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1 Download: 0

A Contrastive Study of Present Perfect in English and Korean

Title
A Contrastive Study of Present Perfect in English and Korean
Other Titles
영어와 한국어의 현재완료 대조 연구
Authors
이소영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영은
Abstract
한국어와 영어 두 언어에 나타나는 완료상에 대한 대조연구들은 진행상에 비해 수적으로 많지 않을 뿐 아니라 학자마다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다. 이렇게 견해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두 언어가 서로 다른 완료상 체계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한국어에 완료상이 존재하는가에 관한 학자들의 관점이 각기 다르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어와 한국어 각 언어에 나타나는 완료의 의미적 특성을 살피고, 두 언어의 완료상의 특징을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영어의 완료상에 관한 이론들을 살펴보고 이 이론들이 공통적으로 지목하는 완료상의 기본 의미를 바탕으로 하여 현재 완료의 필수적인 의미성분들을 정의 내린다. 또한, 이 정의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에서 지금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는 “-었”의 기능과 의미를 분석한다. “-었”은 한국어 학자들의 각 입장에 따라 과거시제, 완료상, 또는 이 두 의미를 동시에 갖는 것 등으로 분석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었”이 과거시제 표지로서만 기능한다는 입장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영어와는 달리 한국어에는 현재 완료를 위한 문법적 상표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현재 완료의 의미는 [+ 결과성(resultative)]라는 의미 특성을 갖는 동사 또는 발화시점을 나타내는 시간부사와 같은 요소들과 “-었”의 결합을 통해 이끌어낼 수 있음을 제안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징들로 인하여 영어와 한국어의 현재 완료 용법에 차이가 나게 됨을 주장한다.;Although a considerable number of analyses on the meaning of English present perfect have been proposed, Korean linguists show conflicting views on whether Korean has an aspect system in addition to a tense system. Some argue that Korean has only a tense system, and some others claim that Korean has only an aspect system. There are also those who propose that Korean has both an aspect and tense system.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semantics of English present perfect and that of Korean, and to compare them. To this end, this thesis investigates some representative theories of English present perfect, and then defines the semantic components of present perfect. Furthermore, based on the basic semantic properties of English present perfect, Korean sentences with the suffix “-ess,” which is argued as a perfect marker by some linguists, will be analyzed, and it will be proposed that “-ess” functions only as a past tense marker. It will be further proposed that the meaning of Korean present perfect is derived from a more complex process due to the absence of a grammatical present perfect marker. That is, in addition to the past tense marker “-ess,” a verb with the [+ resultative] semantic feature or a temporal adverbial referring to the utterance time is required for a Korean sentence to be interpreted to have the present perfect meaning. It will also be argued that these characteristics affect the availability of the different uses of present perfect between English and Korean. English has three uses of present perfect, i.e., experiential, resultative, and universal, whereas Korean present perfect has only two uses, i.e., resultative and univers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