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5 Download: 0

경계로서의 틀과 잠재적 현실에 대한 연구

Title
경계로서의 틀과 잠재적 현실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rame as a border and Immanent Actuality : focused on the Plamodel Artworks
Authors
김현숙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장화진

전혜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and explor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meaning of my work and artworks as well. For this purpose, it discusses the meaning of Plamodel, a motive for my works, as a border, the function of Plamodel’s frame as art, and then the meaning of potentiality which is inherent in the way of existence of the Plamodels as artworks. This study explains the meaning system of my artworks, which works through the Plamodel, into three categories: art and play; formation and structure of the frame and the theory of Plamodel which breaks from the frame; and the formation of difference and the space of communication exposed by such theories. Even though the forms and concept of the Plamodel in my artwork are borrowed from a daily life, the way of work as an art exists in different ways. The plamodels, daily life stuffs, have their own specific shapes to be assembled from the model kits, and they become to be assembled in the correct order, and then the remaining runners are discarded. On the other hand, the Plamodels in my work do not have any shape to be assembled nor any order to be followed, and a runner becomes a frame which composes my artworks. This way of the Plamodel in my work appears as plane artworks with a runner and installation artworks beyond the state of a runner as well. My Plamodels are based on the notion that an art work is play. An artwork, for me, means to express and to signify. The artwork is directly connected to my life and it is expressed as a kind of play. To be more specific, my artwork is a play without any rule, and it is an event that was not planned in advance. I have paid my attention to the fact that ‘something becomes to be made’ from a system of the plamodel, and perceived it as a structure of formation, a dimension shifting from A to B. Two types of my Plamodel artworks reveal such structure, and a frame in my artwork means a border which connects two dimensions bidirectionally. In explaining the way of existence of the Plamodel, I borrowed the notions of Jacques Derrida’s parergon and Gilles Deleuze’s event, and used them as my theoretical framework. Connecting the Plamodel’s runner and the notions of Derrida’s parergon, I discussed that my plamodel is a structure of formation through a frame as a border. While it is no longer a part of a completely assembled plamodel kit, the runner in my work is a frame and border that has properties of parergon in the way that it is an indispensible part of the Plamodel artwork. A frame as a border in a Plamodel, having properties of parergon, can be read as a third space since it exists on the border itself, neither in the border nor outside of it. In other words, it is a space in which something was not decided yet nor can be decided since the inside and the outside are mixed up, and, in this sense, it has a meaning of ‘In-Between’ space which implies infinite formations. A frame in the Plamodel is a ‘In-Between’ space, ‘becoming’, and the point