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방희정-
dc.contributor.author박지현-
dc.creator박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6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0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1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05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 643명을 대상으로 사회지향성, 정서조절곤란, 폭식행동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사회지향성, 정서조절곤란, 폭식행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서로 관련성을 가지는지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폭식행동에 대한 사회지향성, 정서조절곤란의 설명력을 알아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정서조절곤란과 그의 하위차원들이 폭식행동에 대한 사회지향성의 설명력을 조절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여대생들의 사회지향성, 정서조절곤란, 폭식행동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폭식행동은 사회지향성과 정서조절곤란, 정서조절곤란의 6개 하위 차원들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지향성과 정서조절곤란, 정서조절곤란의 하위 차원들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폭식행동에 대한 사회지향성과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차원들의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표준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지향성은 폭식행동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으며,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차원 중 충동통제곤란, 정서에 대한 주의와 자각 부족, 정서에 대한 비수용성, 정서조절 전략에 대한 접근제한은 폭식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정서적 명료성의 부족과 목표지향 행동 수행의 어려움은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지 않았다. 셋째, 사회지향성과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나 정서조절곤란이 사회지향성과 폭식행동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같은 사회지향성 수준을 가지더라도 정서조절곤란 수준이 낮을수록 폭식행동을 적게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조절곤란 하위차원들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지 확인한 결과, 충동통제곤란과 정서적 명료성의 부족이 폭식행동에 대한 사회지향성의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같은 사회지향성 수준을 가지더라도 충동통제곤란 수준이 낮을수록 폭식행동을 적게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같은 사회지향성 수준에서 정서적 명료성 부족 수준이 낮을수록 폭식행동 수준도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사회지향성이 높더라도 충동을 잘 통제하고 정서적인 명료성을 가질 수 있다면 폭식행동의 수준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변화가 쉽지 않은 성격 측면인 사회지향성을 가지더라도 정서조절곤란을 낮춤으로써 폭식행동 수준을 낮추고 섭식장애로 발전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충동을 통제하고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 및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을 습득한다면 폭식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젊은 여성들에게 정서조절능력을 증진시켜야 할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The media has been reporting a growing number of young women experiencing difficulties from eating disorder, and this has led to an accumulation of research on variables relevant to such disorders and those affecting prevention and cure.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correlational analys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tropy, emotion dysregulation, and binge eating behavior, targeting 643 female students at universities in Seoul and capital area. Then, the study continued to see if sociotropy and emotion dysregulation served to significantly predict binge eating. Finally, emotion dysregulation was observed for its moder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correlation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tropy, emotion dysregulation, and binge eating behavior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 indicated that binge eating behavior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otropy, emotion dysregulation, and six sub dimensions of emotion dysregulation. Also identified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otropy, emotion dysregulation, and six sub dimensions of emotion dysregulation. Secondl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look into whether sociotropy and sub dimensions of emotion dysregulation presented significant predictions of binge eating. As a result, sociotropy provided with a significant prediction of binge eating behaviors. Among the sub dimensions of emotion dysregulation, impulse control difficulties, lack of emotional awareness, non-acceptance of emotional responses, and limited access to emotion regul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binge eating behavior; lack of emotional clarity and difficulties of engaging in goal-directed behavior presented no significant prediction. Thirdl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ion effect that emotion dysregulation ha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tropy and binge eating. The result confirmed that emotion dysregulation was a moderator controlling the sociotropy-binge eating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wo people had a same level of sociotropy, the one with a lower level of emotion dysregulation showed a lower level of binge eating behavior. Sub dimensions of emotion dysregulation were examined for their moderation effect, and the result confirmed that impulse control difficulties and lack of emotional clarity were involved in moderation effect on binge eating. In other words, if the level of sociotropy was the same for two people, the one with higher emotional clarity exhibited a lower level of binge eating behavior. That is, even if the level of sociotropy is high, a good control of impulse and emotional clarity could help with containing binge eating behavior. All the results taken together, the study shows that a person with sociotropy, an aspect of personality which cannot easily be changed, can possibly restrain binge eating behavior and prevent it from developing into an eating disorder by reducing emotion dysregulation. Skills for improving emotion regulation—particularly impulse control and clear identification and understanding of emotion—would control binge eating behavior,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for young women to enhance the ability to regulate emo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A. 폭식행동 7 B. 사회지향성 9 C. 사회지향성과 폭식행동 10 D. 정서조절과 정서조절곤란 12 E. 정서조절과 폭식행동 15 F. 정서조절과 사회지향성 16 Ⅲ. 연구 방법 19 A. 연구 대상 19 B. 연구 도구 21 1. 신경성 폭식증 검사 개정판 21 2. 성격 양식 질문지 22 3. 한국판 정서조절곤란 척도 23 C. 연구 절차 24 D. 자료 분석 25 IV. 연구 결과 26 A.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26 B. 주요 변인들의 상관 분석 27 C. 폭식행동에 대한 사회지향성과 정서조절곤란 하위차원의 설명력 28 D. 사회지향성과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조절효과 30 가. 폭식행동에 대한 사회지향성, 정서조절곤란의 위계적 회귀분석 31 1) 사회지향성과 폭식행동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조절효과 32 나. 폭식행동에 대한 사회지향성, 정서조절곤란 하위차원의위계적 회귀분석 34 1) 사회지향성과 폭식행동 관계에서 충동통제곤란의 조절효과 34 2) 사회지향성과 폭식행동 관계에서 정서적 명료성 부족의 조절효과 37 Ⅴ. 결론 및 제언 40 A. 결과요약 및 논의 40 1. 사회지향성, 정서조절곤란의 차위차원, 폭식행동의 상관 분석 40 2. 폭식행동에 대한 사회지향성과 정서조절곤란 하위차원의 설명력 41 3. 사회지향성과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조절효과 43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7 참고문헌 50 부록 64 영문초록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06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여대생의 사회지향성, 정서조절곤란, 폭식행동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tropy, emotion dysregulation and binge eating behavior-
dc.creator.othernamePark, Jeehyun-
dc.format.pageix,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