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5 Download: 0

백대웅 작곡 <17현금을 위한 짧은 산조> 분석 연구

Title
백대웅 작곡 <17현금을 위한 짧은 산조>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nalysis of Baek Dae-woong’s
Authors
이자경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Sanjo as an instrumental solo song which recomposes the melodic characteristics of Sinawui and Pansori in Nam-do region in the late 19th century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usical instrument, came from gayageum and not only traditional Sanjo but also Sanjo as a creative song are loved by performers. This study analyzed each movements of Baek Dae-woong's who firstly introduced modulation skills, the characteristic of Sanjo, to a creative song of Korean classical music: A Case Study of form, melody, and rhythm. is a song of adaption of in 1991 which is composed for a solo song with Sanjo Gayageum in 1982. It consists of the total of 5 movements and 365 bars with beat of Jinyangjo-Joongmori-Joongjoongmori-Jajinmori-Hwimori, and accompanied with Buk beat. The analysis of each movement is seen below. First, Jinyangjo consists of 132 bars with rhythm. 6 bars make one beat time, the total number of beat time is 22, and it has the structure of A-B-C-D-E-F as the proceeding of modulation skills. It was performed with the total number of 7 modulation processes from A key note Woojogil in A part to B key note Gyemyungil, D key note Woojogil, E key note Gyemyungil, B key note Gyemyungil, A key note Woojogil, A key note Gyemyungil, and A key note Woojogil. 24 kinds of rhythm patterns were applied. Of them sixteenth note-oriented divisive rhythms appeared in 14 patterns. In Woojogil basic-oriented rhythm patterns were used and various divisive rhythms were more observed in Gemyungil than Woojogil. Second, Joongmori has 80 bars with rhythm. One beat consists of 4 bars and the total number of beats is 20 and the composition of A-B-C-D appears. A part proceeded with A major in pentatonic scale and has binary forms, and showed harmonic variations. In B part, pentatonic scale-oriented A major was modulated with F minor, organized in a ternary form and a variety of performing skills such as arpeggio, Basso ostinato and the cross between a right hand and a left hand were used to conduct a harmonic melody process. C part handled with traditional Sanjo techniques and performed in F key note Gyemyungil, and in D part it was proceeded after the modulation processes to A key note Gyemyungil. With regard to rhythm, the total of 42 kinds were applied, in the part of A and B it was proceeded simple rhythm structures such as similar rhythm and the same rhythm, and in C and D parts were recomposed to a creative song of Joongmori by using various types of divisive rhythms in the form of traditional Sanjo. Third, in Joongjoongmori as rhythm, it consists of 40 beats while one bar makes one beat and proceeds with A key note Woojogil. It has A-B-A'composition and used both hands playing techniques. A part as a prelude played a mixed composition of monophonic melodies and chords. In B part it was applied various melodies with the composition of A( a+a')+B( b+b')+A'( a''+a'''). B part was reproduced into the similar process and the same process that the melodies of a left hand and a right hand were changed in A part. 26 rhythm patterns were applied, the mixed composition of monophonic melodies and chords was noted to process as similar rhythms and chord process melodies proceeded as the same rhythms. Fourth, Jajinmori in rhythm has the total number of 73 beats while one bar consists of one beat. It begins with A key note Woojogil and has the composition of A-B-C-D. In A part it was expressed as both similar rhythms that proceeded up and down one octave, and performed by the cross of a left hand and a right hand, and in B part was represented the communication with a Buk by beat effects using the chord of gayageum. In C part, glorious melodies using a wide range of 17 strings gayageum and chords were performed sequently with arpeggio techniques, in D part it was prepared for the modulation from F key note Gyemyungil to Hwimori E key note. 35 kinds of rhythm patterns were applied and it was emphasized the chord process and the melodic variations using a wide range of 17 strings gayageum in the process of the same rhythm patterns. Jajinmori intended to communicate with gayageum by suggesting scores of Buk beats uniquely in this song, and the divisive rhythms of each bar expressed