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2 Download: 0

남녀 대학생의 명시적 및 암묵적 수준에서의 부 · 모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Title
남녀 대학생의 명시적 및 암묵적 수준에서의 부 · 모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explicit and implicit attachment to parent and subjective well-being in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Authors
안상미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방희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명시적 및 암묵적 수준의 부·모 애착이 주관적 안녕감에 어떠한 상대적 예측력을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명시적 수준의 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친밀 관계 경험 질문지(ECR-R)를 사용하여 부·모 애착을 각각 측정하였고, 암묵적 애착의 측정은 반응시간을 통해 암묵적인 태도를 측정하는 암묵적 연합 검사(IAT)를 사용하였다. 주관적 안녕감은 삶의 만족도 척도(SWLS), 정적정서 및 부적정서 척도(PANAS)를 사용해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라 부·모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남녀로 각각 나누어 분석하였다. 부·모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수준에서의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부·모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수준의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남녀 대학생에 따라 명시적 및 암묵적 수준에서의 부·모 애착이 주관적 안녕감에 어떠한 상대적 영향력을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 변인들의 차이는 명시적 수준의 어머니 애착회피와 암묵적 애착인 어머니 IAT, 정적정서와 삶의 만족도에서 나타났다. 남자대학생들의 애착회피 수준이 더 높았으며 어머니 IAT의 D점수는 여자대학생들이 높아, 여자대학생들이 명시적 및 암묵적 수준에서 모두 어머니와 더 가깝고, 친밀하게 느끼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정적정서와 삶의 만족도는 남자대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본적으로 명시적 수준의 부·모 애착변인들과 암묵적 수준의 부·모 애착변인들 간의 관련성이 낮아 서로 다른 측면을 측정한다는 가정을 지지하였다. 그리고 명시적 수준의 부·모 애착은 전반적으로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 변인들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여자대학생의 경우 부·모 애착 하위변인들 모두 정적정서와는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암묵적 수준의 부·모 애착은 남녀 모두에게서 유의미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남자대학생에게서만 암묵적인 수준에서 자신을 안정적이라고 느낄수록 아버지도 접촉가능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각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성차가 나타났다. 셋째, 암묵적인 수준에서의 부·모 애착은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변인들과 상관이 유의미하지 않아 회귀분석결과에서도 남녀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명시적인 수준에서의 부·모 애착은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변인들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결과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자대학생은 부·모 애착이 정적정서를 설명하지 못한 반면 남자대학생은 어머니 애착회피가 정적정서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이었다. 부적정서를 예측하는 애착변인은 남자 대학생의 경우 부·모의 애착회피였고, 여자대학생은 부·모의 애착불안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삶의 만족도를 예측하는 애착하위변인은 남녀 대학생 모두 애착회피였지만 부·모의 상대적 영향력에서 차이가 났다. 남자대학생의 삶의 만족도는 어머니 애착회피가 유의미하게 설명하였고, 여자대학생은 아버지 애착회피가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는 암묵적 연합검사를 이용한 암묵적 수준의 애착 측정을 시도한 것과 부·모 애착과 자녀의 성별 모두를 고려해 통합적으로 접근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명시적 수준의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련성 및 예측력에서 남녀 대학생들 간의 유의미한 성차를 발견하였다.;This study examined how the father-mother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differ according to gender.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different contribution of implicit and explicit father-mother attachment to subjective well-being i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04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 Scale-Revised Version (ECR-R) were used to measure the explicit attachment. Three sets of Implicit Association Test(Self IAT and Mother IAT and Father IAT)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implicit attachment. Subjective well-being measurements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were and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partial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y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gender difference in explicit mother avoidant attachment, implicit mother attachment and positive affect, life satisfaction. Female students felt more close to their mother in implicit and explicit attachment. The male students felt more positive affect and mo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2. Explicit father-mother attachment were almost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well-being, while no relationship in implicit parent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i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female students, there was no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ather-mother attachment and positive affect. When male students implicitly felt that they are secure, they felt touchable their father. 3. To know the effect of explicit and implicit attachment to par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ly explicit father-mother attachment predicted three components of subjective well-being in both male and female. Male’s positive affect was predicted mother avoidant attachment. Parent avoidant attachment in male students and parent anxiety attachment in female influenced negative affect. Life satisfaction was predicted parent avoidant attachment in male and female. But it was relatively different to predictive variables in gender. Each opposite sex parent avoidant attachment more predicted life satisfaction in male and femal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