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준성-
dc.contributor.author강혜민-
dc.creator강혜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4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9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1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950-
dc.description.abstract공공사업의 BIM 적용 의무화 발표와 BIM 적용가이드 발표 등, 공공발주기관들의 주도로 BIM기반의 발주물량이 증가하고 국가 차원의 체계와 가이드라인이 점차 발표됨에 따라 건축사무소, 엔지니어링사, 건설사 등의 계약자들에게도 BIM도입 및 활용성 제고에 대한 변화가 일고 있다. BIM의 도입 수준은 각 건설주체별, 기업별 BIM에 대한 이해와 도입을 통한 경영적 목표의 차이 등에 따라 상이할 수는 있으나, BIM에 의해 건설생산체계의 변혁을 고려하면 일정한 기준에 따라 그 도입 및 활용 정도에 대해 평가할 필요가 있다. BIM의 도입은 단순한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와 같은 기술의 도입만으로 인한 성과가 아닌, 전반적인 프로세스와 조직, 그리고 인식의 변화를 필요로 하므로 단계적인 도입과 변화과정을 요구한다. 따라서 현재 건설조직이 BIM을 도입하고 있는 현재 성숙단계의 진단을 통해 BIM 도입 단계가 어디인지를 파악하고 각 단계를 규정하는 요소들의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조직이 보완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도출, 제시할 수 있도록 하고자 건설조직의 BIM 수행역량 성숙도 진단모델을 제안하였다. 먼저, BIM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국내외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국내 BIM시장의 위치를 파악하고, 국내 건설조직의 BIM 수행역량 성숙도 진단모델 개발을 위한 예비적 고찰로써 건설 분야의 성숙도 및 조직역량 평가 관련 연구사례들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평가척도의 객관성이 미흡, 기존의 역량평가 모델이 현황을 진단하는데 그쳐 향후 추진해야 되는 방향성에 대해서는 제시해주고 있지 않고, 주체별 상이함이 반영되지 않고 조직 간의 비교지표로 활용되었다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현재 도입 및 확대기를 거치며 각 조직마다 BIM을 통해 얻고자 하는 목표와, 이를 추진하기 위한 방향성의 확립이 필요할 것이며, 또한 객관성을 지닌 지표에 의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조직 간 비교, 조직 내부의 역량 강화를 위한 척도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이러한 BIM 성숙도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서, 평가대상의 현 상태를 측정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사한 개념으로 P-CMM, 기업정보화수준평가, I-CMM, 건축분야 BIM 적용가이드, CMMI 등의 조직 평가 방법론 및 BIM관련 지침들의 검토를 통해 BIM 수행역량 성숙도 진단을 위한 진단항목을 도출하고 진단체계의 기준이 되는 성숙단계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도출한 17개의 진단항목은 전문가 검증을 토대로 재구성하여 조직, 기술, 관리의 3가지 역량에 대하여 총 12가지의 BIM 수행역량 성숙도 진단항목을 구성하였고, 진단기준으로 6단계의 성숙단계의 정의에 기반하여 세부항목별 정의를 통해 BIM 수행역량 성숙도 진단모델을 구성하였다. BIM 수행역량 성숙도 진단을 위해 설계사, 시공사, 엔지니어링사 8곳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상이한 수준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인터뷰를 수행한 결과 건설조직의 BIM 수행역량 성숙도의 현 수준을 진단할 수 있었다. 또한 건설 주체별로 활용될 수 있는 BIM의 적용분야와, 보유해야할 BIM 수행역량이 주체별로 상이하다는 판단 아래 건설주체별 진단을 실시한 결과 건설주체별로 인식하고 있는 항목별 중요도와, 조직의 현재 BIM 성숙도수준, 그리고 BIM 활용능력 증대를 위해 요구되는 미래수준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Gap 분석을 수행하여 각 건설주체별로 앞으로 전략수립에 있어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할 부분에 대한 방향성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건설업계의 BIM 수행역량 성숙도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의 필요성과 동시에, 건설주체별로 성숙수준이 다름을 인지하고 주체별, 또는 조직별 비교할 수 있어야 하는 유연성 있는 성숙도 진단 체계의 필요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BIM의 활용이 인프라 구축과 기술 습득뿐만 아니라 조직의 업무 방식, 관리 체계 등의 조직전반의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기 때문에 조직의 BIM 수행역량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다는 인식 아래 건설조직의 BIM 수행역량 성숙도 진단과 개선전략 수립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건설주체별로, 해당 역량과 세부항목별 시사점은 BIM을 도입하고 활용하고 있는 건설조직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줄 것이며, 현재의 조직 성숙수준을 진단하고 개선점을 파악하며, 타 조직과의 비교를 통해 벤치마킹을 수행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s policies on invigorating the use of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re implemented at the national level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uch as mandatory of BIM to the public business and release of the BIM guideline, changes of BIM adoption and enhance the usability are happening among the stakeholder. The BIM application level may differ from each stakeholder or companies depend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management goals or understanding of BIM. But when considering the revolution of the construction production system, it is needed to be evaluate for its application level of BIM in accordance with an certain standard. The introduction of BIM requires a step-by-step introduction and changing process as it needs the changes of overall process, organization, and recognition as well as the build-up of technology infrastructure. This research proposes the BIM Capability Maturity Model for construction organization to be able to identify their BIM application status, know their positioning, and derive the direction of the organization by identifying the status of the elements that