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아영-
dc.contributor.author강한아-
dc.creator강한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5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1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1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16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ocial self-efficacy scale for college students. In the item development phase, the item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Bandura's(1997) theory of self-efficacy to the social context. Through the analysis of preliminary test, which was administered to 320 college students, the final scale with 8 items was selected. In the validation phase, data was collected from 493 college students. Cronbach’s alpha for the final 8 items was .80 suggesting that the scale has high internal consistenc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evidence for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was secured.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among social self-efficacy, general self-efficacy, social anxiety,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a test of nomological network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lso provided the evidence of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ocial self-efficacy scale. In conclusion, limitations,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are discussed.;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이론에 근거하여 한국 대학생의 실정에 맞는 간편한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 문항들을 참고하여, 한국 대학생의 사회적 상황을 고려한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제작하였다. 척도 문항은 pilot 검사, 예비연구, 본연구를 통해 수정·보완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증거를 확보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8문항으로 구성된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 및 자료 분석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검사에서는 문헌연구와 소집단 토론 및 pilot 검사를 거쳐 문항을 제작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1문항의 예비검사 척도를 구성하였으며, 316명의 유효 표본에 대해 기술통계치와 내적합치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단일한 구인으로서 기능함을 시사하는 결과를 얻었다. 둘째, 본검사에서는 예비검사 결과 선정된 8문항의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유효표본 49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내적합치도()를 산출하여 .80의 양호한 값을 얻었다. 단일구인 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에서도 양호한 적합도를 보여,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구인타당도에 대한 증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셋째,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의 준거관련 타당도에 대한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불안, 우울감 및 삶의 만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는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삶의 만족과는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적 불안, 우울감과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이와 같은 결과는 개발된 척도가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임을 보여준다. 넷째,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의 구인 타당도에 대한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법제정적 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관련변수인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불안, 우울감 및 삶의 만족간의 이론적 관계를 고려하여 상정한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불안 간의 관계에서 맥락특수적인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완전매개하여 사회적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대학생용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는 사회적 맥락에서의 자기효능감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이므로, 이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수행장면에서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사회적 맥락에서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보다 심도있는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불안이나 우울과 같은 심리적 문제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과 동시에, 삶의 전환기에 있는 대학생의 학업적 수행, 학교생활 적응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본 척도가 앞으로 상담 및 교육장면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A. 자기효능감 4 B. 사회적 자기효능감 6 C. 사회적 자기효능감 관련 변인 7 D.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측정 9 Ⅲ. 연구 방법 12 A. 연구절차 12 1. 문항제작 12 2. 예비연구 13 3. 본연구 13 B. 연구대상 13 1. 예비연구 13 2. 본연구 14 C. 측정도구 15 1. 사회불안 척도 15 2.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 16 3. 우울감 척도 16 4. 삶의 만족 척도 16 D. 분석 방법 17 1. 예비연구 17 2. 본연구 17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19 A. 예비연구 분석 결과 19 1. 예비척도 문항 분석 20 2. 예비척도 탐색적 요인분석 23 B. 본 연구 분석결과 25 1. 본검사 문항분석 26 2. 본검사 확인적 요인분석 27 3. 척도의 준거 관련 타당도 28 4. 척도의 구인타당도(법제정적 연결망 분석) 29 5.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불안 간의 관계 33 Ⅴ. 논의 35 참고문헌 40 부록 45 ABSTRACT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196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대학생용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ocial Self-efficacy Scale for College Students-
dc.creator.othernameKang, Hana-
dc.format.pageix, 5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