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0 Download: 0

젠더 개념을 통해 본 잡지에 게재된 주거공간의 특성과 변화

Title
젠더 개념을 통해 본 잡지에 게재된 주거공간의 특성과 변화
Other Titles
An Analytic Study on the Features and Changes of Contemporary Korean Houses Illustrated on Popular Magazine, as Gender Categories
Authors
김항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과학기술대학원 건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미선
Abstract
A gender is the first order for understanding the social reality. Classifying popular magazines is a valuable instrument for perceiving gender realities in society that dominate our thoughts and behaviors.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articles on housing appeared in the magazines targeting non-professionals (woman's magazines and home-living magazines) published from the 1980's up to the present, and analyzing them in term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 concept and the magazine media. In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housing space, this study particularly noticed on the actual social changes and the influences of gender type and magazine media, under the notion that gender is both the reflection and an influencing factor of housing space, and that magazines constituting social realities have a potent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housing as the media reflecting most promptly the realities of housing space and needs on household. Precisely this study intends to figure out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the overall picture of housing space has been since the 1980's and how the changes have proceeded; how the actual changes of gender has been reflected in housing space, or on the contrary whether housing space has reproduced existing gender relationship; whether magazines have formed biased views or forcing regulations when constituting social realities, particularly realities of gender and housing space; and whether magazines which have been underestimated would have the possibilities to improve woman's present conditions and household culture. Throughout the 1980's, social events as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took place, social reform movements toward democratization have led to the open society (Democratic Movement in Kwangju, May, 1980), and the rapid economic growth has been made as the GNP per person rose to more than 2000 dollar. These significantly led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the increase of women's social entry, and the activation of researches on feminism. More importantly, throughout the times the various demands on household as to the existing uniformity of housing had been made possible, and the imbalance between the presented information relating architecture and housing started to be improved through the means of magazines. Accordingly the period from 1980 to 2003 was set for the analysis, and the articles relating housing spaces reported in the most influential magazines ('Woman Donga' and 'Housewifery' as woman's magazines, and 'Happy House' and 'Decoration' as home-living magazines) were analyzed. For Korean architectural magazines are too professionalized media to provide a good means of communication with the general public, and are based on architectural conception that they might have been alienated from the fundamental conception of the 'house', magazines for non-professionals, especially woman's magazines and home-living magazines which form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resent women's condition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The contents of information appeared in the titles, photographs, and texts of articles were analyzed, and bot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xaminations were possibly conducted also by using statistical methods. In the second chapter, feministic researches as to space and mass media were conducted, and the basic principles of feminism theory were established as well. Along with these, the significance of gender and housing space and the relationship of the two were studied for the further discussion. Also,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role of magazines a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mong woman's magazines, home-living magazines, and architectural magazines were mentioned to gi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of study and the reason for selecting woman's magazines and home-living magazines as the subject. In the third chapter, changes in gender, housing space, and magazines were separately examined in order to set up the diachronic frame for analysis. Then the underestimated status and the influence of magazines were newly analyzed, through which it was verified that magazines could possibly function as a means to change the present conditions of women and the living culture. These changes were quantitatively examined in order to go beyond the