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8 Download: 0

중국도시 미혼여성의 결혼관 변화에 나타난 긴장과 갈등

Title
중국도시 미혼여성의 결혼관 변화에 나타난 긴장과 갈등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ensions and conflicts of Chinese urban unmarried women revealed on changes of marriage view : Focus on the 'after 80s(80後)' 'ShengNv(剩女)' phenomenon
Authors
Yang, Yan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실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에 부상하고 있는 중국도시의 '성뉘(剩女, shengnv)'현상과 중국 도시 미혼여성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그녀들의 결혼관 변화에 나타난 긴장과 갈등을 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성뉘(剩女, shengnv)'는 배우자를 찾지 못해 결혼시장에 남아지는 도시 미혼여성을 말한다. 결혼제도 밖에 위치되면서 '결혼적령기'사회담론과 '남고여저(男高女低)'의 결혼패턴으로 인해 겪게 되는 '성뉘'로서의 신분과 입장은 중국 결혼제도의 성별규범이 어떻게 작동되고 있는지를 드러내고 있다. 여성들이 미혼상태로 살고 있는 경험은 '정상적' 여성생애단계에서 문제가 되었고 그녀들의 경제적 성취나 사회적 지위가 남성보다 더 뛰어난 것은 사회규범을 위배하는 것이 되었다. 따라서 미혼여성들은 스스로 결혼제도 밖에서 자신의 정체성과 위치를 찾고 있었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추구하며, 결혼중심적 사회질서와 성별규범 내에서 계속 몸부림치고 투쟁하고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뉘’들이 등장한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 근 30년동안의 중국사회구조변화에 대해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우선, 중국 개혁개방에 따라 사회경제구조, 도시와 계층의 다양한 변화와 함께 가족제도에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다. 개인의 능력이 중시되었고 여성들의 자아의식이 높아졌다. 중국 중산층의 부상과 소비주체로서의 중산층 여성들도 부각되기 시작했다. 가족제도의 변화에 따라 모택동시대의 '남녀평등'이라는 정책과 이념은 개혁개방이후에 남성중심적 가족질서가 재 건립되는 것으로 변화했다. 그리고 중국의 한 자녀만 낳을 수 있는 가족계획정책으로 인해 '한 자녀' 핵가족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 '80후'여성들은 모두 이런 배경 하에서 자라났고 경제 조건이 괜찮은 중산층가족에 위치하면서도 공적 영역의 시회진출을 지속적으로 강조해왔다. 둘째, 미혼여성들의 결혼관은 다양한 변화를 보였는데 연애·혼인·가정 안에서 자아가치를 추구하는 추세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여성에게 성역할을 부과하는 결혼제도는 여성에게 자율적인 인간으로 살아가게 하기 보다는 남성에게 의존하는 삶의 방식을 만들어내고, 여성에게 일차적으로 가족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부여함으로 여성의 삶을 구속하고 자기발전을 억압하는 경향이 있다. 중국 도시 미혼여성들은 스스로 이런 구속에서 벗어나고 싶어 했고 결혼관에 나타난 자아의식이 갈수록 분명해졌다. 그녀들은 스스로 결혼여부를 결정하고, 친밀성의 표현에서도 부부관계를 강조하며, 남녀가 가사노동을 같이 분담해야 된다고 생각하고 성의식도 개방화되었다. 셋째, 중국도시 미혼여성들은 삶속에서 결혼을 둘러싼 긴장과 갈등을 겪고 있었다. 많은 미혼여성들은 '결혼적령기'를 넘기고, 결혼시장에서 나이에 따른 평가절하를 당하기 시작한다. 즉 여성을 나이로 평가하는 가부장적 시각은 여성을 미혼상태로 몰고 가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중국사회에서 암묵적으로 설정된 섹슈얼리티의 나이 임계점은 그녀들에게 압력과 차별을 주었다. 그러나 성숙기가 미루어지면서 미혼여성들의 ‘결혼’에 따라 어른이 되는 '정상적인' 생애과정에 대한 태도가 바뀌고 있고 ‘성뉘’라는 신분은 독신으로서의 삶에 새로운 도전을 가져다주었다. 그녀들은 자신의 삶속에서 여성의 몸과 일 경험이 남성과는 다른 방식으로 축적되고 있는 것을 발견했고 스스로는 이 곤경을 이탈하고 싶어 한다. 또한 미혼여성들의 일과 직장에서의 독립성과 자유성은 '남고여저'의 결혼패턴과 충돌되었고 결혼 밖의 삶에 대한 제도화된 불안이 이들의 삶에 침투해 들어왔다. 이들은 배우자 선택조건에서 자신보다 나은 배우자를 찾는 것이 쉽지 않다거나 불리한 조건에 서게 될 때 결혼을 주저하는 것을 통해 가부장 사회를 지지하고 있는 모순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는 결혼중심의 사회구조에서 여성들이 자신에게 유리한 생존방식을 택하고자 하는데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결혼적령기’를 넘긴 후 그녀들의 결혼에 대한 타협과 갈등, 미래에 대한 불안과 긴장감이 많이 나타나고 있지만 그녀들은 경제적인 자립과 직업의 만족을 통해 자아 인정을 하고 있다. 자기 발전과 독립성, 자유로움을 중시하는 여성들의 욕구가 맞물리면서 이들은 결혼을 미루거나 하지 않고 있었다. 넷째, '성뉘'라는 미혼여성들이 현재의 불안과 갈등을 극복하고자 할 때 나타나는 자아실현이나 자유로운 삶, 소비주체로서의 정체성 형성을 통해 결혼제도 밖의 미혼이라는 삶의 양식을 둘러싼 새로운 재해석을 할 수 있다. 그들은 더 이상 결혼시장에 남은 '성뉘(剩女)'라는 여자가 아니라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꽃처럼 활기찬 모습으로 성장하는 '성뉘(盛女)'로 되고 있다. 그녀들의 사회적 위치가 높아진 만큼 이들이 창조해내는 새로운 공간과 삶의 모델은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결혼하지 않은 삶을 지속하기 위해서 제도적 여성성의 안전한 궤도에 들어서기보다는 새롭고 다양한 방식의 삶을 상상하면서 제도의 경계를 확장·재구성하는 실험을 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미혼여성의 경험을 다룸으로써 결혼을 둘러싼 긴장과 갈등을 살펴보았고 미혼여성의 삶의 방식에 대한 새로운 의미해석의 가능성, 더 나아가 자아정체성의 재구성도 보여주고자 했다. 