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성-
dc.contributor.author심혜민-
dc.creator심혜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5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7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1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792-
dc.description.abstractFor measuring consumers’ discriminability between confusable samples using duo-trio test, consumers’ affects towards those samples was involved in testing situation. One such measure of discriminability is d', which is a sensitivity index based on Signal detection theory. To explore more suitable consumer discrimination test, three different versions of the duo-trio test were designed to incorporate the consumers’ affective state of mind. In the protocol 2, subjects were not recognized that the reference was their pre-preference-choice. In the protocol 3, subjects were recognized that the reference was their pre-preference-choice. In the protocol 4, subjects were recognized that not only the reference was their pre-preference choice but also which sample was the previously chosen sample in the following paired preference test. For comparison of performance with protocols 2-4, in the protocol 1 as the control protocol, subjects performed traditional duo-trio test using balanced-reference design. All subjects performed replicated duo-trio tests for discriminating between two corn soup products having different levels of salt concentrations to test their perceived discriminabil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having equivalent sensitivity through sensitivity checking test of duo-trio tests with balanced-reference mode. Results, in all of four protoco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in-test, but in the protocol 2 and 4, the performances of main-tes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sensitivity checking test (p<0.05). The subjects tended to prefer saltier soup; especially the protocol 2 and 4 was indicated significant preference. When looking at performances of only the tests in which the saltier soup was used as the reference, comparing results among 4 protocols, only the results of protocol 4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rotocol 1 (p<0.05). When applying a similarity limit of d'=1.5, only the protocol 1 indicated a significant similarity (p<0.05). These results imply that not only when involving affective state of mind, the discrimination was improved but also when the consumer discrimination method is not involving consumers’ affects towards the samples, there is potential risk to induce a wrong conclusion.;일∙이점 검사(duo-trio test)를 활용하여 미묘한 맛의 차이를 가진 식품간의 소비자 감각 차이 식별력을 측정할 때 선호하는 시료를 기준시료로 이용하는 상황이 평가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비자 감각 차이 식별력은 signal detection theory에 근거하여 감각 예민도, d' 으로 분석하였고, 균형되게 두 시료가 기준시료로 제공되는 분석적인 일∙이점 검사조건(protocol 1)을 대조군으로 수행하여 선호하는 시료를 기준 시료로 고정시켜 제공하는 3가지 protocol들간의 감각 예민도를 비교하였다. 이들 3가지 비교조건은 반복되는 일∙이점 검사이전에 이점 선호도 검사(paired preference test)를 선행하는 형태로 진행되었고, 4번의 평가 세션으로 구성되어, 결과적으로 4번의 선호도 평가가 수행되었다. 비교 조건은 일∙이점 검사에서 제공되는 기준시료에 대한 선호도 정보 노출 여부에 따라 다음의 3종류로 구성되었다: 1) 선호 시료를 고정된 기준시료로 제시한다는 것을 알려주지 않고 평가함(protocol 2). 2) 선호 시료를 고정된 기준시료로 제공한다는 것을 알려주고 평가함 (protocol 3). 3) 선호 시료를 고정된 기준시료로 제공한다는 것을 알려주고 또한 이어지는 이점 선호도 검사에서도 선호되었던 선호시료가 무엇이었는지 알려주고 재 평가함(protocol 4). 각 protocol은 그룹 예민도가 동일한 4개의 그룹을 사용하여 본 실험(main-test)을 수행하였다. 동일한 4개의 그룹을 나누기 위해 기본 예민도 검사(sensitivity checking test)로써 균형된 기준시료 일∙이점 검사가 수행되었고 평가시료는 소금의 농도차이가 있는 두 개의 스프를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서 수행된 4개의 protocol들의 감각 예민도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protocol 2와 4의 감각 예민도는 기본 예민도 검사 때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도출되었다(p<0.05). 이점 선호도 검사 결과 평가원들은 소금의 농도가 높은 시료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rotocol 2와 4에서는 선호도 경향이 유의적으로 나타났다(p<0.05). 선호도가 있었던 소금의 농도가 높은 시료를 기준시료로 제공하여 평가한 경우만을 비교했을 때, 기준 시료에 대해서 선호도 정보가 가장 많이 노출되었던 protocol 4가 선호도 평가 없이 분석적으로 일∙이점 검사를 수행했던 protocol 1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감각 예민도가 나타났다(p<0.05). 특히 선호도가 있다고 사료 되는 소금의 농도가 높은 시료를 기준시료로 사용한 검사 결과들 간의 평가 수행력을 유사성 한도(similarity limit)로 d′=1.5(Pd=0.33)를 적용하였을 때, 분석적인 평가 조건에서만 두 시료에 대해 유의적으로 유사하다고 나타내었다(p<0.05). 본 연구 결과는 일∙이점 검사에서 제공되는 기준시료가 선호도가 있는 시료로 제공되는 경우와 선호하는 시료에 대해 정보를 가장 많이 노출한 경우에 평가 수행력이 상승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유사성 검사의 결과에서는 소비자가 시료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선호도를 개입시키지 않고 분석적으로 평가하게 되면 잘못된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선호도가 있는 시료를 기준시료로 제공하는 일∙이점 검사를 활용할 때 보다 정확한 소비자 감각 예민도를 도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재료 및 방법 12 A. 검사원 12 B. 실험재료 13 C. 실험 디자인 및 평가 절차 14 D. 데이터 처리 및 분석 21 Ⅲ. 결과 25 A. 각 그룹의 특성 및 기본 감각 예민도 분포 25 1. 스프와 실험에 관련된 설문지 응답 결과 25 2. 그룹 별 기본 예민도 겸사 결과 29 B. 본 실험 결과 33 1. 반복된 선호도 이점 검사의 응답 빈도 및 선호도의 유의성 분석 33 2. 기준시료에 따른 검사원들의 감각예민도 비교 및 검사원들의 인지전략 36 3. 유사성 검사를 통한 예민도 비교 분석 41 Ⅳ. 고찰 43 Ⅴ. 결론 51 참고문헌 53 부록 60 부록 1. 기본 예민도 검사에서 사용한 일∙이점 검사 excel 평가 시트 60 부록 2. 동일-비동일 질문에서 사용한 excel 평가 시트 60 부록 3. 이점 기호도 검사에서 사용한 excel 평가 시트 61 부록4. protocol 4에서 세션 2, 4의 예비테스트 (pre-test)에서 사용한 excel 평가 시트 61 부록 5. protocol 3, 4에서 사용한 일∙이점 검사 excel 평가 시트 62 부록 6. 검사원들이 응답한 스프에 관련된 설문지 63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336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반복 수행된 일∙이점 검사 (duo-trio test)의 예민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선호도에 따라 선택된 기준 시료의 효과-
dc.title.translatedSensitivity of repeated duo-trio test : The effects of reference chosen by preference-
dc.creator.othernameSim, Hye-Min-
dc.format.pageix,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공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