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6 Download: 0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Title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ncouragement between maternal rearing behaviors perceived by children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uthors
김수은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방희정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기격려,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어머니의 수용적이고 온정적인 양육행동과 더불어 아동 스스로 격려하는 것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고 환경적 변인인 양육행동과 개인내적변인인 아동의 자기격려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서울 시내 초등학교 두 곳의 5, 6학년의 455명(남: 212명, 여: 243명)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Schaefer(1965)의 양육행동 모형을 토대로 박영애(1995)가 개발한 아동용 양육행동 척도를 김문정(2003)이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아동의 자기격려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노안영, 정민(2007)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은 김아영(2002)의 학교생활적응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분석 및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으며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알아보기 위한 중다회귀분석 및 어머니의 온정·수용 양육행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기격려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정·수용 양육행동은 아동의 자기격려, 학교생활적응과 정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허용·방임 양육행동은 아동의 자기격려와 부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고 거부·제재 양육행동도 아동의 자기격려와 학교생활적응에 부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학교생활적응과 자기격려는 정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온정·수용 양육행동, 허용·방임 양육행동, 거부·제재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기격려의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영향력을 본 결과, 온정·수용 양육행동과 자기격려만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선행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어머니의 허용·방임, 거부·제재 양육행동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유의하게 설명하지 못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온정·수용 양육행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의 자기격려의 부분 매개효과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본 연구가 의미하는 바는, 아동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온정·수용적으로 받아들이고 어머니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아동의 자기격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것과 더불어 아동이 자기격려를 함으로써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 한다는 것이다. 또한 어머니의 온정·수용 양육행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기격려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함을 통해, 아동의 자기격려가 학교생활적응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증진시키며 나아가 대학교, 직장과 같이 더 넓은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는 기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발달적 과도기에 있는 학령 후기 아동의 긍정적인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maternal rearing behaviors perceived by children, children's self-encouragement, and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propose that mother's acceptive and warm rearing behaviors and the child's self-encouragement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hild's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this paper emphasizes a mediating role of child's self-encouragement between mother's positive rearing behaviors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455 from 5th to 6th graders(212 boys and 243 girls) of two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regarding maternal rearing behaviors, children's self-encouragement,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All of questionnaires were rated by children themselves. The results were evalua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method. The results and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among factors such as mother's warm/acceptive rearing behaviors, permissive/laissez-faire rearing behaviors, rejective/restrictive rearing behaviors, children's self-encouragement,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researcher found the evidence of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warm/acceptive rearing behaviors and children's self-encouragemen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hereas a negative correlation was witnessed between mother's permissive/ laissez-faire rearing behaviors and children's self-encouragement, between mother's rejective/restrictive rearing behaviors and children's self-encouragemen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elf-encouragement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Second, mother's warm/acceptive rearing behaviors, children's self-encouragement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children's school adjustment. Like previous study, however, mother's permissive/laissez-faire rearing behaviors, rejective/restrictive rearing behaviors do not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children's school adjustment. Finally, self-encouragement of the children fulfilled a mediating role between mother's warm/acceptive rearing behaviors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puts forward the following suggestion. By maintaining good relationship with his/her mother, child can encourage for his or herself, and child is able to adjust well in school situation. Also, by confirming mediating role of self-encouragement of the chil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warm/acceptive rearing behaviors and child's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emphasizes the child's self-encouragement to predict child's school adjustment. Through this study, we can understand the basis of the adjustment that children adapt well in school such as maternal positive behavior and child's self-encouragement, and this results can help children's positive development and whole person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