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옥경-
dc.contributor.author박지혜-
dc.creator박지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6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7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3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76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적대적인 남북관계 속에서 극심한 경제난으로 북한 주민들이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삶이 위협받고 있는 것에 대한 문제인식에서 시작하였다. 북한 주민을 돕기 위한 남한 NGO의 대북 인도적 지원에 주목하고, 대북 인도적 지원을 수행하는 활동가가 표방하는 가치, 문제와 장애물, 남한과 북한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관계, 활동가의 대응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대북 인도적 지원사업의 발전에 요구되는 접근을 제안하고, 사업 경험에서 발견되는 사회복지적 함의를 참고, 통일 시대 대북 사회복지실천을 준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을 담당하는 NGO 활동가의 실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가지고 남한의 대북지원 민간단체들 중 국제개발이나 국내에서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하는 NGO에서 대북지원 경력 4년 이상, 방북횟수 20회 이상의 활동가 다섯 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실천 경험을 연구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북 인도적 지원 NGO 활동가의 연령은 30대 중반에서 40대 초반이며, 여성 2명, 남성 3명이다. 대북 사업 경력은 최소 4년에서 최대 10년으로 평균 6.4년이며, 방북 횟수는 20회 이상으로 평균 60여회 이상이다. 참여자의 전공은 사회복지와 관련된 학문이나 인접 학문이며, 모두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다. 면담은 2009년 4-5월 사이에 2회의 예비조사를 거쳐, 2010년 8-12월 5개월간 본조사를 13회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 1인당 최소 2회에서 4회까지 면접을 진행하였으며, 시간은 최소 4시간에서 최대 7시간으로 연구참여자 1인당 5시간 30분 정도의 면접시간을 가졌다. 연구참여자의 진술은 연구자가 여러 번 녹음을 들으면서 직접 필사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Giorgi(1985)의 현상학적 자료 분석 방법에 따라 단계적으로 수행하였다. 대북 인도적 지원을 담당하는 NGO 활동가의 실천 경험을 분석한 결과는 상황적 의미구조와 일반적 의미구조로 나누어 제시하고, 경험의 본질과 본질간의 관계와 구조를 통합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일반적 구조를 진술하였다. 연구참여자의 개별적인 경험의 의미를 진술한 상황적 의미구조는 연구참여자가 대북지원 사업을 시작하게 된 배경과 동기, 가족이나 학교에서의 북한 관련된 이전 경험, 대북지원 사업과 연관된 개인적 배경과 특성, 대북지원에서 본인만의 특별한 경험의 차이를 분석하여 진술하였다. 일반적 의미구조에서 대북 인도적 지원을 담당하는 NGO 활동가 실천 경험의 본질로 29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10개의 구성요소, 3개 주제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주제인 ‘경계적 위치에서의 소통’은 연구참여자가 남한의 활동가로서 북한을 접하고 북한 사업을 대하고 북한 관리를 만나면서 겪는 경험에 관한 것으로 ‘탈이데올로기의 경험과 인간애의 새로운 인식’, ‘타자의 타자성 인식과 갈등’, ‘상대에 대한 인정 그리고 관계맺음’, ‘남북 소통의 아포리즘 발견’의 4개 요소로 구성된다. 첫 번째 구성요소인 ‘탈이데올로기의 경험과 인간애의 새로운 인식’은 ‘낯선 곳, 뿔 안 달린 나와 같은 사람들과의 접합’, ‘동포애와 긍휼의 움틈’으로 구성된다. 두 번째, ‘타자의 타자성 인식과 갈등’은 북한 사회와 북한 관리와의 경험 중 갈등과 긴장을 다루고 있는데, ‘무리한 대북지원 구조와 북한의 요구로 인한 긴장’, ‘관계적 갈등 : 기싸움, 사람조종’로 구성된다. 세 번째 구성요소인 ‘상대에 대한 인정 그리고 관계맺음’은 북한과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의 경험을 드러낸 부분으로 ‘북한의 입장에서 북을 인정’, ‘북한과 통(通)하기’, ‘전문적 관계 정립 노력’으로 이루어진다. 마지막 구성요소로 ‘남북 소통의 아포리즘 발견’은 연구참여자가 북한과 관계를 맺고 소통하는 과정에서 발견하고 터득한 명제와 지혜들로 ‘도우려는 순수함으로’, ‘진심으로 돕겠다는 의지, 실천’, ‘상호존중과 배려함으로’, ‘소통의 기본, 신뢰’의 4개 하위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두 번째 주제인 ‘대북 인도적 지원의 장애물 넘기’는 대북 사업을 하면서 겪게 되는 장애물에 관한 것으로 ‘적대적 대상에 대한 지원을 둘러싼 논란의 중심에 섬’과 ‘정치적·다층적·갈등적 구조에서 몸부림’, ‘대북지원 사업의 의미 부여와 해석’ 3개 의미로 구성된다. 첫 번째 ‘적대적 대상에 대한 지원을 둘러싼 논란의 중심에 섬’ 은 ‘지원 정당성의 근거마련’, ‘퍼주기 비판에 대한 대응 : 분배투명성 확보 압박’, ‘모금의 한계와 윤리적 딜레마’의 3개 하위 의미로 구성된다. 두 번째 구성요소인 ‘정치적·다층적·갈등적 구조에서 몸부림’에서는 ‘북한의 군사적 행동, 국제관계, 남/북 당국, 여론으로부터의 압박과 제한’ , ‘정부 그리고 단체들 간 갈등’, ‘단체 내부에서의 비판과 소외’ 등 단체 내·외부 환경으로부터 제기되는 대북 인도적 지원의 다양한 장애물에 관한 부분을 담고 있다. 세 번째 ‘대북지원 사업의 의미 부여와 해석’은 연구참여자가 대북지원 사업을 하면서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그리고 사업주체의 측면에서 이 사업의 특성을 이해하면서 장애물을 극복해나가는 경험을 담고 있다. 이는 ‘시간적 특성 규명 : 소통이 먼저, 대북지원 개척기’, ‘공간적 특성 규명 : 총 겨눈 분단 조국에서 동포를 도움’, ‘민간단체로서의 특성 규명 : 인도주의 우선’ 으로 구성된다. 세 번째 주제는 ‘경계, 그 넘어를 향해’로 연구참여자들이 사업수행에 있어서 북한 현지와 남한 사회에서 겪게 되는 도전과 그에 대한 대응의 과정에서 활동가로서 취해온 태도, 전략, 역할과 관련된 경험에 해당한다. 