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민병원-
dc.contributor.author정하연-
dc.creator정하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2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1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1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113-
dc.description.abstractThe United States(U.S.) has been continually debating between national security and individual liberties throughout its history. Since national security came first during wartime, it was possible for the U.S. government to implement laws, systems and administrative actions which restricted individual liberties and rights.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is are the Espionage Act and Sedition Act enacted during the First and Second World War as well as the Subversive Activities Control Act enacted when McCarthyism swept America during the Cold War. By taking such actions, the U.S. government restricted its citizens’ freedom and human rights. When faced with a crisis, the government has tended to wield nearly exclusive power on its national security while civil liberties were not mainly considered. The government’s actions taken as a part of ‘the war on terror’ after 9/11 were no exceptions. After 9/11, by taking advantage of the national crisis, terror, the U.S. administration established the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DHS) and enacted the Patriot Act in order to enlarge the administration’s power and reinforce security. These counter-terrorism actions provoked a dispute over a value of security and liberties. Historically, the U.S. government’s behavior to expand its authority and justify infringement of liberties has been repeating in the name of national security. The dispute over both the values of national security and civil liberties, which is often repeated in American history, will be analyzed, focusing on the case of the Total Information Awareness(TIA) project pushed for by the Bush administration after the 9/11 attacks occurred. The Bush Administration pushed for the TIA project in order to prevent subsequent terrorist attacks by strengthening monitoring. The project was aimed at preparing for asymmetrical threats by managing the enormous amount of public and private database, and required technology such as data mining and profiling based on data from communication, finance, education, travel, medical records and immigration information, etc. The government tried to push ahead with the TIA project in the name of anti-terrorism, but congress and the public were concerned about the defamation of civil liberties by ‘Big Brother.’ Consequently, this project was rejected by the congress. The TIA project was a part of the government’s work to deal with security threat by using developed technology, and is a significant case which shows how the technology made an influence on the dispute between security and civil liberties. This case study shows the confrontation between security and liberties after the 9/11. Especially it analyses the implications of the advancement and applications of information technology which affect security and liberties. The implication on the failure of the TIA project can be summarized in the various legal, technological and governmental aspects. Firstly, in the legal aspect, the TIA project was violated some provisions in the constitution, such as the first amendment which protects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fourth amendment which prohibits unreasonable searches and seizures and the fourteenth amendment which guarantees due process, and the project could fundamentally infringe civil liberties. Secondly, in the technological aspect, technologies being used in the project such as data mining and profiling could infringe the freedom of innocent people by data abuse, mission creep and system errors, etc. Lastly, in the governmental aspect, it brought about suspicions and concerns about the surveillance, or dataveillance of people’s everyday life by Big Brother. The U.S. government made an attempt to push for the establishment of massive databases and operation of the analyzing system through the TIA project in the name of strengthening security and anti-terrorism; however, this project was not able to relieve people’s worries of the infringement of civil liberties in the legal, technological and governmental aspects. Those who thought the TIA project was a step towards an ‘Orwellian society’ ended up being predominant over the ones who thought the project was a means to defend national security.