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홍남-
dc.contributor.author신은영-
dc.creator신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2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1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257-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에서는 현재 그 존명에 대해 관음과 미륵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한 관촉사 석조보살입상의 尊名 轉化 가능성을 탐색하는 한편, 토착·토속이라는 개념 설정을 통해 석상의 양식사적 위치를 비정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관촉사 석조보살입상을 둘러싸고 조성 배경과 존명, 양식사적 의의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있어왔지만 합의된 결론에는 이르지 못한 상태이다. 관음의 도상을 하고 있지만 오랜 시간 동안 ‘은진미륵’이란 이름으로 불려왔고, 통일신라시대 불교조각과 양식적으로 잘 연결되지 않는 독특한 모습 때문에 양식사적 위치를 비정하는 일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관촉사 석상의 존명을 기록한 자료들이 도상적 사실의 반영이라기보다는 이 상에 대한 당대의 인식의 표현이라는 점, 석불에서의 도상-존명 간 불일치 현상 및 분리 가능성 등에 착안하여 기존의 논의를 확장하였다. 즉, 석불의 圖像과 尊名, 그리고 거기에 기입된 사람들의 願望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생각을 전제로 하여, 불상 조성시 의도된 도상과 그것을 추후에 부르는 호칭 사이의 균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존명 전화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양식사적 측면에서는, 고려의 불교조각을 통일신라 중심적 시각에서 평가했던 기존 관점에 문제를 제기하는 한편, 고려시대의 독자적 양식이 존재할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촉사 석상의 조성 배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색의 시와 관촉사사적비 등 이 상의 조성에 관한 내용을 담은 이야기들이 갖는 서사구조의 이중성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 이중적 서사구조를 중앙-지방 관계에 대한 메타포로 간주하여, 관촉사 석상의 조성이 ‘皇都로서의 개경’이라는 視點에서 ‘車峴以南을 지방화’하려는 裨補寺塔風水라는 담론적 실천으로 해석하였다. 다시 말하면, 옛 후백제 지역인 市津에 관촉사 석상을 조성하는 행위는 당대의 맥락에서 볼 때 ‘차현이남’ 지방에 대한 일종의 이데올로기적 통치행위였다는 것이다. 때문에 관촉사 석상의 도상과 양식은 확실한 ‘자기 근거’를 갖는다. 가장 논란이 되는 관촉사 석상의 존명과 도상에 대해서는, 먼저 존명과 도상이 분리된 사례들을 추적하여, 어떤 결로 도상과 존명이 미끄러지는지 그 가능성을 추찰해 보았다. 그 가능성이란 고유섭과 이능화가 말했던 ‘世間’의 개입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세간이 개입하여 도상-존명-원망 간 일대일 대응관계를 붕괴시켰다. 여기서 말하는 세간의 개입이란, 미륵에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도상적 구별에는 무관심한 불교신앙 및 造佛 주체로서의 피지배계급의 등장이라고 할 수 있다. 민중들은 자신들의 원망을 불어넣은 부처를 만들되, 기존 부처들의 도상적 규정에 구애받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도상적 특징들을 차용하였고,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돌에 부처라는 특징이 인지될 수 있도록 대강의 형식을 부여하여, 이를 미륵이라 불렀다. 결국 이러한 모든 원망을 품은 ‘미륵의 탄생’ 과정은 도상과 존명 간 일대일 대응관계가 해체되는 과정이자, 원래 미륵이 아닌 도상에도 미륵이란 존명을 붙일 가능성을 만들어낸 것이었다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관촉사 석상은 애초에 ‘관음’으로 만들어졌으나 여러 도상외적 요인에 의해 ‘미륵’으로 尊名이 轉化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관촉사 석상의 양식사적 위치를 비정하기 위하여 관촉사상과 유사한 양식을 갖는 고려시대 석불들을 완성도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다시 토착적인 것과 토속적인 것으로 나누었다. 그 결과, 관촉사상은 이른바 토속적 양식의 석불들과는 조형 의도와 표현 능력이라는 차원에서 현격한 차이가 있으며, 이들을 함께 지방양식으로 포괄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여기서는 이러한 양식적 ‘격’의 차이를 감안하여, 관촉사상의 양식사적 위치를 고려 전기 지배층의 자각적이고 창조적인 문화 욕구가 발현된 ‘토착적 양식의 정점’이자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지방적·민중적 모방이 시작되는 ‘토속화의 시점’으로 상정하였다.; This study concerns the Standing Stone Bodhisattva Statue of Gwanchoksa Temple, which has been at the center of the controversial argument to choose its reverential title between Maitreya and Avalokiteśhvara,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 title-alternation of a Buddhist statue. It also aims to figure the iconographic significance of the statue by establishing the concepts of aboriginality and local customs. Despite the numerous arguments on the surroundings of the erection of the statue, its definite reverential title,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its style, there has not been unanimous conclusions of the matters. Even though it definitely has iconographic features of Avalokiteśhvara, it has been called ‘Maitreya of Eunjin’ for centuries. And its distinctive features from Buddhist statues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have made it harder to find its iconographic significance. Through the expanded arguments in this essay, the fact that the historical records commenting the statue reflect not its iconographic features, but the people’s perception of the statue at the time has been considered, and the possibility of general incongruity and division between iconographic features and titles of stone Buddhist statues has been suggested. By considering the assumption that the iconographic features, titles, and wishes upon which prayers had made the statue are not always congruous with each other, this study elucidates the possibility of the title-alternation of a Buddhist statue which caused the discordance between features of a Buddhist statue and its title. In the light of the iconography, this study raises a question over the conventional Unified Silla-centric