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순둘-
dc.contributor.author박현주-
dc.creator박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7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3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75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종단적인 분석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적 배제 수준의 변화 및 변화 양상에 따른 유형을 살펴보며 그 예측요인을 밝힘으로써 노인의 사회적 배제 상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노인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하여 사회적으로 소외되거나 고립되어 있는 노인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 및 예방적인 서비스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영국의 고령화패널(ELSA)의 2002-03년의 제 1차 조사부터 2008-09년 제 4차 조사까지 2년을 주기로 하여 네 차례에 걸쳐 반복 측정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표본유지율을 고려하여 50세 이상의 남녀 7631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노인의 사회적 배제는 사회적 관계망, 문화 및 여가 활동, 의료서비스 접근, 재정적 안정, 정서적 배제 영역의 다섯 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되어 분석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평균적인 변화궤적을 도출하는 관찰변수 중심적 접근과 개인의 다양한 질적인 차이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어 변화궤적을 유형화하는 관찰대상 중심적 접근의 두 가지 측면에서 시도되었다. 관찰변수 중심적 접근에서는 구조방정식을 통한 잠재성장모형과 다집단 분석이 포함되었으며 관찰대상중심적 접근에서는 준모수적 집단중심 모형 분석이 포함되었다. 이외에도 기술 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분석이 사용되었다. 모든 분석 과정에서 PASW 18.0과 SAS 9.2의 proc traj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개인내적인 변화를 추정해 본 결과, 노인의 사회적 배제 수준은 문화 및 여가 활동 영역을 제외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망, 의료서비스접근, 고독감 영역의 경우 선형적인 증가를 보였고, 재정적 안전 영역은 이차 곡선의 증가 형태를 보였다. 이는 노인들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사회적으로 배제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근거이며, 점차적으로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배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짐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둘째, 변화에 있어 연령집단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영역에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초기값이 높고 시간에 따른 변화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초고령 노인의 사회적 배제 위험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셋째, 잠재성장모형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연령은 대부분의 영역에서 배제의 초기값을 높이는 예측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인 요인 중에서 성별, 주관적 건강상태, 교육수준, 소득, 활동능력이 그리고 가족 요인 중에서는 결혼 상태와 가족관계, 제도환경적 요인 중에서는 수급여부가 다양한 영역에서 배제 수준의 증가와 관련된 변수였다. 넷째, 준모수적 집단중심 모형 분석을 통하여 노인들은 유사한 배제 수준을 보이면서 동일하게 변화하는 ‘동질적’ 집단이 아니라, 다양한 초기값과 변화율을 보이는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다섯째, 변화궤적의 유형화를 통하여 문화여가활동을 제외하고 모든 영역에서 노인의 사회적 배제 수준이 시간 경과에 따라 천천히 증가하거나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그래프가 교차할 만큼의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며 초기 수준의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유형들 간의 차이를 만들고 있었다. 이것은 노인의 경우 사회적 배제 수준이 짧은 시간 내에 역동적으로 변화하거나 갑자기 향상되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여섯째, 준모수적 집단중심 모형의 결과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높은 배제 수준을 유지하거나 높은 수준에서 증가하는 유형을 사회적 배제의 고위험군으로 판단하여 선별해 낼 수 있었다. 일곱째, 고위험군에 속하는 노인들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세 영역 이상에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로는 성별, 연령, 건강상태, 활동능력, 소득, 결혼상태, 가족관계, 수급여부 등이었다. 관찰대상중심적 접근을 통해 잠재성장모형의 예측요인과 관련하여 해석 상의 주의가 필요했던 결과들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한 한 시점에서의 배제 수준을 살펴보는 횡단적 접근의 한계에서 벗어나 패널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연령증가에 따른 노인의 사회적 배제 상황을 역동적으로 파악하며 사회적으로 배제되는 노인들의 변화궤적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효율적 개입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둘째, 사회적 배제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이 정책적이고 경제적인 거대 지표를 사용하였던 것과 달리, 본 연구는 노인 개인의 응답에서 얻은 자료를 사용한 개인 측면에서의 접근을 강조하였다. 뿐만 아니라 다차원적인 틀에서 사회적 배제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노인의 고독감을 정서적인 배제 영역에 새롭게 포함하여 노인의 사회적 배제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노인의 사회적 배제 수준의 변화궤적과 예측요인들의 인과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사회적 배제 극복과 관련된 전략들을 강구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궁극적으로 사회적으로 배제된 노인들을 위한 적절한 개입 및 통합적인 서비스 마련과 배제의 위험성이 높은 노인들에 대한 예방적인 서비스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the older people's social exclusion by identifying the trajectories of the change in social exclusion level through a longitudinal analysis with an aim of exploring the predictors of changes. Having an accurate understanding in social exclusion of the older people would provide an useful insight to enable effective intervention and development of preventive services for the socially isolated or excluded elderly. To this end, this study has adopted the panel data, the English longitudinal Study of Ageing(ELSA) conducted every two years, starting from the initial survey Wave 1 in 2002-03 to Wave 4 in 2008-09. Taking the sample retention rate into account, the data of 7631 respondents who aged over 50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ocial exclusion of the older people was analyzed into five different sub-dimensions: social relationship; cultural activities; access to health services; financial security; and sense of loneliness. For the analysis, two methodologies have been taken: the variable-centered approach that focuses on the average change of the respondents and the person-centered approach that focuses on the various patterns of the trajectories of change in order to estimate different trajectories among individuals. For the variable-centered approach, latent growth model and multi-group analysis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have been applied, while the person-centered approach has used semi-parametric group based model. The data was analyzed using PASW 18.0 and SAS 9.2 proc traj.