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진경-
dc.contributor.author문주원-
dc.creator문주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5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0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584-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초현실주의 회화에 나타난 종교 모티프에 대한 연구이다. 절대적인 힘에 대한 믿음을 의미하는 종교(宗敎)는 자연으로부터 발생하여 지역의 토착적인 삶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발전해온 문화체계라 할 수 있다. 종교는 서양 미술 속에서 반복적으로 다루어져 온 주제였지만 19세기 말 종교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함께 제 3세계 문화에 대한 관심들이 등장하며 보다 다원화된 양상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흐름은 20세기 초 초현실주의에 이르러 기독교와 그리스 로마 신화 뿐 아니라 제 3세계의 신화와 토착신앙까지 아우르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초현실주의 미술에 있어 종교 모티프가 주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것이 발생한 지역의 문화적, 사회적 상황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는 종교의 특성에 의거하여 지역성을 토대로 초현실주의 미술에 나타난 종교 모티프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기존의 연구 대부분이 유럽 지역의 기독교와 신화만을 다루고 있거나 개별적인 작가연구에서 산발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다수였기 때문에 본 연구는 아메리카 대륙의 초현실주의까지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여 보다 통합적인 시각에서 종교 모티프에 대해 논의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제 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국제적 예술운동으로 자리했던 초현실주의 미술 속 종교 모티프의 보편적 의미뿐 아니라 지역적 토착성이라는 복합적 의미를 밝혀내고자 했다. 본래 초현실주의는 서구적 질서를 타파하고 새로운 세계관을 정립하고자 했던 혁명적 성격의 예술운동이었다. 따라서 종교에 대한 그들의 태도는 기독교가 추구하였던 지배적 교리나 그에 수반되는 질서 등 인간을 억압하는 규율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하였다. 즉 초현실주의자들은 기독교적 질서의 한계를 뛰어 넘어 본능적이고 자유로운 인간상을 실현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기독교와 대척점에서 신화와 토착신앙 등을 수용하였다. 초현실주의자들은 그리스 로마 신화 모티프를 인간 정신 형성의 모델로 상정하고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무의식적 본능을 해방시키기 위한 모티프로 활용했다. 또한 그리스 로마 신화와 켈트 신화, 아메리카 신화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인간과 자연 사이를 자유롭게 왕래하는 특징을 통해 연통관 개념을 구현함으로써 이성과 논리에서 벗어난 자연과 가까운 인간상을 추구하였다. 뿐만 아니라 유럽의 초현실주의 미술에서는 기독교 모티프를 이교적이고 성적인 표현들과 결부하여 신성을 모독하거나 신비를 표현함으로써 전통적 의미의 신성을 축소시키고 인간적 욕망의 회복을 꾀했다. 그에 반해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특유의 토착화된 성모와 순교자 모티프를 통해 자신들이 겪어온 역사적 수난과 사회적 갈등, 생과 사와 같은 모순을 승화하려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상대적으로 유럽에 비해 덜 문명화되었다고 여겨지던 아메리카 지역의 토착신앙인 토테미즘과 흑인신앙은 인간과 자연 혹은 주체와 객체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를 일깨우는 모티프로 나타나 본능의 회복을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초현실주의 미술에 나타난 종교 모티프가 인위적인 사회 구조로부터 해방되어 자연과의 관계를 회복함으로써 인간에게 본능을 돌려주고자 했던 휴머니즘적 태도를 구현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기독교가 선과 악이라는 이원론을 기본 원리로 하는 반면 신화와 토착신앙의 세계는 혼성적이며 양가적인 가치들을 인정한다. 따라서 연통관 개념을 통해 대립적인 요소들 간의 끊임없는 상호소통과 용해를 시도했던 초현실주의자들은 이러한 종교들을 수용함으로써 서구 체제 하에 단절되어 온 인간적인 가치와의 소통을 시도했다. 이렇듯 종교 모티프는 잃어버린 태고의 본능이 살아 숨 쉬는 인간상으로 회귀하고자 했던 초현실주의의 의지가 담겨있는 것으로, 궁극적으로 총체적인 인간해방을 이루고자 했던 초현실주의의 미학을 구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following dissertation is a focused on the religious motifs in surrealist art. Religion, a faith in the almighty, is a cultural system that is closely related to a natural form of life that is grounded in indigenous livelihood. Religion has been recurring throughout the history of western arts but towards the end of 19th century, changes in religious perceptions as well as the advent of a growing interest in the third cultures led religion to take on a more diversified dimension. This trend by the dawn of the 20th century led religion to a new form that includes not only surrealism but also Christianity and the Greco-Roman mythology let alone the myths of third cultures and aboriginal religions. Although religious motifs take up a large segment of surrealist arts, no serious attempt has been made at studying this field of thought. Hence,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socio-cultural conditions under which these phenomena took place, and based on the regionality of the religious attributes that are closely tied to such phenomena will study religious motifs that appear in surrealist arts. Furthermore, much of the