standpoint by which Buddhist sculptures of Koryo period have been evaluated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an independent style of the Koryo Buddhist sculpture. Said researching goals above have been pursued through the stages listed below. Firstly, to elucidate the surroundings of the erection of the statue, I have taken note of the duplicity of the descriptive structures of related historical accounts, poems of Yi Saek, the monument of the Gwanchoksa Temple and etc, commenting the circumstances of the statue establishment. The duplicity of the descriptive structures here could be understood as the metaphor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imperil capital and local regions of the Goryeo Dynasty. Therefore, the erection of the statue can be read as a discursive practice of the Geomantic topography, which regards Buddhist temples and pagodas designed and positioned to supplement the energy of the surrounding region, to separate and localize the regions of the Charyeong Mountains and southward from the imperial capital of Gagyeong. In other words, establishing a stone statue in Sijin area, present Eunjin of Chungcheong Province which used to belong to the late Baekje territory, could be understood as a kind of an ideological governing tactic over the regions of Charyeong Mountains and southward. This assumption gives a specific basis of the statue’s style. Secondly, about the most controversial issue of the incongruity between features and title of the statue, I have tried to prove the possibility of iconographic-title discordance by collecting and analyzing relevant examples. The possibility here could be understood as a case of ‘the interference of the world’, a suggested theory by Ko Yuseop and Yi Neunghwa. The world interfered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tatue and destructed the coherence between features, title, and wishes of the prayers [of the statue]. The said theory means that the common people from the lower class of the society who were ignorant of the iconography of a Buddhist statue, but interested in the belief of Maitreya, were appeared as a subject of religious practice of Buddhism and constructions of statuary at the time. The people wanted to make a Buddhist statue which reflects their wishes, however, they were not bound to a conventional style of the Buddhist art and, instead, adopted various iconographic features. They used rocks they could easily get around them and carved it into a rough style enough to recognize it as a Buddhist statue and named it as Maitreya. This construction style of a Buddhist statue based upon the common people’s wishes can be regarded as a dismantling process of the iconographic-title coherence and, through the course, the possibility of the title-alternation of a Buddhist statue, naming any Buddhist statues as Maitreya even if they do not have relevant features. The Standing Stone Bodhisattva Statue of Gwanchoksa Temple was designed to be a statue of Avalokiteśhvara but the people’s wish changed it into Maitreya. Finally, to figure the iconographic significance of the statue, Goryeo Buddhist statues with a similar style have been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completeness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gain; categories of aboriginality and local customs. From the information gathered through said classification, the statue of Gwanchoksa Temple turned out to have distinctive features from Buddhist statues in the category of local customs, in the light of expressiveness and the artistic goal, and, thus, it is hard to put it into said category. Therefore, I, regarding the difference of the iconographic class, argue that the statue of Gwanchoksa Temple is at the peak of the aboriginal art to which the ruling class of the Early Goryeo period had expressed their cultural creativity, and, at the same time, the starting point of the localized art when the local and popular style of the region had been bor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머리말 ... 1 Ⅰ. 관촉사 석조보살입상의 조성 ... 5 1. 조성 주체 및 동기에 대한 연구사 검토 ... 5 2. 裨補寺塔風水와 관촉사 석조보살입상의 조성 ... 11 Ⅱ. 관촉사 석조보살입상의 존명 ... 21 1. 관음보살상의 조성 ... 21 2. 관음에서 미륵으로의 尊名 轉化 ... 28 Ⅲ. 관촉사 석조보살입상의 양식 ... 35 1. 양식 연구의 시각 변화와 그 특징 ... 35 2. 규모의 거대화 ... 40 3. 양식의 토착화 ... 45 맺음말 ... 57 참고문헌 ... 60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279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관촉사 석조보살입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tanding Stone Bodhisattva Statue of Gwanchoksa Temple-
dc.creator.othernameShin, Eun Young-
dc.format.pageiii,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