연구참여자들이 활동가로서 정체성을 형성하고 확장하는 경험은 ‘비판과 혼란스러움 속에 자기자리 찾기’, ‘대북지원 활동가의 대응전략 구성’, ‘대북지원 활동가의 역할 진화’로 구성된다. ‘비판과 혼란스러움 속에 자기자리 찾기’는 ‘두 체제로부터의 의심과 편견’, ‘정치노선, 안보관 그리고 역사의식의 점검’, ‘자발적 동력으로의 사명과 비전 견지’ 세 하위 의미로 나뉜다. 두 번째 구성요소인 ‘대북지원 활동가의 대응전략 구축’ 은 ‘자발적 동력으로의 사명과 비전 견지’, ‘학습과 정보습득을 통한 전문성 향상’, ‘머리와 가슴의 조화’ 등 세 개 파트로 구성된다. ‘대북지원 활동가의 역할 진화’는 대북 인도적 지원을 개척하는 활동가로서 역할을 구성하고 새로 만들어 가는 경험에 대한 부분으로 ‘낯선 이방인에서 남북 통역자로’, ‘혼자에서 다양한 협력자들과 네트워크 구축자로’, ‘소극적 행정가에서 책임있는 개척자로’의 3개 하위 의미로 이루어진다. 대북 인도적 지원을 담당하는 NGO 활동가의 실천 경험에 관하여 경험의 본질과 본질을 구조적으로 통합한 결과, 일반적 구조는 - 눈감을 줄 모르는 마음으로 ‘경계, 그 넘어(Between & Beyond)’를 향해 ― 를 중심 의미로 하여 진술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내외 사회복지사업을 주로 하는 개발 NGO 활동가의 대북 인도적 지원 실천 경험에 대한 연구결과로부터 몇 가지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북한 관리와의 소통의 과정과 소통을 위한 연구참여자의 다양한 차원의 ‘자기확인‘ 요소를 토대로 소통의 아포리즘에 대한 검토와 적용, 다문화 사회복지실천 패러다임과의 연결을 제안하였다. 둘째, 정치적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대북지원에 있어서 실천가의 국가적, 사회적, 민족적, 정치적 차원에서의 자기이해와 현실에 기반한 효과적인 실천을 위해 사회복지학문의 북한학, 정치학, 철학, 윤리학, 역사학, 사회학 등 타 학문과의 소통과 융합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셋째, 대북 인도적 지원 실천 현장에서 경계를 넘는 연구참여자의 ‘인간 존중을 기반으로 한 실천적 태도’를 통해 사회복지실천의 ‘인간존중’이라는 ‘본질로의 환원’을 제기하면서 대북지원에 대한 관심 제고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북지원 사업을 수행하는 인력 및 조직적 차원, 대북 인도적 지원 정책에 대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첫째,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 실행에 있어서 활동가의 합리적인 계획과 집행을 요구하며, 활동가의 직무를 사업과정에 따라 지역조사(assessment) & 기획(planning)―실시(implementing)-모니터링(monitoring)―평가(evaluation)―기관행정 업무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대북 인도적 지원 활동가에 대한 교육과 훈련, 조직의 지지와 수퍼비전의 제공과 사업 매뉴얼 개발을 제안하였다. 셋째, 정부와 NGO의 역할 이해를 바탕으로 한 신뢰구축을 촉구하였고 정부가 대북지원 NGO 역량 강화를 위해 전문성과 자율성을 확대하고, 활동가의 교육훈련을 지원하고 파트너십을 구축할 것을 제안하였다. 넷째, 대북 인도적 지원을 수행하는 단체 간, 그리고 남한 사회 다양한 집단을 비롯해 국제 사회와의 보다 협력적 연대를 요구하였다. 다섯째, 향후 대북지원은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을 대비해 국제개발, 지역개발의 보다 장기적인 차원에서 북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으로 나갈 것을 제안하였다.;This study cognized North Korean residents' lives below than minimum level of human lives because of extreme economic difficulties under hostile relations of both Koreas. The study investigated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of NGO in South Korea, and examined values of NGO activists who gave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problems and obstacles, relations with various kinds of interest parties in both Koreas, and the activists' reaction. The study suggested approaches for development of humanitarian assistance project to North Korea, and found out social welfare implications that were discovered at project experience, and got information and material that were needed to prepare for practice of social welfare to North Korea in the era of unification. The study had a question of "What are value and essence of practice experience of NGO activists who do humanitarian assistance project to North Korea?": And, the study investigated practice experience of five NGO activists who worked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or social welfare project in local of NGO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to have 4-years or more assistance to North Korea as we; as 20 times or more visits to North Korea. The subject was NGO activist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in their mid thirties to early forties to consist 2 women and 3 men. The NGO activists had job experience of 4-years to 10-year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to be 6.4 years on average, and they visited North Korea more than 20 times to be more than 60 times on average.The NGO activists were majored in social welfare or equivalent to have license of social