 = 23 2.2.1 홀치기기법의 정의와 역사 = 23 2.2.2 홀치기기법의 종류와 특징 = 30 2.2.3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홀치기기법 = 36 3. 작품제작 = 48 3.1 작품 제작의도 및 방법 = 48 3.1.1 작품 제작의도 = 48 3.1.2 작품 제작방법 및 과정 = 49 3.2 작품해설 = 55 4. 결론 및 제언 = 96 참고문헌 = 98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7705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버섯(Mushroom)을 모티브로 한 의상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홀치기(Tie) 기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ostume Designs Whose Motive is Mushroom ; Centering on tie-
dc.creator.othernameJIN, Ji-young-
dc.format.pagexii,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