a variety of creative songs by filling the emptiness of gayageum with the strong spirit of the Buk. Fifth, in Hwimori as rhythm, one bar makes one beat, it consists of 40 beats, proceeds with E key note Gyemyungil, and has a composition of A-B. In A part it was expressed a fast speed by applying main melodies in interval relation with easy fingering and similar melodies repeatedly, in B part it was used the same rhythms and the same note(E) consecutively, and during the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wimori in Sanjo that performed a half tone lower(e''->e') by fine changes in tones appeared. The total rhythm patterns were 13 and fewer than other beats. Because it expressed fast speed with repeated composition of rhythms rather than the changes in the range and melodies. According to the results, Baek Dae-woong's used traditional materials called Sanjo and expressed the melodies as the process of various modulations connected naturally, and presented active and dignified Woojo melodies with a wide range of 17 strings gayageum rather than sadness of Gyemyunjo. In addition, he tried to seek diversities in the song by adding Western music materials such as the application of chords, the partition of rhythms, the copy of melodies and rhythms, and changes. Furthermore, this song is a distinctive creative song that seeks to keep traditional music colors by applying composition techniques that uses major second superimposition and skips the 3rd note which divides the characteristics of chords in the structural tones of 3rd or 9th triad. Thus, his works to keep the root of tradition are believed to become a good example for composers of future generations.;산조는 19세기 말 남도지역의 시나위와 판소리의 선율적 특성을 각 악기의 특징에 맞도록 재구성한 기악 독주곡으로, 가야금에서 시작되었으며 전통 산조 뿐 만 아니라 창작곡으로서의 산조도 연주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산조의 특징인 길바꿈 기법을 국악 창작곡에 처음 도입한 작곡가 백대웅의 <17현금을 위한 짧은 산조> 각 악장의 형식, 선율, 리듬을 분석한 것이다. <17현금을 위한 짧은 산조>는 1982년 산조 가야금 독주곡으로 작곡된 <우조길에 의한 가야금 산조>를 1991년에 개작한 곡이다.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휘모리의 장단별 구조로, 총 5악장 365마디로 구성되며 북장단으로 반주한다. 각 악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양조는 박자로 총 132마디이다. 6마디가 한 장단을 이루어 총 22장단이며, 길바꿈 진행에 따라 A-B-C-D-E-F 구조를 이룬다. A부분의 A본청 우조길에서 B본청 계면길, D본청 우조길, E본청 계면길, B본청 계면길, A본청 우조길, A본청 계면길, A본청 우조길까지 총 7번의 길바꿈 과정으로 진행 되었다. 리듬형태는 총 24가지가 활용되었고 그 중 16분음표 위주의 분할리듬은 14가지가 출현하였다. 우조길에서는 기본리듬 중심의 리듬형태를 사용하였으며, 계면길에서는 다양한 분할리듬이 우조길보다 많이 나타났다. 둘째, 중모리는 박자로 총 80마디이다. 한 장단은 4개의 마디로 이루어져 총 20장단이며, A-B-C-D 구조를 이룬다. A부분은 5음음계 중심의 Ab장조로 진행하며 두도막형식이고 다양한 화성의 활용이 나타났다. B부분은 5음음계 중심의 Ab장조에서 F단조로 전조되며 세도막형식이고 화성적 선율 진행을 위해 아르페지오, 바쏘 오스티나토, 오른손과 왼손의 교차와 같은 다양한 연주법이 사용되었다. C부분은 전통 산조 주법을 사용하며 F본청 계면길로 진행하였고, D부분은 Ab본청 계면길로 길바꿈되어 진행하였다. 리듬형태는 총 42가지가 활용되었고, A와 B부분은 유사리듬, 동형리듬과 같은 단순 리듬 구조로 진행하였고, C와 D부분은 전통 산조의 구조 안에서 다양한 형태의 분할리듬을 사용하여 창작곡 중모리로 재구성되었다. 셋째, 중중모리는 박자로, 한 마디가 한 장단을 이루어 총 40장단으로 구성되고 A본청 우조길로 진행하였다. A-B-A'구조를 이루고, 양손 연주법만을 사용하였다. A부분은 전주부분으로 단선율과 화음의 혼합구성으로 진행하였고, B부분은 A( a+a')+B( b+b')+A'( a''+a''') 구조로 다양한 선율을 제시하였다. A'부분은 A부분의 왼손과 오른손의 선율이 바뀐 형태의 유사진행, 동형진행으로 재현되었다. 리듬형태는 총 26가지가 활용되었고, 단선율과 화음의 혼합구조는 유사 리듬으로, 화음진행 선율은 동형리듬으로 진행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넷째, 자진모리는 박자로 한 마디가 한 장단을 이루어 총 73장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A본청 우조길로 시작되며, A-B-C-D 구조를 이룬다. A부분은 한 옥타브 위 또는 아래로 진행하는 유사한 가락과 리듬이 양손 교차 연주로 표현되었고, B부분은 가야금의 화성을 이용한 장단효과로 북과의 대화가 이어졌다. C부분은 17현금의 넓은 음역과 화성을 이용한 화려한 가락을 아르페지오 주법으로 동형진행하였고, D부분은 전통 산조 주법을 사용하며, F본청 계면길에서 휘모리 E본청 계면길로 길바꿈을 준비하였다. 리듬형태는 총 35가지가 활용되었고, 동형리듬의 진행으로 17현금의 넓은 음역을 이용한 화성진행과 선율 변화를 부각시켰다. 자진모리는 이 곡에서 유일하게 북장단 악보를 제시하여 가야금과의 대화를 의도하였고, 각 마디 분할리듬은 북의 굳센 기상으로 가야금의 여백을 채워 나가며 창작곡의 다양성을 표현하였다. 다섯째, 휘모리는 박자로 한 마디가 한 장단을 이루어 총 40장단으로 구성되며, E본청 계면길로 진행하고, A-B 구조를 이룬다. A부분은 운지가 편리한 음정관계 중심선율과 동형리듬, 유사리듬을 반복적으로 활용하여 빠른 속도를 표현하였고, B부분은 동형리듬과 동일 음(E)을 연속적으로 사용하며, 그 안에서 미세한 음의 변화에 의한 반음계 하행 진행(e''->e')하는 전통 산조 휘모리의 특징이 나타났다. 리듬형태는 총 13가지로 다른 장단에 비하여 그 수가 적은데, 이는 음역과 선율의 변화보다는 리듬의 반복구조를 이용하여 빠른 속도를 표현하기 때문이다. 이상의 결과에서 백대웅의 <17현금을 위한 짧은 산조>는 산조라는 전통적인 소재를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다양한 길바꿈 과정으로 선율을 진행하였고, 계면조의 애절함보다는 적극적이며 당당한 우조 선율을 17현금의 넓은 음역대에 펼쳐 나갔다. 또한, 화성의 활용, 리듬의 분할, 선율과 리듬의 모방, 변화와 같은 서양 음악적 소재를 첨가하여 곡 안에서 다양성을 모색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 곡은 장2도 겹침 화음을 사용하고 주요 3화음이나 9화음의 구성음 중 화성의 성격을 구분 지어 주는 제3음을 생략하는 등의 작곡 기법을 사용하여 전통 음악적 색채를 지켜 나가려는 독창적인 창작곡이다. 이렇듯 전통의 뿌리를 지켜나가는 모습은 후대 작곡가들에게도 귀감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