where a sense appears. A movement, always tending to change into something different and escape from itself, is inherent in the frame. The Plamodel, a structure having such characteristics of a frame as its components, proceeds from the inside of the frame to the outside of it, from meaninglessness to meaningfulness, from territorialization to deterritorialization, and from immanence to actualization. In this sense, the Plamodel can be construed as an intermediate structure which connects one dimension with other dimensions as if it travels a two-dimensional plane and a three-dimensional space freely. Furthermore, the meaning of a frame, as a border in a Plamodel, provides a ground on which the Plamodel can be construed as a concept of Deleuze’s ‘event’. Through connecting the concept of ‘event’ to the structure of formation which incurs together with a frame as a border, I could derive the meaning of immanence which is inherent in the way of Plamodel’s existence. As Deleuze explains, an event is a change from A to B, and it is ‘becoming’ and formation as well. By shifting from a physical dimension to a semantic dimension, a meaning of an event is formed. In this sense, the Plamodel can be interpreted as a notion of event. This is because that the Plamodel is a change from the state of runner to the state of something different, and forms a certain meaning by becoming other object on the very border. An event exists in the way of immanence, and then it does exist in the time of aeon, namely, in the time of the pure event where only the past and the future exit, not the present. The dimensions of events are classified into two: an actualized dimension from immanence; and, an immanent dimension which is not yet actualized from immanence. As an immanent event, a pure event is a space of singularity and a dimension of immanence as well. Out of this space, an event becomes to be actualized and to be repeated. An event intermediates two dimensions, immanence and actuality. Through these two notions, the Plamodel becomes to take the way of existence of actualization out of the immanence. At this moment, the frame as a border becomes a point where a Plamodel reveals a structure of formation, and it shows its infinite immanence. Therefore, my installation artwork exists as difference of actualized events, and the artwork in the state of a runner is perceived as an immanent event, a dimension of immanence as a pure event. This eventually forms differentiation, draws communication, and develops infinite images and various meanings by revealing properties of play and simulacra inherent in the Plamodel. In this study, the concepts, drawn from discursive and philosophical research on the Plamodel, prove that the meaning and the way of existence of my works have their own validity. The Plamodel as a frame broken from a model kit is an actualization of immanence and a substantialization of potentiality, and it is a space of immanence and potentiality as well. Whereas these two concepts cannot co-exist, they co-exist in my work in a contradictory state. This means the existent ground which has supported my work as an art, and it will establish a stable basis for my subsequent work in which I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the immanent ordinary reality and the art.;본 연구는 본인의 작품 및 작업의 이론적 배경과 의미를 밝히고 의의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해 본인이 모티프로 삼고 있는 플라모델(Plamodel)이 지닌 경계로서의 의미, 미술로서 플라모델의 틀의 작용 기능, 작품으로서 플라모델의 존재방식 속에 내재되어 있는 잠재성의 의미를 밝히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플라모델을 통해 작동하는 본인 작품의 의미체계를, 미술과 놀이, 틀의 구조와 생성 및 틀을 위반하는 플라모델의 논리, 그리고 그러한 논리를 통해 드러나는 차이의 생성과 소통의 공간의 세 가지로 살피고 있다. 