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이권-
dc.contributor.author노경아-
dc.creator노경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0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6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1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646-
dc.description.abstractAlthough amphibians are declining worldwide and there is valid focus on determining the causes, critical basic information is missing for many species, such as geographic distribution and rate of population decline. In Korea, there are two closely related treefrog species: Hyla japonica, which is distributed widely throughout the country, and H. suweonensis, which occurs sympatrically in a narrow strip of western coastal plains. H. suweonensis is only found within the distribution of H. japonica. Males of both species call to advertise for mates, and the calls are distinguishable. To determine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H. suweonensis and H. japonica, we conducted a calling survey in 70 localities encompassing the distributional range of H. suweonensis. A group of volunteers conducted the survey, supplemented with recording calls for validation. Calling activity was scored using the calling index (CI), which ranged from 0 to 3, with 0 indicating no calling and 3 indicating full chorus. The endangered H. suweonensis was found only in 14 out of 70 localities, designated as syntopic, whereas H. japonica occurred in all 70 localities. The calling activity of H. japonica was vigorous, with 56.1% of all surveys registering CI of 3 throughout the study period, but the calling activity of H. suweonensis was faint, with only 13.4 % of all surveys registering CI of 1 or highe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alysis revealed that syntopic localities had significantly less urban and forested areas and significantly more rice paddy area than the non-syntopic localities. Binary logistic regression confirmed that one habitat factor had positive effect on the occurrence of H. suweonensis: the percentage of rice paddy.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the two treefrog species throughout the breeding season confirmed that H. suweonensis is indeed rare and may be undergoing an extinction vortex. For the conservation of H. suweonensis, swift and decisive measures should be taken, including determining the causes of population decline and establishing protected habitat areas.;세계적으로 양서류 개체수의 감소가 심각하지만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는 연구가 부족하다. 특히 멸종위기에 처한 양서류 종의 분포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개체군 감소율 같은 보전 계획을 세우기 위한 기본적 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에는 청개구리와 수원청개구리가 있다. 청개구리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반면 멸종위기종인 수원청개구리는 한반도 서부지역에만 제한적으로 서식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수원청개구리는 보통 청개구리가 서식하고 있는 지역에서 함께 발견된다. 형태가 비슷하여 시각적으로 구별이 어렵지만 두 종은 노래 소리가 달라 청각으로 구별이 된다. 수원청개구리와 청개구리의 시∙공간적 분포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우리는 수원청개구리가 서식하고 있는 지역을 포함해 총 70지역에서 노래조사를 실시하였다. 봉사자들은 매 노래 조사마다 개구리 노래를 녹음했다. 청개구리와 수원청개구리의 노래 활동은 노래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0부터 개구리들이 가장 많이 노래하는 것을 의미하는 3까지 범위를 가진 노래지표(CI)를 이용하여 기록되었다. 멸종위기종인 수원청개구리는 총 14지역에서 발견되었고 청개구리는 모든 지역에서 노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청개구리의 노래활동은 노래 조사의 56.1%가 노래지표 3으로 기록되었으며 수원청개구리 노래활동은 13.4%가 노래지표 1과 2로 기록이 되었다. 지리정보시스템(GIS) 분석으로 수원청개구리가 서식하고 있는 지역이 수원청개구리가 서식하고 있지 않은 지역보다 도시 면적과 숲 면적이 적었고 논 면적의 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서식지특성 회귀분석을 통해 수원청개구리 서식 유무에 논 면적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두 청개구리 종의 시∙공간적 노래조사를 통해 멸종위기종인 수원청개구리의 개체 수가 청개구리 개체수보다 확연히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수원청개구리 개체수가 감소하는 원인을 서식지 특성에서 찾고 수원청개구리 보전을 위해 우선적으로 서식지 보호가 시급함을 밝히는데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Introduction 1 Ⅱ. Materials and Methods 6 A. Study localities 6 B. Call surveys 7 C. Data collection 8 D. Classification of independent localities 10 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alysis 11 F. Statistical analyses 12 Ⅲ. Results 15 A. Overall calling activity 15 B. Diel calling activity 16 C. Seasonal calling activity 17 D. Effects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calling activity 18 E. Habitat characteristics 19 Ⅳ. Discussion 32 A. Calling activity 32 B. Habitat characteristics 35 References 37 국문초록 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4929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the endangered treefrog, Hyla suweonensis, in relation to sympatric H. japonica-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calling activity and habitat characteristics-
dc.title.translated멸종위기종인 수원청개구리(Hyla suweonensis)와 동소종인 청개구리(H.japonica)의 시공간 분포 : 노래활동과 서식지 특징-
dc.format.pageviii, 5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에코과학부-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에코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