worker. Preliminary survey was done 2 times in April and May 2009, and main survey was done 13 times from August to December 2010. The author interviewed each one of NGO activist 2 times to 4 times to spend 4 hours to 7 hours and to be 5 hours and 30 minutes on average per NGO activist. The author wrote down NGO activists' statement when listening to recording several times. The phenomenological data analysis was done (Giorgi(1985)) was done. The study investigated practical experience of NGO activists who did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suggested not only situation structure but also common structure, and stated common structure to give relation and structure between experience essence and essence. The situation structure that stated values of NGO activist experience investigated background and motive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North Korea related experience of family and/or school, individu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special experience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NGO activists' practical experience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at common structure included 29 sub factors, 10 factors and 3 subjects. The subject of 'communication at boundary place' described experience that NGO activists in South Korea contacted North Korea and did North Korea project and met North Korean officials, and it consisted of four factors, that is to say, 'experience of post ideology and cognition on human love', 'others' cognition on otherness and conflicts', 'admittance of the other party and having relations', and 'communication between both Koreas and discovery of aphorism'. The first factor of 'experience of post ideology and cognition on human love' consisted of 'strange place, and contact with the ones having no horn like me' and 'production of pity and sympathy'. The second factor of 'others' cognition on otherness and conflicts' described conflicts and tension of 'experience with the North Korean society and North Korean officials' to consist of 'excessive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tension caused by North Korea's demand' and 'relationship conflicts of spirit fighting and control of men'. The third factor of 'admittance of the other party and having relations' described experience of the process having relations with North Korea to consist of 'admittance of North Korea from point of view of North Korea', 'communication with North Korea', and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relations'.The fourth factor of 'communication between both Koreas and discovery of aphorism' described subjects and wisdom at having relations and communication with North Korea to consist of 'genuineness to help', 'will and practice to help from heart', 'mutual respect and consideration', and 'base of communication, reliability'. The second subject of 'overcoming of obstacle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described obstacles at assistance to North Korea to consist of 'controversy over assistance to hostile party','struggle at political, multi-layer and conflicting structure' and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The first factor of 'controversy over assistance to hostile party' consisted of three sub factors that is to say, 'base of justification of the assistance', 'counteraction against criticism of the most generous aid: pressure of transparent distribution', and 'limitation of fund-raising and ethical dilemma'. The second factor of 'struggle at political, multi-layer and conflicting structure' consisted of 'North Korea' military behavior, international relations, North Korea authority / South Korea authority, pressure and limitation