본인의 플라모델 형태와 개념은 일상세계로부터 빌려왔지만 미술로서의 작업방식은 그것과 상이한 방식으로 존재한다. 일상용품인 플라모델(plastic model kits)의 경우 조립될 형상이 정해져 있고 일정한 규칙에 따라 만들어지며 조립이 완성된 후 런너(runner)는 용도폐기 된다. 반면에 본인의 플라모델의 경우 조립될 형상이나 규칙은 존재하지 않으며 런너는 작품을 구성하는 틀로 작용한다. 이러한 본인의 플라모델 방식은 런너 상태의 평면작품과 런너 상태를 벗어난 설치작품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인의 플라모델은 미술작업이란 놀이라는 개념이 밑바탕을 이루고 있다. 본인에게 미술작업이란 하나의 표현이고 의미를 만드는 것이다. 그것은 본인이 살아가는 삶과도 직결되며 일종의 놀이로 표현된다. 정확하게는 규칙이 없는 놀이이고 우발적인 사건이라 할 수 있다. 본인은 플라모델의 구조에서 ‘무언가로 만들어 진다’는 점에 주목하였으며, A에서 B로의 차원이동으로서 생성의 구조로 파악하였다. 본인의 플라모델 작품의 두 형태는 그러한 구조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며 본인의 플라모델 작품에서 틀은 두 차원을 양방향으로 연결 접속하는 경계로서 의미를 지닌다. 본인은 플라모델의 존재방식을 설명함에 있어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파레르곤(parergon) 개념과 들뢰즈(Gilles Deleuze)의 사건(event) 개념을 가져와 이론적 틀로 사용하였다. 본인은 플라모델의 런너와 파레르곤의 개념을 연결 지어 본인의 플라모델이 경계로서 틀을 통한 생성의 구조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런너는 플라모델 완성본의 구성에 어떠한 부분도 속하지는 않지만 플라모델에 필수적인 요소라는 점에서 파레르곤의 성격을 띠는 틀이자 경계라고 할 수 있다. 플라모델에서 경계로서 틀은 파레르곤적 성격을 지닌 안도 밖도 아닌 그 사이에 존재하는 제 3의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그것은 내부와 외부가 뒤엉켜 아직 결정되지 않거나 결정할 수 없음의 공간이며, 그러한 점에서 무한한 생성을 함축하는 ‘사이’(In-Between)공간의 의미를 갖는다. 플라모델에서 틀은 ‘사이 공간’이자 ‘되기’(becoming)이며 의미를 발생시키는 지점이다. 거기에는 항상 무언가로 변화하고 탈주하는 운동이 잠재되어 있다. 플라모델은 그러한 성격의 틀을 조직으로 갖는 구조로, 틀 안으로부터 틀 밖으로, 무의미에서 의미로, 영토화에 탈영토화로, 잠재성에서 현실화로 나아간다. 이러한 의미에서 플라모델은 2차원과 3차원의 평면과 공간을 넘나들 듯이 서로 다른 차원을 매개하는 구조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플라모델이 지닌 경계로서 틀의 의미는 들뢰즈가 말한 ‘사건’ 개념으로 플라모델을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본인은 경계로서의 틀과 함께 발생하는 플라모델의 생성구조와 사건 개념을 연결 지음으로써, 플라모델의 존재방식 속에 내재된 잠재성의 의미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들뢰즈에 의하면, 사건이란 A에서 B로의 변화이고 ‘됨’이며 생성이다. 그것은 물질의 차원에서 의미의 차원으로 이동함으로써 의미가 형성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플라모델은 사건 개념으로 파악될 수 있다. 플라모델은 런너 상태로부터 다른 어떤 상태의 것으로 변화되는 것이고 사물들이 틀 안으로부터 틀 밖으로 차원을 이동하는 순간, 그 경계선상에서 무언가로 만들어지면서 의미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사건은 잠재성의 방식으로 존재하는데, 이때 사건은 현재의 시간이 아니라 과거와 미래만이 존재하는 아이온(Aiôn)의 시간 곧 순수사건의 시간 속에 존재한다. 사건의 차원은 잠재성으로부터 현실화된 차원과 현실화되지 않은 잠재적 차원으로 구분된다. 순수사건은 잠재적 사건으로 특이성의 공간이며 잠재성의 차원이다. 이 공간으로부터 사건이 현실화되고 반복된다. 사건은 잠재성과 현실성의 두 차원을 매개한다. 이 두 개념을 통해 본 플라모델은 잠재성으로부터 나와 현실화되는 존재방식을 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경계로서 틀은 플라모델이 생성의 구조를 드러내게 되는 지점이 되고 무한한 잠재성을 나타내게 된다. 그러므로 본인의 설치작품은 현실화된 사건으로서 차이로 존재하며, 런너 상태의 작품은 잠재적 사건 즉 순수사건으로서 잠재성의 차원으로 인식된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차이화를 생성하고 소통을 이끌어내며, 플라모델이 애초에 가진 놀이적 요소와 시뮬라크르적 속성을 자발적으로 드러내게 하여 무수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다양한 의미를 형성한다. 본 연구에서 플라모델 작업을 둘러싼 담론적, 철학적 연구를 통해 이끌어낸 개념들은 본인의 작품의 의미와 존재방식의 타당성을 입증해주는 것이었다. 위반된 틀로서의 플라모델은 잠재성의 현실화이고 가능성의 실재화이며, 또한 잠재성과 가능성의 공간이기도 하다. 이 두 개념은 서로 공존할 수 없는 개념이지만 본인의 작업 안에서는 모순된 채 공존한다. 이것은 이제까지 본인의 작품이 미술 작품으로서 지탱해 왔던 존재적 의미였을 뿐 아니라, 잠재되어 있는 일상적 현실과 미술의 밀접한 관계를 추구하고자 하는 본인의 차후 작업을 위한 기반이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