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선한-
dc.contributor.author禹美賢-
dc.creator禹美賢-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1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4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4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438-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거문고 산조의 엇모리를 분석함에 있어 대표적인 유파인 한갑득류와 신쾌동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두 유파의 리듬, 괘 진행, 연주법에 대한 비교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엇모리 한 장단에서 의미를 갖는 최소 리듬형인 5박을 기준으로분석한 결과 한갑득류에서는 엇모리 기본 장단형인 ♩ ♪♩(a형) 리듬형이 61회(82.4%)로 주를 이루었고, 신쾌동류에서는 변형 장단형인 ♩ ♩ ♪(b형), ♪♩ ♩(c형)의 리듬형이 48회(50%)로 절반을 차지했으며, 5박단위의 리듬형이 결합하여 엇모리 한 장단인 10박을 이룰 때 한갑득류에서는 기본 리듬형만으로 구성된 장단이 25회(67.6%), 기본 리듬형과 변형 리듬형으로 구성된 장단이 12회(32.4%)인 반면 신쾌동류에서는 기본 리듬형만으로 구성된 장단이 9회(18.7%), 기본 리듬형과 변형 리듬형으로 구성된 장단이 30회(62.6%), 변형 리듬형만으로 구성된 장단이 9회(18.7%) 였다. 이는 한갑득류 엇모리의 대부분이 기본 리듬형으로 한 장단을 구성한 반면, 신쾌동류 엇모리에서는 기본 리듬형과 변형 리듬형을 함께 사용했으며 변형 리듬형만의 구성도 나타났다는 점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이러한 리듬 구성의 차이는 엇모리 한 장단에 오는 강세와 연관이 있다. 한갑득류 엇모리의 경우 29장단(78.3%)이 첫 박에 강세가 오는 리듬 구성을 보이며, 신쾌동류 엇모리의 경우 39장단(81%)이 둘째나 셋째 박에 강세를 두고 있다. 셋째, 괘 진행에 있어 한갑득류는 8, 7, 8, 5괘의 순으로 진행되고 신쾌동류의 경우 5, 2, 5, 8, 7, 8, 5괘의 순으로 진행 된다. 신쾌동류에서 한갑득류에 없는 2괘법이 등장했다는 점과, 신쾌동류의 처음 5, 2, 5괘를 제외한 8, 7, 8, 5괘의 진행이 한갑득류와 같고, 장단 수도 유사한 모습을 보인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괘법 진행에 따른 음역의 확대는 나타나지 않았고 8괘에서 7괘로 괘 이동 시 C에서 E♭으로 청의 높이가 변하는데 두 유파에서 공통으로 나타난다. 넷째, 한갑득류와 신쾌동류 엇모리에 사용된 연주법은 오른손 주법인 대점, 중점, 소점, 슬기둥, 막는주법, 뜰, 뜰살, 앞꾸밈음, 타청주법, 스르렁주법이 있으며, 왼손 주법으로는 요성, 전성, 자출, 꺾는주법, 여음주법이 있다. 위 연주법 중 대점과 요성의 횟수가 한갑득류에 각각 7회, 14회 인데 비해 신쾌동류에 31회, 26회로 현저히 많이 출현하고 있으며, 한갑득류에 없는 슬기둥, 스르렁주법, 전성, 한음 꺾는 주법이 신쾌동류에서는 강하게 표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한갑득류 거문고 산조는 ‘단아하고 깊은 맛을 낸다’ 고 하며, 신쾌동류 거문고 산조는 ‘화려하고 힘이 넘친다’ 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엇모리에서도 일관적이고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본 고는 여타 장단과 다른 엇모리의 특성을 밝힘에 있어 리듬 구조에 따른 장단의 강세, 괘 진행, 연주법을 다각도로 분석함으로써, 한갑득류와 신쾌동류 거문고 산조의 음악적 특징을 재 확인하였다.;This thesis analyze and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Hangapdek’s and Shinqyedong's eutmory, details in rhythm, gye-processing, and playing technique in Komungo Sanjo. Firstly, in Hangapdek, mostly there were basic rhythm type which is ♩ ♪♩(a style) took 61 (82.4%) in the piece, and in Shinqyedong there were ♩ ♩ ♪(b style) and ♪♩ ♩(c style) took apart 48 (50%) of the piece ; eutmory one traditional the minimum basic rhythm is 5 tone. Also, in Hangapdek, there were 25 (67.6%) traditional rhythm with basic rhythm pattern and 12 (32.4%) traditional rhythm with basic and variation rhythm pattern while in Shinqyedong, there were 30 (62.6%) with basic rhythm pattern and 9 (18.7%) traditional rhythm with basic and variation rhythm pattern. It shows that Hangapdek used basic rhythm pattern while Shinqyedong used more variation rhythm pattern. Secondly, the rhythm pattern differences in eutmory caused by an accent in one traditional rhythm. In Hangapdek 's eutmory, the accent comes on the first beat in 78.3% of the piece and in Shinqyedong’s eutmory, the accent comes on the second or third beat in 81% of the music. Thirdly, in gye-processing, Hangapdek 's gye process in the order of 8, 7, 8, 5 and Shinqyedong's qye process in the order of 5, 2, 5, 8, 7, 8, 5. In Shinqyedong there are 2 gye technique which Hangapdek doesn't have. Also in the order of 8, 7, 8, 5 is same gye processing, except for Sinqyedong’s qye process in the order of 5, 2, 5. The piece doesn't show the scale enlargement according gye technique. Also when there's a movement between 8 gye and 7 gye there are similar changes on the note from C and Eb in both sekts. The fourth, in Shinqyedong and Hangapdek technique there are right hand technique such as Daejum, Jungjum, Sojum, Seulgidung, Magneun, Ttel, Ttelsal, Apgumin, Tachung, and Seureurng, and left hand technique such as Yosung, Junsung, Jachul, Ggukneun, and Youem. In Hangapdek, there are 7 and 14 of Daejum and Yosung while Shinqyedong, there are 31 and 26 of Daejum and Yosung which is more than Hangapdek. Also in Shinqyedong, the piece strongly shows Seulkidung, Seureurung, Junsung, and Ggunkneun, which Hangapdek doesn't have. Genarally, people criticize that Hangapdek’s Komungo Sanjo is ‘refinement and deep' and Shinqyedong’s Gomungo Sanjo is 'dynamic and strong'. These characteristic continuously shows in eutmory. This thesis especially focus in eutmoly and analyze and define the differences in the accent in traditional rhythm, gye-processing and reconfirm a musical characteristic of Hangapdek’s and Shinqyedong’s Komungo Sanjo.-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 = 2 Ⅱ. 본론 = 4 A. 엇모리 개념 = 4 B. 리듬 분석 = 7 C. 괘법 진행 분석 = 31 D. 연주법 분석 = 35 Ⅲ. 결론 = 49 참고문헌 및 자료 = 52 ABSTRACT = 54 부록-악보-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63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거문고 산조 엇모리 비교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한갑득류·신쾌동류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utmori in a Komungo Sanjo : focusing on Hangapdek’s and Shinqyedong’s-
dc.creator.othernameWoo, Mi Hyun,-
dc.format.pagevii, 5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