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can be a means to strengthen national security; however, the government will not be able to gain support if not contemplate the civil liberties enough. The failure in the TIA project is regarded as one of successful cases in the aspect of protection of civil liberties. In the past national crisis, the government had a tendency to take measures that could infringe individual liberties in the name of national security. However, concerns about the infringement of liberties have been growing due to the adv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his represents that the possibility of the advent of massive surveillance society is held back because people have became aware of the threat by their nation. ;미국은 역사적으로 국가의 ‘안보’와 개인의 ‘자유’라는 가치 사이에 대립과 갈등을 되풀이해왔다. 특히 전시에는 안보의 가치가 강조되어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제약하는 법률, 제도, 행정조치가 행해지기도 하였다. 양차대전을 겪는 동안 제정된 방첩법(Espionage Act)과 치안법(Sedition Act), 그리고 냉전시기 미국 내에 매카시즘(McCarthyism)이 휘몰아쳤을 당시 전복활동통제법(Subversive Activities Control Act) 등의 제정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정부는 이러한 조치를 통해 시민의 자유와 인권을 제한하였다. 위기 발생 시 정부는 국가안보에 대해 거의 독점적인 권력을 행사하려는 행태를 보여 왔으며, 이러한 권력 행사 시 시민의 자유는 주요 고려대상이 되지 않았다. 9/11 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war on terror)’의 일환으로 행해진 정부의 조치들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행정부는 9/11 이후 국토안보부(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를 창설하고 애국법(Patriot Act)을 제정하는 등, 테러라는 국가적 위기를 내세워 안보 증대와 더불어 행정부의 권한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대테러 조치들은 안보와 자유 가치의 논쟁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이처럼 안보를 명분으로 정부 권한을 확대하고 자유의 침해를 정당화하려는 행태는 역사적으로 반복되어왔다. 이 논문은 미국 역사상 되풀이되어온 ‘안보’와 ‘시민의 자유’라는 양대 가치의 대립을 둘러싼 논쟁을, 9/11 테러 발발 이후 부시 행정부에 의해 추진되었던 종합정보인식(TIA: Total Information Awareness)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부시 행정부는 국내외 감시를 강화해서 이후의 테러를 방지하겠다는 일환으로 국방부 산하 연구기관에서 TIA라는 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공공 및 민간 부문의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여 비대칭적 위협에 대비하겠다는 것으로서, 통신, 금융, 교육, 여행, 의료, 출입국자료 등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프로파일링(profiling) 등의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었다. 정부는 테러 방지를 명분으로 TIA 프로젝트를 추진하였지만, 의회와 여론은 새로운 ‘빅브라더(Big Brother)’에 의한 자유의 훼손을 우려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프로젝트는 의회의 저지로 무산되었다. TIA 프로젝트는 발전된 기술을 이용하여 안보위협에 대응하고자 했던 정부 노력의 일환으로서, 기존의 안보와 자유 간의 논쟁에 기술적 측면이 미친 영향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사례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미국 역사상 여러 차례 등장했던 안보와 자유의 대립이 9/11 이후에 어떻게 나타났는지, 특히 TIA 프로젝트 사례연구를 통해 정보기술의 발전과 그 적용이 안보와 자유에 어떠한 함의를 갖는지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IA 프로젝트의 무산에 대한 함의를 법, 기술, 정부 역할 측면에서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TIA 프로젝트는 법적 측면에서 표현의 자유 등을 보장하는 수정헌법 제1조, 부당한 수색, 체포, 압수 등으로부터의 자유를 보장하는 제4조, 적법절차를 보장하는 제14조 등의 헌법 조항에 대하여 시민의 자유를 근본적으로 침해할 소지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기술적 측면에서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대량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데이터 마이닝, 프로파일링 등의 기술은 데이터 오남용(abuse), 전용(mission creep), 시스템 오류 등으로 인하여 무고한 사람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 소지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부 역할 측면에서 국민의 전(全) 생활영역에 대한 감시 혹은 데이터감시(dataveillance), 즉 빅브라더의 의혹 및 우려를 야기하였다. 정부는 안보 증대와 테러 방지를 명분으로 내세워서 TIA 프로젝트를 통해 대량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분석 시스템 운영을 추진하고자 하였지만, 이와 같은 법, 기술, 정부 역할 측면에서 시민의 자유 침해의 우려를 극복하지 못하였다. 결국 TIA 프로젝트를 안보 수호를 위한 수단이라고 보는 입장과, 오웰적(Orwellian) 감시사회의 등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는 입장 간의 대립에서 후자가 우세하였다. 진보된 정보기술이 안보 증대를 위한 수단이 될 수는 있지만, 이로 인해 침해될 수 있는 시민의 자유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면 궁극적으로 이러한 정부의 선택은 지지 받을 수 없다. TIA 프로젝트의 무산 사례는 9/11 이후 시민의 자유 보호 측면에서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로 평가된다. 과거 국가 위기 시 정부는 애국자 게임, 즉 안보를 명분으로 시민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하지만 정보기술(IT)의 발전으로 인해 자유의 침해 우려가 과거보다 더 증대되었으며, 이러한 국가에 의해 가해질 수 있는 위협에 대한 인식으로 인해 대형 감시사회의 도래 가능성이 저지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사례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들어가는 말 1 A. 연구배경 및 목적 1 B. 연구방법 및 논문의 구성 3 II. 미국정치 속의 안보와 자유: 기존 문헌 연구 5 III. 국가안보와 시민의 자유 10 A. 개념에 관한 논의 10 1. 국가안보란 무엇인가? 10 2. 시민의 자유 11 B. 애국자 게임: 사례와 교훈 13 1. 양차대전과 애국자 게임 13 2. 냉전시대의 애국자 게임과 사법부 17 C. 9/11 테러 이후 안보와 자유 18 1. 행정부의 권한 강화 18 2. 안보와 자유 가치의 대립 19 IV. 안보 대 자유 논쟁과 종합정보인식(TIA) 프로젝트 25 A. 종합정보인식 프로젝트의 개요 25 B. 9/11 테러 이후 애국자 게임과 TIA 프로젝트 27 1. 여론 및 의회의 반발 28 2. TIA 프로젝트에 대한 지지 입장 33 3. 논쟁의 배경과 요인 35 4. 프로젝트의 무산 39 C. TIA 프로젝트의 정치적 의미: 법, 기술, 정부의 역할 41 V. 맺는 말 49 참고문헌 51 Abstract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758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안보 대 자유 논쟁과 애국자 게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미국의 종합정보인식(Total Information Awareness)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National Security vs. Civil Liberties Debates and Patriot Games : A Case Study on the U.S. Total Information Awareness Project-
dc.creator.othernameJeung, Ha Yeun-
dc.format.pagevi,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정치외교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