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by latent growth model showed that social exclusion level of the older people increased over time at most dimension of social exclusion except for cultural activities. The older people's social exclusion level in terms of social relationship, access to the health services, and loneliness showed linear growth, while that in regard to financial security showed quadratic increase. This is a strong evidence of presenting the older people are being socially excluded over time. It also suggests that older people are highly likely to experience complex and multi-dimensional exclusion. Second, multi-group analysis looking at age group differences in the change has shown that the intercept was higher and the slope over time was steeper in the upper age groups. It implies that the oldest old are exposed to the threat of social exclusion. Third, the factor influencing the intercept and the slope in latent growth model is found to be 'age' which elevated the intercept of exclusion level in most sub-dimensions. For individual factors, gender, self-perceived health, educational qualification, weekly income, physical activity, and for family factors, marital status and family relation, and for environmental factors, beneficiary status were relevant to the increase of social exclusion level in various sub-dimensions. Fourth, semi-parametric group-based model analysis has shown that the older people are not 'homogeneous' group with similar exclusion level in every individual with same trajectories of change, but can be divided into various categories with diverse intercept and slope. Fifth, different trajectories in change of exclusion level help to confirm that the older people's social exclusion level increases gradually over time or remains unchanged. This means that no such drastic changes enough to make the graphs intersect each other has been observed, but the initial level had made the continual difference between the patterns of trajectories. It presents that the older people's social exclusion level does not change dynamically over just a short period of time, or improve all of sudden. Sixth, the semi-parametric group-based model analysis has provided the useful guidelines to identify the groups which record continuous high exclusion level or increase further from a higher level, therefore helping to sort out the high-risk group of social exclusion. Seventh,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determine the traits of the high-risk group. As a result, the variables that make difference in more than three dimensions include gender, age, self-perceived health, physical activity, weekly income, marital status, family relation, and beneficiary status. These results have helped to have a clear understanding in the findings with respect to the predictors of latent growth model which need to be carefully interpreted.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overcoming the limit of cross-sectional approach which merely looks at the social exclusion level at a certain point of time, longitudinal analysis on panel data enabled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in the older people's social exclusion and trajectories of change in the socially excluded, which will provide a valuable insight for effective intervention. Second, while the previous studies on social exclusion has applied macro-level indicators taking policies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into account, this study emphasizes more on the individual approach based on the response gained from the individuals. Furthermore,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the older people's social exclusion was viewed using a multi-dimensional framework, and especially 'loneliness' was newly included as one of the dimension of social exclusion. Third, this study has proved the causal relation between the trajectories of changes in the older people's social exclusion and the predictors, which helps to devise strategies to tackle social exclu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findings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an effective and comprehensive intervention and service system as well as an efficient preventive intervention system for the older people vulnerable to social exclu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 제기 1 B. 연구 목적 6 C. 연구의 의의 7 Ⅱ. 이론적 배경 8 A. 사회적 배제 8 1. 사회적 배제의 개념 8 2. 사회적 배제의 측정지표 12 B. 노인과 사회적 배제 14 1. 노인의 사회적 배제 14 2. 노인의 사회적 배제 측정 18 C. 노인의 사회적 배제 예측 요인 27 1. 개인적 요인 28 2. 가족 요인 31 3. 제도환경적 요인 33 Ⅲ. 연구방법 34 A. 연구 문제 34 B.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37 1. 영국 고령화연구패널조사 (English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37 2. 분석 대상 38 C. 변수의 정의 및 측정 39 1. 노인의 사회적 배제 측정 40 2. 예측 요인 46 D. 연구모형 및 분석방법 48 1. 연구 절차 48 2. 연구모형 및 분석방법 49 가. 잠재성장모형 (Latent Growth Model) 50 나. 다중집단 분석(Multi-group analysis) 55 다. 준모수적 집단중심모형(Semi-parametric group based model) 56 Ⅳ. 연구 결과 59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9 B. 노인의 사회적 배제 수준과 변화 : 관찰변수 중심적 접근 61 1. 노인의 사회적 배제 수준 : 기술 분석 61 2. 노인의 사회적 배제 수준의 변화 65 3. 배제 수준의 연령집단별 차이 검증을 위한 다중집단 분석 69 4. 사회적 배제 수준의 변화와 그 예측요인 74 C. 사회적 배제 수준의 다양한 변화유형: 관찰대상 중심적 접근 81 1. 사회적 배제 수준의 변화와 유형화 : 준모수적 집단중심모형 81 2. 사회적 배제의 변화 유형에 대한 예측 요인: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92 Ⅴ. 결론 102 A. 연구결과 요약 102 1. 기술 분석과 잠재성장모형 분석 결과 102 2. 준모수적 집단중심모형분석 및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104 B.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105 1. 노인의 사회적 배제 수준 및 변화 105 2. 사회적 배제 변화 양상에 따른 유형화 111 C. 개입 방안에 대한 논의 114 1. 실천적 측면 114 2. 정책적 측면 119 D.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23 참고문헌 127 부록 139 ABSTRACT 1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561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노인의 사회적 배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변화궤적과 예측요인-
dc.title.translatedThe Social Exclusion of the Older People : Trajectories of the Change and the Predictors-
dc.creator.othernamePark, Hyun Ju-
dc.format.pageviii, 14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