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민지-
dc.contributor.author권현진-
dc.creator권현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5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4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3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494-
dc.description.abstract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correlation between the morphology of the mandibular anterior alveolar bone and four facial skeletal types in orthodontically untreated adults. From the samples of 658 digital volumetric tomographys (Cone-beam CT), 40 subjects including 7 males and 33 females between 18 and 46 years old were selected while patients under the age of 18, orthodontically treated, with severe crowding (Little’s irregularity 6 over) or missing tooth and non-average(<90, 102<) of IMPA angle were excluded. According to the ANB angle (ClassⅠ: 0-4˚, ClassⅡ: 4˚ over) and SN-mandibular plane angle (low angle: 25-32˚, high angle: 38-49˚),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under 4 groups as ClassⅠ low angle, ClassⅠ high angle, ClassII low angle and Class II high angle with 10 subjects in each group. Tomography was carried out using Dinnova (Willmed, Seoul, Korea) and 3D analysis was carried out by OnDemand 3D (CybermedInc., Seoul, Korea). The bone volume(㎣) of the mandibular incisor bony support and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measured on the sagittal sections corresponding to the 4 mandibular incisors’ axis: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otal bone(㎟), the area of the cancellous bone(㎟) and the thickness(㎜) of labial and lingual alveolar bone at 2㎜, 3㎜ under the CEJ(cemento-enamel junction). GLM, Kruskal-Wallis test and Tukey HSD test were subsequently implemented to determine a correlation. The lingual cortical bone thickness of the lateral incisors at 2, 3㎜ under CEJ was greater in the ClassⅠ low angle group than other 3 groups (p<0.05).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facial types were found in the volume of the mandibular incisor bony support, cross-sectional area of total alveolar bobe and cancellous bone area at the mandibular incisor axis(p>0.05). The result of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acial skeletal types and the thickness of lingual mandibular incisor bony support. Patients in ClassⅠ, low angle group have a thicker lingual mandibular incisor bony support than ClassⅡ, high angle patients.;본 연구는 수평적, 수직적 안면 골격 유형에 따른 하악 전치부 치조골의 형태학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이대목동병원 교정과를 내원한 환자 중 2011년 2월부터 2012년 4월까지 Cone-beam computed tomography(Cone-beam CT)를 촬영한 환자 6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에서 만 18세 이하, 교정 치료를 받은 환자, 하악 전치부위에 과밀이 심한 환자(Little’s irregularity 6이상), 결손치아가 있는 환자, IMPA가 평균 크기(90<IMPA<102)에서 벗어난 환자를 제외 하였다. ANB각(Ⅰ급: 0-4˚, Ⅱ급: 4˚이상)과 하악 평면각(SN-MP각; 하악 평면각이 작은 군: 25-32˚, 하악 평면각이 큰 군: 38-49˚)을 기준으로 4 군당 각각 10명씩 추출하였다(Ⅰ급 하악 평면각이 작은 군, Ⅰ급 하악 평면각이 큰 군, Ⅱ급 하악 평면각이 작은 군, Ⅱ급 하악 평면각이 큰 군). Cone-beam CT 자료를 이용하여 하악 전치부 치조골의 부피(㎣), 하악 4절치 치축 기준 시상단면의 단면적(총 단면적, 해면골 단면적; ㎟), 백악법랑경계(CEJ; cemento-enamel junction) 2㎜, 3㎜ 아래 순, 설측 치조골 두께를 측정하였다. 4 군 내에서 측절치의 백악법랑경계 2㎜, 3㎜ 하방 설측 치조골 두께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는데(p<0.05), Ⅰ급 하악 평면각이 작은 군이 나머지 3 군 보다 두꺼웠으며, 좌, 우 측절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05). Ⅰ급 군 내에서 하악 평면각이 작은 군이 하악 평면각이 큰 군 보다 양측 측절치 백악법랑경계 2, 3㎜ 하방 설측 치조골 두께가 두꺼웠다(p<0.05). Ⅱ급 군 내에서 하악 평면각이 작은 군이 하악 평면각이 큰 군보다 하악 전치부위 부피, 우측 측절치 시상단면의 단면적(총단면적, 해면골 단면적)이 컸다(p<0.05). 하악 평면각이 작은 군 내에서 Ⅰ급 군이 Ⅱ급 군보다 양측 측절치 백악법랑경계 2㎜ 하방 설측 치조골 두께가 두꺼웠고, Ⅱ급 군이 Ⅰ급 군보다 좌측 측절치 백악법랑경계 3㎜ 하방 협측 치조골 두께가 두꺼웠다(p<0.05). 하악 평면각이 큰 군 내에서 Ⅰ급 군과 Ⅱ급 군의 하악 전치부 치조골의 형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5). 하악 측절치 설측 치조골 두께가 Ⅰ급 하악 평면각이 작은 군이 나머지 3군 보다 두꺼웠으며, Ⅰ급 군이 Ⅱ급 군보다, 하악 평면각이 작은 군이 하악 평면각이 큰 군보다 두꺼웠고, 수평적 안면골격보다 수직적 안면골격이 하악 전치 설측 치조골 두께와 연관이 깊었다. Ⅰ급, 하악 평면각이 작은 환자가 아닌 Ⅰ급 하악 평면각이 큰 군, Ⅱ급 하악 평면각이 작은 군, 하악 평면각이 큰 군인 경우 하악 전치 후방 이동시 하악 전치 설측 치조골의 두께에 주의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Ⅱ.연구대상 및 방법 4 A.연구대상 4 B.연구방법 5 C.계측자 내 신뢰도(Intra-examiner reliability) 7 D.계측치의 분석 및 통계 처리 7 Ⅲ.연구결과 8 Ⅳ.고찰 11 Ⅴ.결론 14 참고문헌 15 Abstract 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40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안면골격 유형에 따른 하악 전치 치조골의 형태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Cone-beam CT를 이용한 정량적 평가-
dc.title.translatedMorphological difference of symphysis according to various skeletal types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dc.creator.othernameKwon, Hyun Jin-
dc.format.pageviii, 2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교정치의학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교정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