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2 Download: 0

Chronic Food Crisis

Title
Chronic Food Crisis
Authors
KIROBI, Mary Wambui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Thomas Kalinowski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issue of persistent food crisis in the Arid and Semi-Arid Lands (ASALs) in Kenya in the context of gaps and lack of harmony in the policy framework as the main factors that have hindered the realization of a lasting solution. This is in addition to other possible causes of food crisis in those regions such as poverty, land degradation and poor infrastructural development. A highlight of the socio economic and political history of ASALs is given to put the challenges identified into perspective. Of importance is the way the colonial government neglected these regions, there by entrenching marginalization and the status quo has remained in post independent Kenya. A case study of the ASAL regions in Kenya is used to discuss the issues raised. The approaches on which the study is based are:-Political Ecology (Robbins 2004), Rural Livelihood (Ellis 2000) and Food Entitlement (Sen 1981).They have reinforced the underlying message in the study that an inter play of poli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livelihood sustainability. The findings reveal that ASAL regions have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policy makers need to consider while formulating policies, and that there is need for the different policy documents to adopt a common approach in addressing the persistent food crisis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s.;본 연구는 케냐의 건조, 반 건조지역의 만성적인 식량 위기 문제를 정책체계의 측면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정책자료 상의 불일치를 검토하고 있다. 이러한 불일치는 케냐 정부가 식량 위기에 대한 장기적인 해결책을 강구하는 것을 저해하고 있는 주된 원인이다. 또한, 본 연구는 식량위기의 다른 원인인 가난, 토지황폐화, 열악한 사회 기반 시설 개발의 문제도 함께 논의 한다. 식량위기문제를 보다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건조, 반건조 지역의 사회, 경제, 정치적 측면의 역사적인 문맥 또한 검토한다.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는 케냐의 건조, 반건조지 역의 사례연구를 채택하고 있으며, 정치생태학, 농촌생계, 식량권리의 세가지 접근법에 기초하고 있다. 이 세가지 접근법은 정치와 환경 요인의 상호작용이 생계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본 연구 결과는 정책 입안 시 정책 결정자들이 건조, 반건 조지역 각각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케냐의 만성적인 식량 위기를 효과적으로 타개하기 위하여 정책결정자들은 정책입안과정에서 조화롭고 동의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