이들의 독신으로서의 삶의 경험은 사회와의 관계와 자원의 접근성을 통해 상대적으로 경험되는데, 결혼중심제도는 이들에게 결혼을 통해 인생단계를 실현하도록 강요하고 있으며 이 과정은 성별 제도를 강화하는 구조로 기능하고 있다는 것을 분석해 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는 중국사회에서 제도적 여성성에 여성들을 포섭하는 기제로서 젠더에 따른 위계가 작동되고 있음을 드러낸다. 이런 위계는 여성이 자율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사는 것을 저해하고 미혼독신여성에 대한 편견을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결혼제도의 성별규범에 대한 비판과 재구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t is a study on the recent Chinese 'Shengnv(剩女)' phenomenon and urban unmarried women revealed on changes of marriage view. 'Shengnv(剩女)' is those unmarried women who were compared to 'leftover' in the marriage market after 'the marriageable age'. Through analyzing the phenomenon of the 'Shengnv(剩女)' and reporting and deeply dissecting the changes of their marriage view by u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semi-structured, it discovers the real problems of Chinese social structure are that 'marriage emphasized' and the gender roles of male and female are unequal, not only in the marriage system but also in the whole China. it has been changed a lot in China in about 30 years after Chinese reform and opening policy was adopted. In the economic structure, as the Chinese economic system completely changed from planned economic system to market economic system, the competitive Chinese society began to emphasize more on the creating and purchasing of economic fortune. It provided more space to the promotion of the abilities of individual people, and the personal consciousness of Chinese women was getting strengthening. At the same time the Chinese 'fist rich theory' made the poverty gap and generated the classes. as the concept of 'the middle class' had been presented at the 21 century, women of the middle class, especially unmarried women, as the main group of the consumption became conspicuous. Moreover, the Chinese family system experienced a great change. The conception and policy of 'the equality of the man and woman' during the Chairmen Mao's period made all the relationship of family under controlled a system of 'community'(单位). But after Chinese reformed and opened up, the idea of 'women back home' or 'full-time housewife' theory led a rebuilt of the male-dominated family system again in the new age of China. In the following years the unemployment of women were getting worse. In addition, Chinese nuclear family -'three core person' family framework had been finished in China since the 'one-child' policy was carried out generally in 1980. All these conditions formed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attendees, those unmarried women who were born in 1980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ing: First, as the diversification appears on the changes of the marriage view, those 'after 80s' unmarried women showed their attitude of self-consciousness clearly. To the view and choice of marriage, most of women said they can make their own choice to choose marriage. And to the intimacy, while the conceptions of traditional big family and 'community' were getting weaker, the modern unmarried urban women started focusing on the intimacy between their nuclear family members. Against the opinion of 'Husband is in charge of earning money to support the family, while wife is responsible for doing housework', they considered that it's right to share housework between couple in the domestic division of housework. Under the influences of the western culture at the same time, the understanding of 'gender' in China experienced a great change. Also, most