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2 Download: 0

학령 후기 아동이 지각하는 일상적 스트레스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령 후기 아동이 지각하는 일상적 스트레스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chool-aged Children's Perception of Daily Hassles on Subjective Well-Being : The Moderating role of Optimism
Authors
노지운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나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 후기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낙관적 사고 및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일상적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낙관적 사고의 중재적 역할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4곳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령 후기 6학년 아동 474명(남: 250명, 여: 224명)이었으며, 아동에게 자기보고식의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일상적 스트레스는 Felner(1988)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DHQ; Daily Hassles Questionnaire)를 한국 아동의 실정에 맞게 수정한 한미현과 유안진(1995)의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낙관적 사고는 김주용과 이지연(2008)이 국내 실정에 적합하게 개발한 아동의 성향적 낙관성 척도(CLOT; The Children's Life Orientation Test)를, 주관적 안녕감은 박병기와 홍승표(2004)의 주관적 안녕감 척도를 박병기와 송정화(2007)가 재수정하고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test,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라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모두 낙관적 사고 및 주관적 안녕감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일상적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낙관적 사고와 주관적 안녕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낙관적 사고와 주관적 안녕감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낙관적 사고가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감이 높았다. 둘째, 낙관적 사고는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중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낙관적 사고의 중재적 효과는 아동의 부모관련 스트레스와 교사 및 학교생활관련 스트레스의 2개 요인에서 나타났다. 즉, 낙관적 사고 수준에 따라 부모관련 스트레스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 및 학교생활 관련 스트레스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었다. 두 요인 모두에서 낙관적 사고가 높은 집단일 경우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질수록 주관적 안녕감은 낮아진 반면, 낙관적 사고가 낮은 집단의 경우 스트레스 수준에 상관없이 주관적 안녕감은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낙관적 사고가 높은 집단이 전반적으로 낙관적 사고가 낮은 집단보다 주관적 안녕감은 높았다. 본 연구는 학령 후기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낙관적 사고 그리고 주관적 안녕감을 함께 고려하여, 일상적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낙관적 사고의 중재적 역할을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이 가정 혹은 학업과 학교 등으로 부담감이 증가하고 일상적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학령 후기 아동의 낙관적 사고를 향상시키는 것이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기 전환기를 앞둔 학령 후기 아동 대상의 낙관적 사고 훈련과 같은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 증진을 위해 낙관적 사고를 향상시키는 중재적 개입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 among school-aged children's perception of daily hassles, optimism and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optimism between school-aged children's perception of daily hassles and subjective well-being. A total of 474 6th-grade elementary students living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re were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questions on daily hassles questionnaire, the children's life orientation test, and subjective well-being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correlations, multiple regression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daily hassles were negatively related to optimism and subjective well-being. As children perceived higher levels of daily hassles, they showed lower levels of optimism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optimism was positively related to subjective well-being. It means as children's perception of higher levels of optimism, they perceived higher levels of subjective well-being. Second, children's optimism moderated the relations between daily hassles and subjective well-being. Specifically, for children with higher levels of optimism, the higher their perceptions of daily hassles relation with parents/teacher・school life, the lower their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for children with lower levels of optimism,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daily hassles and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considered both daily hassles as an environmental factor and optimism as a personal factor in explaining school-aged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found that the optimism moderated the relations between daily hassles and subjective well-being. Findings from this study emphasize that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such as optimism practice is imperative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