from public opinion, conflicts between the Government and organizations, criticism and isolation in the group, and other obstacle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from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The third factor of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described NGO activists'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of obstacles from point of view of time, space and business entity of assistance to North Korea.In other words, the third factor consisted of 'clarification of time characteristics : communication first, and development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clarification of space characteristics : Helping compatriot in divided nation', and 'clarification of characteristics of NGO : humanism first'. The third subject of 'border, between and beyond' described NGO activists' challenges not only in North Korea but also in the society in South Korea and attitudes, strategies and roles at counteractions. Formation and expansion of NGO activists consisted of 'find out position at criticism and chaos', 'having counteraction strategies of activist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developed roles of activist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Finding out position at criticism and chaos' had three factors, that is to say, 'doubt and prejudice from both systems', 'check of political line, thought of security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mission and vision that are voluntary power'. The second factor of 'set up of counter action strategy of NGO activist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consisted of 'mission and vision of voluntary power', 'professionalism by learning and information', and 'harmony of head and heart'.'Roles of NGO activist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had roles of activists who exploited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it consisted of three sub factors, that is to say, 'window : an interpreter of both Koreas instead of stranger', 'from alone to network constructor with various kinds of cooperators', and 'responsible developer rather than passive administrator'. NGO activist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had essence of practical experience, for instance, common structure of 'boarder, between and beyond' with unstoppable mind. The study suggested discussions from the findings of practical experience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of NGO activists of social welfare at home and abroad. First, the study suggested review and application of aphorism based on 'self-check' factors at various kinds of levels of NGO activists for communication with North Koran officials, and connections with multi-cultural social welfare practice paradigm. Second, assistance to North Korea for political purposes could be done by understanding at national, social, racial and political level to put into practice effectively, and to discuss communication and fusion with science of North Korea, politics, ethics, history, sociology and others. Third, the study argued 'return to the essence' of 'human respect' of practice of social welfare by 'practical attitudes based on human respect' of the NGO activists who took risks and danger to put assistance to North Korea into practice, and discussed interests in assistance to North Korea. The study suggested human resources and organization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policies and practice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First, NGO activists' reasonable planning and execution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were required, and the activists' job should be