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인성-
dc.contributor.author변미연-
dc.creator변미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1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8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4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839-
dc.description.abstractThe moderns have been interested in upgraded living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modern society. Wellbeing appeared in the late 2002 and has been taken up one of trends. Wellbeing pursuits individual health and happiness and has influenced various fields based on clothes, food and housing. Different enterprises have spread marketing activities making a stepping stone of the wellbeing trend. Also, the wellbeing trend has brought out increase of leisure life with the five days work system. Because one of most factors preventing a nation from enjoying leisure is shortage of time, it is expected that the five days work system will create various leisure activities. This social change affected fashion and caused to improve casual wear. Casual wear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as comfort, utility and function of casual wear matched to social change despite recession of clothes business. Especially, this study on Friday wear performed for women workers in their 20's~30's reflecting high interest in Friday wear being worn in on and off their own time with the five days work system. This study rearranged a concept of Friday wear considered as casual wear by searching social background through analysis of literature study and photo materials and classifying by characteristics of casual wear. It investigated growing changes of casual wear and the progress of changes casual brands through a market survey based on departments in Seoul. And then, it examined characteristics of a design and the critical point of easy casual selecting GIORDANO, TBJ and NII of three easy casual brands, Also, it unfolded development of designs with a high-grade concept for women workers in their 20's ~30's based on analysis of S/S trend in 2005 by supplementing weak points of easy casual for actual study.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present casual wear showed subdivision of casual wear as abundant grouping vocabularies appeared contrary to the past. Secondly, easy casual wear has continuously increased by results of investigating departments in Seoul on the progress of changing easy casual wear brand including the concept of Friday wear. This increase trend appeared matching to social background causing preference to casual wear in spite of recession of clothes business. Thirdly, if a main target sets the early 20s, women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are likely to be reluctant to wear it according to results of investigating designs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GIORDANO, TBJ and NII of existing three easy casual brands through the market survey. Also, it was verified that most of these brands have no a luxurious image because they adhere to middle-low price. Fourthly, it improved problems of easy casual through developing designs of Friday wear. It developed designs to wear for women workers in on their own time without reluctance by setting the target on the late 20s and the 30s. Also, easy casual escaped the image of middle-low price by using high-quality materials and reflected minds of customers on designs of easy casual. Friday wear supplementing weak these points of easy casual wear was evaluated as suitable clothes for workers to wear in on and off their own time in Friday. According to these results, background considered as one phenomenon in modern society was found in the fashion field and will influence the changing current of casual wear for the future. Also, developing designs of casual wear will be a way to suggest new image to wear on and off time to Friday wear market and to activate differentiated easy casual wear.;현대사회의 급속한 산업화와 과학기술의 발달로 현대인들은 삶을 한 차원 높여주는 생활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2002년 후반 국내에 등장한 웰빙은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게 되었다. 