superficial assumption, and the way the changes have developed an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m were precisely examined. The position of magazines had been researched in respect to reconsider the influence of magazines as perception-delivering media and the relation with women's present daily life, through the means of statistical data, the reliable research output carried out by Korean Broadcasting Station, and field studies. In the fourth chapter, the patterns of changes in gender, magazines, housing space since the 1980's were put in order through the analyses of magazine artic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space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correlation of them. Consequently, the magazine regulation of gender and housing space was analyzed, and the negative influence of magazines was estimated subsequently. In the fifth chapter, the study results in the chapter 3 and 4 were summed put together, an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stated. I hopefully wish that this study could provide a chance to establish the need of objective view of the present conditions of gender and magazine media, and the need of proper feedback between housing space and magazine media. Furthermore, this study has its ultimate meaning and objective so as to prepare the ground for forming the qualitative dwelling life in which the equality of women and man could be realized, through promoting the role of magazines as communicating means which act as an educator to improve the living culture and environment and providing opportunities of reestimating the present conception of housing space and gender.;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 간행되는 건축전문인이 아닌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잡지(여성지와 생활문화지)중에서 주거공간을 게재하고 있는 사례를 검토하고, 그것을 젠더개념과 잡지매체와의 연관성 속에서 분석하였다. 특히 주거공간의 특성과 변화를 살펴봄에 있어서 실제적인 젠더의 사회적 변화와 잡지매체의 변화 및 영향력에 주목하였는데, 이는 주거공간에 있어서 젠더가 반영 요소임과 동시에 영향 요소라는 점, 사회적 현실을 구성하는 잡지가 주거공간의 현실과 주요구(住要求)를 가장 빠르게 반영하는 매체로서 주거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점을 중요시 여겼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본 연구는 1980년대 이후 주거공간의 전체적인 상(想)은 무엇이고, 그 변화가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젠더의 실제적 변화가 주거공간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가, 주거공간이 역으로 기존의 젠더관계를 재생산하지는 않는가, 잡지가 사회적 현실 특히 젠더와 주거공간의 현실을 구성할 때 왜곡된 내용이나 강요된 규정들을 형성하지는 않는가, 하향평가 되어왔던 잡지는 여성의 현실이나 주거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가능성이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1980년대에는 서울 88서울올림픽, 민주화를 향한 사회변혁운동(광주항쟁, 6월 항쟁 등)으로 사회의 개방화가 이루어지고, 1인당 GNP가 2000달러가 넘을 정도로 경제적 발전이 급속히 이루어졌다. 이는 생활수준의 향상, 중산층의 확산, 여성의 사회진출의 확산과 페미니즘에 관한 연구의 활성화로 이어졌으며 특히 이 시기에 기존의 획일적인 주거공간에 대한 다양한 주요구(住要求) 표출이 가능해지고 건축과 주거공간 관련정보의 비대칭성이 잡지를 통해서 개선되기 시작했다. 그러므로 1980년부터 2003년이라는 분석시기를 정하고,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지(여성동아, 주부생활)와 생활문화지(행복이 가득한 집, 꾸밈)에 게재된 주거공간의 기사를 분석하였다. 한국의 건축잡지는 전문화되어 있어 대중과의 의사소통이 부족하고, 건축적 사고를 바탕으로 해 오히려 근본적인 ‘집’으로부터는 더 멀어졌을 수도 있기 때문에 분석대상 잡지로는 일반인들을 위한 잡지, 그 중에서도 여성의 현실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여성지와 생활문화지를 선택하였다. 기사의 제목, 사진, 글에서 나타나는 정보의 내용을 분석함은 물론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정량·정성적인 측면의 검토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2장에서는 보다 심화된 논의가 가능하도록 공간, 매스미디어에 대한 페미니즘적 연구를 포함하여 페미니즘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확립함은 물론 젠더와 주거공간의 의미와 그 둘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잡지의 사회적 역할의 중요성과 여성지, 생활문화지, 건축잡지의 성격별 특성을 언급함으로써 연구 대상 그 자체에 대해 이해하고 왜 여성지와 생활문화지여야 하는가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였다. 제 3장에서는 젠더와 잡지의 각각의 변화들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통시적 분석틀을 찾고자 하였다. 그리고 평가 절하되어왔던 잡지의 위상을 분석함으로써 잡지가 ‘여성의 현실과 주거문화를 변화시킬 도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젠더와 잡지의 변화는 막연하게 변화를 가늠하는 것에서 벗어나 정량적인 측면에서 깊이 있게 다루어졌으며, 특히 그 변화가 어떤 식으로 전개되었는지, 변화의 특징적인 점과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잡지의 위상은 통계자료, 한국방송공사의 신뢰성 있는 설문조사결과, 실제 현장 리서치조사를 통해 인식전달매체로서의 영향력, 여성일상과의 관계를 제고하는 차원에서 검토되었다. 제 4장에서는 잡지기사 분석을 통해 1980년대 이후의 젠더, 잡지, 주거공간의 변화추이를 연관관계속에서 정리하고, 잡지에 표출된 주거공간의 변화내용을 구체적으로 알아보면서 주거공간 변화가 지니고 있는 젠더적 함의를 규명해보았다. 그리고 잡지의 젠더규정과 주거공간 규정을 분석함으로써 잡지의 부정적 재생산측면까지도 검토하고자 하였다. 제 5장에서는 본 연구를 진행하는데 바탕이 되었던 관점을 밝히고 3장과 4장에서 연구한 내용을 재정리하고 종합하였으며, 문화를 주도하는 계층으로 자리 잡은 대중과 교감하지 못하는 건축계에 소통체로서, 바람직하지 않은 주거환경에 길들여져 주거에 관한 인식과 판단력이 왜곡되어 있는 현실을 변화시킬 수 있는 도구로서의 잡지의 가능성을 구상해보았다. 이 연구가 젠더의 현실과 잡지매체에 대한 객관적 시각의 필요성과 함께 젠더, 주거공간, 잡지매체 간에 올바른 피드백 작용의 필요성을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대중과의 소통체(疏通體)로서 잡지가 주거문화 및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올바른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도록 촉구하고, 주거공간과 젠더에 대한 현재의 인식들에 대해서 재평가의 기회를 제공하여 양성평등이 실현되는 질적인 주거생활의 관점이 형성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와 목적이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과학기술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