defines each stage. Firs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BIM domestic market was Identified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BIM and by looking at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s, and the literature review of maturity and organization competency evaluation of the field of construction was performed as an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BIM Capability Maturity Model. As a result, problems was derived as a lack of objectivity of the rating scale, the existing competency assessment model does not provide the direction that should be pursed in the future, and has been used as an indicator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organization not reflecting the differences of the stakeholder.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se problems, each organization will need to establish direction for the objective to promote the goal to get through BIM. Also, when the indicator that are objectified, it could be a measure for inter-organizational comparisons and strengthening the internal capacity of the organization. To develop the BIM Capability Maturity Model, Organizational assessment methodology and BIM-related instructions has been investigated and derived both the diagnostic items and reviewed the stage of maturity. The BIM Capability Maturity Model is composed of organization, technology, and management competencies, with 12 diagnostic items. For the diagnostic criteria, the maturity level was defined into 6 stages, and based on the definition of maturity, the model was constructed. The evaluation was performed for stakeholder, and conducted interviews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d for the difference. As a result, it was able to perform a current level of construction organization's BIM Capability Maturity. Also, a result was deriv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stakeholder with the items of importance, current level, and the future requirements. Thus, a Gap Analysis was performed to propose the direction that which items should be intensively managed for each stakeholder when formulating the forward strategy. This study has meaning of suggesting the BIM Capability Maturity Model that had recognition of utilization of BIM needs an fundamental change across the organization, and proposed the evaluation of the maturity, and provide an direction for building the improved strategy. Details of the competency, items, and stakeholder will give many implications to construction organizations utilizing BIM, and it is expected to diagnose current organizational maturity level, identify improvements, and can provide a basis for comparison with benchmarking other organiza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II. BIM 성숙도 평가를 위한 이론적 고찰 7 A. BIM 이론적 고찰 7 1. BIM의 개념 및 정의 7 2. BIM 도입 현황 10 가. 국외 현황 10 나. 국내 현황 11 B. 건설조직의 특성 고찰 14 1. 설계사 14 2. 엔지니어링사 14 3. 건설사 15 C. 건설분야 성숙도 및 조직역량 평가 관련 기존연구 고찰 17 D. 소결 21 III. BIM 성숙도 평가 방법론 고찰 22 A. 성숙도 평가방법론 분석 26 1. 조직 역량 평가 방법론 26 가. P-CMM 26 나. 기업정보화수준평가 28 다. 조직 역량 평가 방법론 분석결과 31 2. BIM 요구 기술역량 분석 34 가. I-CMM(Interactive Capability Maturity Model) 34 나. 건축분야 BIM 적용가이드라인 36 다. BIM 요구 기술역량 분석 결과 38 3. 프로세스 성숙도 평가 방법론 39 가.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39 나. 프로세스 성숙도 평가 방법론 분석 결과 42 B. 분석의 종합 43 1. 평가 항목 44 2. 평가 체계 45 C. 소결 45 IV. BIM 성숙도 진단모델 개발 46 A. BIM 성숙도 진단모델 개발의 개요 46 B. BIM 성숙도 진단모델 구성 47 1. 진단항목 구성 및 정의 47 가. 진단항목의 도출 47 나. 진단항목의 정의 49 2. 진단체계의 구성 및 정의 50 C. 소결 51 V. 사례분석 : 국내 건설조직의 BIM 성숙도 평가 52 A. 사례분석의 개요 52 1. 진단방식 및 대상의 선정 52 2. 설문조사 개요 및 구성 53 B. 진단결과 분석 55 1. BIM 성숙도 진단 체계 필요성 분석 결과 55 2. 신뢰성 분석 결과 55 3. 건설조직의 AHP 중요도 평가 56 4. 건설조직 BIM 수행역량 성숙도 진단 결과 59 C. 건설주체별 진단결과 분석 61 1. 건설주체별 중요도 인식 61 2. 건설주체별 BIM 수행역량 성숙도 진단 결과 65 가. 조직 역량 66 나. 기술 역량 66 다. 관리 역량 67 3. 건설주체별 BIM 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미래요구수준 68 4. 현재수준과 미래수준의 Gap 분석 69 가. 설계사의 Gap 분석 70 나. 시공사의 Gap 분석 70 다. 엔지니어링사의 Gap 분석 71 D. 소결 72 VI. 결론 74 A. 연구의 결론 74 B. 제언 76 참고문헌 78 Appendix 1. BIM 수행능력 성숙도 진단 설문지 80 ABSTRACT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349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건설조직의 BIM 수행역량 성숙도 진단 및 인식비교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valuation of the BIM Capability Maturity and Recognition Comparison Analysis for Construction Organization-
dc.creator.othernameKang, Haemin-
dc.format.pagexi,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건축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