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자형-
dc.contributor.author장수현-
dc.creator장수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2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2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1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219-
dc.description.abstract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이를 해소 및 완화시키기 위한 전략을 위해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에 소재한 신생아중환자실을 운영하고 있는 3개 대학병원의 신생아중환자실에 근무경험이 있고, 임종간호를 1회 이상 경험한 68명의 간호사로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11월 21일부터 12월 5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문헌고찰과 임상경험을 기반으로 개발하였으며 지식 부족, 임종간호수행 관련 어려움, 심리적 어려움, 물리적 환경 및 체계 부족의 4개요인의 총 2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전문가집단에 의한 내용타당도와 요인분석으로 구성타당도를 검증했고,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865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와 t-test, ANOVA, LSD 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는 5점 만점에 3.90(±.33) 으로 높게 나타났다. 요인별로 보면 임종간호수행 관련 어려움 4.04(±.51), 지식 부족 3.99(±.52), 물리적 환경 및 체계부족 3.86(±.50), 심리적 어려움 3.71(±1.0) 순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지식 부족 요인에서는 연령에 따라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6.95, p<.01), 20세~25세 미만 군 4.18(±.43)과 25세~30세 미만 군 4.11(±.35)이 30세 이상 군 3.66(±.66)보다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결혼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2.22, p<.05), 미혼 4.08(±.44)이 기혼 3.77(±.66)보다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4. 심리적 어려움 요인에서는 연령에 따라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4.82, p<.05), 25세~30세 미만인 군 3.92(±.48)에서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이러한 높은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간호사들을 소극적이고 업무만족의 저하로 이어져 소진에 이르게 하며, 임종하는 신생아와 그 가족에게 질적이고 효과적인 임종간호를 수행하는데 장애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이를 해소 및 완화시킬 수 있는 적절한 중재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tress of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who provide care for high risk newborn. The participants were 68 nurses of three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i-do, from November 21 through December 5, 2012. They had experienced working at NICU and the End-of-Life care for the newborn more than once. Based on the literature, preceding researches and clinical experience, the stress tool were developed. It consisted of 29 questions in four factors, including the lack of knowledge, difficulties related to end-of life care practice, emotional stress, and lack of physical and structural environment. Content and structure validity by the experts via factor analysis were verified(Cronbach's α=.855). Data were analyzed by SPSS 15.0 window program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LS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tress relating end-of life care was 3.90(±.33) out of 5. The cause of the highest stress was the difficulties related to End-of life nursing practice 4.04(±.51), followed by the lack of knowledge 3.99(±.52), lack of physical and structural environment 3.86(±.50), and emotional stress 3.71±(1.0), respectively. 2.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urses' stress level and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ose two variables, except for the work experience of nurses. 3. In the cause of the lack of knowled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ess level of End-of-life care according to their age (F=6.95, p<.01), the stress level of the age group of 20 to 25 4.18(±.43) and the age group of 25 to 30 4.11(±.35) was higher than the age group of over 30 3.66(±.66). And there also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F=2.22, p<.05), the stress level of unmarried 4.08(±44) was higher than married 3.77(±.66). 4. In the cause of the emotional str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ess level of End-of-life care according to their age (F=4.82, p<.05), the stress level of the age group of 25 to 30 3.92(±.48) showed the highest level among other age grou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NICU nurses experienced a high level of stress caused by end-of life care for the newborn. Which in turn led them from active quality care to passive and unsatisfactory work patterns and finally burnout. Therefore it would be recommend that identifying the major stressor threatening nurses' work performance and having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용어 정의 6 II. 문헌고찰 7 A. 고위험신생아 간호 7 B. 임종간호 스트레스 10 III. 연구방법 14 A. 연구 설계 14 B. 연구 대상자 14 C. 연구 도구 15 D.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17 E. 자료 분석 방법 17 F. 연구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18 IV. 연구결과 19 A. 대상자의 제 특성 19 B. 대상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 20 C.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의 차이 25 D.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요인별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의 차이 27 V. 논의 32 VI. 결론 및 제언 37 참고문헌 40 부록 46 Abstract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72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고위험신생아 임종간호 스트레스-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Stress of End-of-Life Care for High-Risk Newborn-
dc.creator.othernameJang, Su Hyun-
dc.format.pagev,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