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이신애-
dc.creator이신애-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7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1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1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12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among impulsiveness, social skill, and depression of adolescents. The data analysis of 597 adolescents indicates that social skill exhibited the effect of mediating on the relation of impulsiveness on depression. The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test showed varing results across male and female. For examples, for male adolescents have higher self-regulation skill than female adolescents. For female adolescents, the results showed that adolescents are more depressive than male adolescents. Second, analysis of relationships among the major variances has revealed that they are positively correlated. For male adolescents, assertion was the most highly negatively related variance of depression while it was self-control for female adolescents. Third, the examination of the existence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major variances showed that the impulsiveness has a direct path to the depression. At the same time, it also has a meaningful path to assertion, empathy and self control, which leads to the depression by mediating them. Fourth, for male adolescents the examination of the existence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major variances showed that the impulsiveness has a direct path to the depression. At the same time, it also has a meaningful path to assertion, which leads to the depression by mediating it. On the other hand for female adolescents showed that the impulsiveness has a direct path to the depression. At the same time, it also has a meaningful path both to assertion and self-control, which leads to the depression by mediating them. These results showed that psychological variables should be included and examined in designing a social skill program in order to control effectively the level of impulsiveness. Finding in this study also exhibite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f social skill program for impulsive adolescents in utilizing psychological variables.;우울은 모든 인간들이 살아가면서 흔히 경험할 수 있는 정서 상태로 개인의 판단, 지각, 인지, 사고, 대인관계에까지 광범위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우울이 심해지면 자살에 대한 생각이 증가하고 이러한 생각이 생각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직접 자살 시도에 까지 이르는 경우도 있다. 특히 청소년의 경우 신체적으로는 성인만큼 성숙하였으나 인지나 정서적으로 발달이 미숙하여 주변의 많은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많은 심리적 부적응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심리적 부적응은 우울과 관련이 있으며 청소년기의 우울은 그 시기의 발달과업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 뿐 만 아니라 청소년이 성인이 되었을 때에도 성인의 발달과업을 성취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이 전 생애 발달에 있어서 영향을 줄 수 있는 우울에 대한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우울증상의 양상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우울 유병률이 높으며 초기 청소년 시기인 중학교 때부터 우울 증상의 성차가 발현된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남녀중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우울의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우울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성격 특성으로 충동성을 들 수 있는데 충동적인 아동들의 경우 또래와 어울리는 상호작용 기술이 낮다는 많은 연구결과들이 있다. 특히 이러한 사회적 기술의 실패로 인한 대인관계 어려움은 심리적부적응으로 이어지고 결국 우울까지 이르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동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충동성과 우울의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기술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사용하였다. 이때,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남녀 집단을 나누어 각각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나타난 충동성, 사회적 기술의 하위변인들, 우울에 있어서의 성차는 우울과 자기통제 그리고 사회적 기술 합계에서 나타났다. 즉,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수준의 자기통제 능력과 사회기술을 가지고 있고, 반대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우울감을 느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주요 변인들의 경로관계에서 남자 청소년과 여자 청소년 간의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고자 각각 남자 청소년 집단과 여자 청소년 집단으로 나누어 연구모형 검증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남자 청소년의 경우 충동성이 우울에 직접 경로를 가지고 있으며 주장성이 충동성과 우울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여자 청소년의 경우에는 충동성이 우울에 직접 경로를 가지고 있으며 주장성과 자기통제가 충동성과 우울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위와 같은 결과들이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들의 충동성, 사회적 기술, 우울을 남자 청소년 집단과 여자 청소년 집단이라는 상이한 집단을 대상으로 비교연구를 통하여 성별에 따른 충동성과 사회적 기술, 우울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조망했다는 것이다. 특히 남자 청소년과 여자 청소년 공통적으로 주장성이 충동성과 우울의 관계를 부분매개 한다는 결과와 여자 청소년의 경우 남자 청소년과 다르게 자기조절 변인이 충동성과 우울의 관계를 부분 매개 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고, 이것은 후에 충동적인 청소년들의 사회 기술 프로그램 중재 시 성별에 따라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유용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청소년 우울 6 B. 충동성 8 1. 충동성 8 2. 충동성과 우울 9 C. 사회적 기술 11 1. 사회적 기술 11 2. 충동성과 사회적 기술 13 3. 사회적 기술과 우울 14 D. 요약 16 Ⅲ. 연구방법 17 A. 연구 대상 17 B. 측정도구 18 1. 충동성 18 2. 사회적 기술 19 3. 우울 20 C. 연구절차 21 D. 자료 분석 22 Ⅳ. 연구결과 23 A. 주요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 23 1.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23 2. 주요 변인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 검증 25 3. 주요 변인들의 성별에 따른 상관 분석 26 B. 남자 청소년 집단, 여자 청소년 집단 간 비교 28 1. 성별에 따른 모형의 적합도와 모수 추정치 비교 28 2. 성별에 따른 사회적 기술의 매개효과 검증 30 Ⅴ. 결론 및 제언 32 A.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32 1. 주요 변인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 검증 32 2. 주요 변인들의 성별에 따른 상관분석 34 3. 성별에 따른 충동성, 사회적 기술,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 36 B. 연구의 의의 38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39 참고문헌 40 부록 1 충동성 설문지 52 부록 2 사회적 기술 설문지 54 부록 3 우울 설문지 57 Abstract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628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남녀 중학생의 충동성과 우울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사회적 기술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Mediating Effect of Social Skill on the Ralationship between Impulsiveness and Depression of Adolescents-
dc.creator.othernameLee, Shin Ae-
dc.format.pageviii,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