of the unmarried women had changed their attitude of sex, they agreed with the premarital sex and some of them thought it's ok with the separation between marriage and sex. Second, there are tensions and conflicts surrounding those Chinese urban unmarried women on the subject of marriage. As the result of the different gender role between male and female, unmarried women suffer stresses and discriminative treatment from the Chinese society because of the 'marriage age'. The question of why they cannot get married or do not want to get married over the marriage age appears again and again. On the one hand, they might force themselves to marry up immediately to get rid of the abnormal situ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men because they realized that their single life are conflicting the 'normal' human life; on the other hand, they made struggles and resistances to those standards in the marriage system, which fulfilled their gender role of being a wife or a mother. About the problem of choosing career or family, they got confused too. Most of them cannot find the right men in the marriage market since they had the economic independence which didn't match the marriage patten. So that because of the discourse of 'if women have more power, they cannot have a marriage', they got anxious as they are unmarried, eventually, some of them might make compromises on marriage facing these dilemma. So obviously that Chinese social structure of 'marriage emphasized' and the requirement of gender role not only torments those unmarried women but also make them at a disadvantage. At last, we made a new analysis of the word so-called 'ShengNv(剩女)'. There's a great change of unmarried women from the 'leftover' to 'prime girls' by giving a new understanding. no longer being selected in the marriage market, they could show a blooming status since they were getting mature and rich in experiences because of the age as well. They set the self-orientation, emphasize self-consciousness and transfer to self-opening through the life attitudes of freedom without the marriage bond. Continuously running into patriarchal problems and crises, they come to revise their plans regarding marriage in their lives. The position constructed by their duration of non-marriage transgresses the gender/age hierarchy. Using the Internet, off-line clubs and the urban space, these women expand their personal relationships and carry out cultural practices, gaining an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s having multiple identities that cross in and out of the system. Also, networks among urban unmarried women as well other groups of 'unmarried women' in the larger sense such as divorced women, women living with a man, married women without children and non-heterosexual women suggest that an expansion of social spaces and communities is possibly underway. All these are the results and the essential recognition of this research. Moreover, there are some limits of the research. it can not explain all the urban unmarried women in China since the attendees are from three different metropolitan districts, the result of which it has one-sidedness. And also, it is incomplete that the research focuses on the 'after 1980s' unmarried women of the middle class. However, those 'after 1980s' have the representativeness since there was a great change in China society in that period. We image new and diverse ways of gender research rather than entering the safe realm of institutional feminin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