개인의 건강과 행복을 추구하는 웰빙은 의·식·주를 비롯한 일상생활의 다양한 분야에까지 그 영향력을 미쳤으며, 각 기업에서도 웰빙 트렌드를 발판으로 마케팅 활동을 전개시켜 왔다. 또한 웰빙 트렌드는 주5일 근무제의 시행과 맞물려 여가생활의 증대를 불러왔다. 그동안 우리 국민들의 여가 활동을 가로막는 가장 큰 요인 중의 하나가 시간부족으로 나타났기에, 주5일 근무제의 실시로 다양한 여가활동을 추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패션부분에도 영향을 주어 캐주얼 웨어의 성장을 불러왔으며, 캐주얼 웨어가 갖는 편안함과 실용성, 기능성이 사회적 변화와 맞물려 의류업계의 경기불황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주5일 근무제를 맞이하여 온·오프타임에 착용할 수 있는 프라이데이 웨어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직장인을 위한 프라이데이 웨어 디자인 개발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다. 이에 연구자는 문헌 연구 및 사진자료 분석 등을 통하여 사회적 배경을 살피고, 캐주얼 웨어의 특성을 통한 분류를 시도하였으며, 이지 캐주얼의 의미로만 쓰여 왔던 프라이데이 웨어의 개념을 재정리 하였다. 또한 서울소재 백화점을 중심으로 한 시장조사를 통해 캐주얼 브랜드의 변천과정과 캐주얼 웨어의 성장 추이를 알아본 후, 세 개의 이지 캐주얼 브랜드-GIORDANO TBJ, NII-를 선정하여 디자인 특성 및 이지 캐주얼의 한계점을 고찰하였다. 또한 실질적인 연구를 위해, 이지 캐주얼의 단점을 보완하여 2005 S/S 트렌드 분석을 토대로, 직장인을 위한 고급화된 컨셉으로 디자인 개발을 전개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현재 캐주얼 웨어는 과거와는 달리 다양한 분류용어가 등장하면서 캐주얼 웨어의 세분화를 가시적으로 보여주었다. 둘째, 프라이데이 웨어의 개념에 속하는 이지 캐주얼 웨어의 브랜드 변천과정을 서울소재의 백화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지 캐주얼 웨어는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의류시장의 침체속에서도 나타난 캐주얼 웨어의 증가추세는 캐주얼 웨어를 선호하게 하는 사회적 배경과 맞물려서 나타났기 때문이다. 셋째, 시장조사를 통해 도출된 현존하고 있는 세 개의 이지 캐주얼 웨어 브랜드-GIORDANO, TBJ, NII-를 중심으로 디자인 및 특성을 고찰한 결과 각 브랜드의 메인 타겟 층이 20대 초반으로 설정되어 있어, 20대 후반과 30대의 직장인들이 착장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가격대 또한 대부분의 브랜드들이 중저가의 가격대를 고수하고 있기에 고급스럽지 못한 이미지를 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프라이데이 웨어 디자인 개발을 통해 그동안의 이지 캐주얼이 갖는 문제점들을 개선하였다. 타겟의 설정을 20대 후반과 30대로 설정하여 직장인들이 온타임에서도 부담없이 착용할 수 있게 전개하였다. 또한 이지 캐주얼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소재의 고급화로 중저가의 이미지를 탈피하였으며, 트렌드 반영을 통해 소비자의 마인드를 파악한 작품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이지 캐주얼 웨어의 단점을 보완한 프라이데이 웨어는 대기업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한 금요일 온타임과 오프타임에 입을 수 있는 적절한 의복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론을 통해 현대사회속의 한 현상으로만 생각해왔던 웰빙 트렌드 및 주5일 근무제 등의 사회적 배경들은 패션영역에서도 그 현상을 찾을 수 있었으며, 앞으로의 캐주얼 웨어 변화의 흐름에도 영향력을 줄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달라진 캐주얼 웨어 디자인 개발은 온타임과 오프타임에 착용할 수 있는 프라이데이 웨어 시장에 새로운 이미지 제시와 차별화된 이지 캐주얼 웨어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길이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xi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및 의의 = 1 B. 연구 방법 및 내용 = 3 Ⅱ. 이론적 배경 = 6 A. 사회적 배경 = 6 1. 웰빙(Well-Being) 트렌드의 확산 = 6 2. 주5일 근무제의 정착 = 12 B. 캐주얼 웨어 = 16 1. 캐주얼 웨어의 개념 및 특성 = 16 2. 캐주얼 웨어의 분류 = 16 Ⅲ. 프라이데이 웨어(Friday wear)에 관한 고찰 = 33 A. 프라이데이 웨어의 개념 규정 = 33 B. 캐주얼 웨어 브랜드 변천 과정 = 35 C. 이지 캐주얼 웨어 브랜드 = 39 1. GIORDANO = 39 2. TBJ = 42 3. NII = 46 Ⅳ. 디자인 개발 = 52 A. 작품 제작 의도 = 52 1. Concept = 53 2. Target = 53 3. Color = 54 4. Fabric = 54 5. Image Position = 56 6. Composition = 57 B. 작품 디자인 = 60 1. 작품 Ⅰ = 60 2. 작품 Ⅱ = 70 3. 작품 Ⅲ = 79 4. 작품 Ⅳ = 89 5. 작품 Ⅴ = 97 Ⅴ. 결론 및 제언 = 108 참고문헌 = 111 Abstract = 11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0768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프라이데이 웨어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20·30대 직장여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riday Wear Design Development : Focusing on women office workers in their 20's~30's-
dc.creator.othernameByun, Mi Yeon-
dc.format.pagexiii, 11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