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3 Download: 0

도드리의 선율에 관한 연구

Title
도드리의 선율에 관한 연구
Authors
민초롱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정연
Abstract
현행 도드리의 합주 연주형태는 일반적으로 <가야금>, <해금>은 웃도드리를 연주하고 <거문고>는 밑도드리를 연주한다. 즉, 서로 다른 조로 이조된 다른 악곡을 연주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악곡의 서로 다른 악기의 선율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연주 형태를 기반으로 하여 여러 악기 선율의 진행 방향과 규칙성을 찾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웃도드리 <해금>과 <가야금> 선율, 웃도드리 <해금>과 밑도드리 <거문고> 선율을 비교하여 동일한 선율과 유사한 선율, 상이한 선율을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각 악기가 해금과 상이선율일 때 각 선율의 주요구성음정을 비교하고 음정 간의 관계와 상이선율의 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금>과 <가야금>의 동일선율은 도드리 총 432박 중 251박 출현하여 58.10%로 나타났다. <해금>과 <거문고>의 동일선율은 도드리 총 432박 중 191박 출현하여 44.21%로 나타났다. 둘째, <해금>과 <가야금>의 유사선율은 도드리 총 432박 중 29박 출현하여 6.71%로 나타났다. <해금>과 <거문고>의 유사선율은 도드리 총 432박 중 16박 출현하여 3.70%로 나타났다. 셋째, <해금>과 <가야금>의 상이선율은 도드리 총 432박 중 152박 35.18%로 나타났다. <해금>과 <거문고>의 상이선율은 도드리 총 432박 중 225박 출현하여 52.08%로 나타났다. <해금>과 <가야금>, 또는 <해금>과 <거문고>의 상이선율은 다음 박에서 <해금>과 유사선율 혹은 동일선율로 진행되었는데, 몇 박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해금>과 동일선율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해금>과 <가야금>의 상이선율 중 가장 많이 나타난 선율은 <해금>과 <가야금>의 선율이 각각 南과 黃인 선율로 총 152번의 상이선율 중 20번으로 나타났다. <해금>과 <거문고>의 상이선율 중 가장 많이 나타난 선율은 <해금>과 <거문고>의 선율이 각각 南과 林인 선율로 총 225번의 상이선율 중 25번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해금>과 <가야금> 상이선율 중 가장 많이 출현한 음정관계는 2도 차이로 총 147번의 상이선율 중 49번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금>과 <거문고> 상이선율 중 가장 많이 출현한 음정관계는 2도 차이로 총 225번의 상이선율 중 53번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해금>과 <가야금> 상이선율 중 가장 많이 나타난 유형은 두 악기의 음정은 상이하고 리듬은 동일한 상이① 유형으로 총 152번의 상이선율 중 102번 출현하였다. <해금>과 <거문고> 상이선율 중 가장 많이 나타난 유형은 두 악기의 음정은 상이하고 리듬은 동일한 상이① 유형으로 총 225번의 상이선율 중 171번 출현하였다. 이상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해금>과 <가야금>의 선율은 약 2/3 이상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진행하였다. <해금>과 <거문고>는 약 1/2에 가까운 선율이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진행하였다. 즉, <가야금>은 약 1/3 이상 <해금>과 상이하게 진행하였고 <거문고>는 약 1/2 이상 <해금>과 상이하게 진행하였다. 이 중 <가야금>은 약 1/3 이상이 2도 또는 7도의 불협화음으로, <거문고>는 약 2/5에 가까운 선율이 2도 또는 7도의 불협화음으로 연주되고 있었다. 이렇듯 도드리는 각 악기 간의 상이선율도 빈번히 출현했고 이 중 불협화음 선율도 나타났으나 전체의 큰 흐름 속에서 선율이 상이하게 진행된 다음 바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선율로 진행되어 조화롭게 연주되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선율의 진행과 불협화음의 출현은 한국음악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개성이며 매력이라고 생각된다.;In the current performances of Dodri by ensembles, Gayageum and Haegeum plays Ut-Dodri, Gumungo plays Mit-Dodri. In other words, they each are playing different music and harmonies that are transposed to form Dodri. This analytical essay is not trying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melodies but to search for patterns and direction of different instruments’ melodies through careful review of their individual style of performance. Through the comparison of Ut-Dodri melody, Ut-Dodri melody, and Mit-Dodri melody, the essay attempts to discover the identical, different, and similar melodies. Furthermore it compares the differences in central key of each melodies and studies the relationships of these keys and the structure of each melo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dentical melodies of and is observed 251 beats out of the 432 beats of Dodri, or about 58.10% of the entire piece. The identical melodies of and is observed 191 beats out of the 432 beats of Dodri, or about 44.21% of the entire piece. Second, the similar melodies of and is observed 29 beats out of 432 beats, or about 6.71%. the similar melodies of and is observed 16 beats out of 432 beats, or about 3.70%. Third, the different melodies of and appears in 152 beats out of 432 beats of Dodri, or about 35.18%. The different melodies of and appears in 225 beats out of 432 beats of Dodri, or about 52.08%. Different melodies of and as well as and proceeded to identical or similar melody in the next beat, however excluding a few beats mostly proceeded to identical melody. Fourth, within the different melodies of and the most observed melody was Nam for and Hwang for appearing about 20 times out of 152 different melodies. Within the different melodies of and the most observed melody was Nam for and Yim for appearing about 25 times out of 225 different melodies. Fifth, in different melodies of and the note relationship that appeared most often was 2 degrees that composed of 49 out of 147 different melodies. In addition, in different melody of and the note relationship that appeared most often was also 2 degrees that composed of 53 out of 225 different melodies. Sixth, in different melodies of and the one that appeared the most was type 1 where their keys are different yet the rhythm was identical, which was about 102 out of 152 different melodies. In different melodies of and the one that appeared the most was also type 1, which was about 171 out of 225 different melodies. In conclusion, the melodies of and was identical or similar more than about 2/3 of the piece. The melodies of and was identical or similar about 1/2 of the piece. In other words, played different melodies with about 1/3 of the time and about 1/2 of the time. Within these moments of differences, and were both in dissonance at 2 or 7 degrees with 1/3 and 2/5 of the piece respectively. In Dodri, although several instances of different melodies as well as dissonances were observed between different instruments, these differences were melded together in the larger flow of the piece where the different melodies proceeded right to similar or identical melodies. I believe such unique style and flow of melodies as well as the dissonances between instruments of the ensemble serve as one of many distinct qualities that set Korean traditional music apart from any other types of music that exist toda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