divided depending upon process, for instance, assessment & planning, implementing, monitoring, evaluation and administration of government agency. Second, the study suggested the NGO activists' education and training, organizational supports, supply of super vision and development project manual. Third, the study put emphasis upon reliability based on understanding of roles of the government and NGO, and suggested professionalism and autonomy for strengthening of capability of NGO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supports and partnership of the activists' training. Fourth, cooperation was needed with organization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various kinds of groups in the society in South Korea and international society. Fifth, assistance to North Korea was likely to be done from various kinds of aspects so that assistance to North Korea should be done from long-term point of view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as well as regional develop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Ι.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및 연구질문 6 C.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7 1. 연구의 의의 7 2. 연구의 제한점 7 Ⅱ. 문헌고찰 9 A. 대북 인도적 지원 NGO의 특성과 발전과정 논의 9 1. 대북 인도적 지원 NGO의 특성 9 2. NGO의 대북 인도적 지원 역사 12 B. NGO의 대북 인도적 지원 수행에 대한 이해 15 1. 대북 인도적 지원의 지향과 내용 15 가. 대북 인도적 지원이 추구하는 가치와 원칙 15 나.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의 내용 19 2. 대북 인도적 지원의 주요 이슈 22 가. 대북 인도적 지원의 정치성 : 영향요인 및 이해관계자 22 나. 대북 인도적 지원의 효과성 논의 25 C. 대북 인도적 지원 활동가 경험 선행연구 27 Ⅲ. 연구방법 32 A. 현상학적 연구방법 32 B.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6 1. 연구참여자 선정 및 특성 36 가. 연구참여자 선정기준 및 자료수집 36 나. 연구참여자의 특성 37 2. 연구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38 3. 연구의 엄격성 확보 전략 39 가. 현장에서의 지속적인 참여와 관찰(prolong engagement) 39 나. 참여자 확인(member checking) 40 다. 동료 연구자와 연구모임 수행(peer debriefing) 40 라. 자료원 다각화(triangulation) 41 마. 감사흔적(audit trail) 남기기 42 바. 연구자 선이해 점검 42 4. 자료분석방법 44 Ⅳ. 연구결과 47 A. 상황적 의미 구조 47 1. 연구참여자a 47 2. 연구참여자b 48 3. 연구참여자c 50 4. 연구참여자d 51 5. 연구참여자e 52 B. 일반적 의미 구조 53 1. 경계적 위치에서의 소통 55 가. 탈이데올로기의 경험과 인간애의 새로운 발견 56 1) 낯선 곳, 뿔 안 달린나와 같은사람과의 접합 56 2) 동포애와 긍휼의 움틈 59 나. 타자의 타자성 인식과 갈등 61 1) 폐쇄적권위적 세계의 그들 61 2) 무리한 대북지원 구조와 북한의 요구로 인한 긴장 67 3) 관계적 갈등 : 기싸움, 사람 조종 72 다. 상대에 대한 인정 그리고 관계맺음 77 1) 북한의 입장에서 북을 인정 77 2) 북한과 통(通)하기 85 3) 전문적 관계의 정립 노력 90 라. 남북 소통의 아포리즘 발견 95 1) 도우려는 순수함으로 95 2) 진심으로 돕겠다는 의지와 실천 97 3) 상호존중과 배려함으로 98 4) 소통의 기본, 신뢰 99 2. 대북 인도적 지원의 장애물 넘기 102 가. 적대적 대상에 대한 지원을 둘러싼 논란의 중심에 섬 103 1) 지원 정당성의 근거마련 103 2) 퍼주기 비판에 대한 대응 : 분배 투명성 확보 압박 108 3) 모금의 한계와 윤리적 딜레마 115 나. 정치적다층적갈등적 구조에서 몸부림 119 1) 북한의 군사적 행동, 국제관계, 남/북 당국, 여론으로부터의 압박 혹은 제한 119 2) 정부 그리고 단체 간 갈등 122 3) 단체 내부에서의 비판과 소외 128 다. 대북지원 사업의 의미 부여와 해석 132 1) 시간적 특성 규명 : 소통이 먼저, 대북지원 개척기 132 2) 공간적 특성 규명 : 총 겨눈 분단 조국에서 동포를 도움 134 3) NGO로서의 특성 규명 : 인도주의 우선 137 3. 경계, 그 넘어를 향해 138 가. 비판과 혼란스러움 속에 자기자리 찾기 139 1) 두 체제로부터의 의심과 편견: 북으로부터의 의심, 남으로부터의 의심 139 2) 정치노선, 안보관 그리고 역사의식의 점검 142 나. 대북지원 활동가의 대응전략 구축 147 1) 자발적 동력으로의 사명과 비전 견지 147 2) 학습과 정보습득을 통한 전문성 향상 153 3) 머리와 가슴의 조화 156 다. 대북지원 활동가의 역할 진화 161 1) 낯선 이방인에서 남북 통역자로 161 2) 혼자에서 다양한 협력자들과의 네트워크 구축자로 166 3) 소극적 행정가에서 책임있는 개척자로 171 C. 대북 인도적 지원에서 NGO 활동가의 실천 경험의 의미 176 Ⅴ. 결론 179 A. 논의 179 B. 정책적, 실천적 제언 182 C. 후속연구 제언 186 참고문헌 188 부록 1 인터뷰 의뢰를 위한 연구소개 200 부록 2 연구참여 동의서 201 부록 3 인터뷰 가이드 202 ABSTRACT 2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652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대북 인도적 지원을 담당하는 NGO 활동가의 실천적 경험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ractice Experience of NGO Activists doing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dc.creator.othernamePark, Ji Hae-
dc.format.pageix, 20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