previous work is either Eurocentric or deals primarily with Christian myths, if not findings that broke out sporadically from independent studies, this research will broaden the scope of its study to include surrealism in the Americas, too. This broadened scope will allow a discourse that is more integrative of the religious motifs, through which not only our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the implications of these motifs—which settled as an artistic movement since the Second World War—can be discovered but also the geographic indigenousness of it. Originally, surrealism was at the heart a revolutionary artistic movement that sought to break away from the Western order and reestablish a world view of its own. Hence, their attitude towards religion held highly critical perspectives on the kinds of Christian denominational sects, any related orders, and conventions that tried to oppress the people. In other words, surrealists sought to overcome the inherent limitations of the Christian order and realize a new convention that befitted their freer notion of humanity, thereby in this process accepting myths and indigenous faiths as an antipode to Christianity. Surrealists introduced the Greco-Roman mythical motifs as a new model for the inception of human mentality and utilized it a motif to liberate the intrinsic subconscious instincts. Furthermore, the common trait discovered among the mythologies of Greco-Roman and Celtic traditions is that through free come-and-go between humanity and nature, they realize a sense of Les vases communicants to pursue a human imagery that transcends the rational and the logical and instead something closer to nature. Furthermore, in European surrealist arts Christian motifs were deemed as heretic, tied with their sexual perversion, and implicated profanity to undermine the traditional notion of holiness and instead highlighted human desires. In contrast, the indigenous versions of Virgin Mary and motifs of martyrdom in Latin America displayed people’s will of wanting to sublimate their historical ordeal, social conflicts, and the contradiction of life and death. Finally, the Americas which were considered less civilized than their European counterparts argued for the recovery of instincts through their indigenous faith of totemism and black religiosity and their motif of a humanity united with nature. This study looks into the religious motif in surrealist art that liberates itself from the artificial construct of man to recover its relationship with nature and thereby retrieve the human sensibilities in their humanistic approach to arts. As opposed to Christianity that is grounded in a strict dichotomy of good and evil, myths and indigenous faiths put forward a world view that recognizes hybridized values with a sense of balance and duality. Therefore, surrealists, who tried endlessly to dissolve the conflicting elements through the communicating vessels, have come accept these religions to understand the human values that had previously been severed under the Western convention and way of thought. Likewise, embedded in these religious motifs is the will of surrealism that sought to return to the lost image of man that once breathed customs and instincts of immemorial antiquity. Ultimately, this was a larger effort to realize a surrealist aesthetics to achieve a holistic human liber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초현실주의 종교 모티프의 형성 배경 ... 5 A. 미술사 속에 나타난 종교 모티프 ... 5 1. 원시종교 ... 5 2. 신화 ... 8 3. 기독교 ... 12 B. 종교 모티프에 대한 초현실주의의 관심 ... 16 Ⅲ. 지역별로 본 종교 모티프의 의미 ... 23 A. 신화 ... 23 1. 그리스 로마 신화 ... 23 2. 켈트 신화 ... 31 3. 아메리카의 신화 ... 34 B. 기독교 ... 40 1. 유럽 지역 기독교 ... 40 2. 라틴 아메리카 지역의 토착화된 기독교 ... 48 C. 토착신앙 ... 57 1. 북아메리카 인디언 토템신앙 ... 57 2. 라틴 아메리카 지역 흑인신앙 ... 63 Ⅳ. 결론 ... 71 참고 문헌 ... 75 도판 목록 ... 82 도판 ... 93 Abstract ...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426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초현실주의 미술에 나타난 종교 모티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Religious motifs in Surrealist Art-
dc.creator.othernameMun, Ju won-
dc.format.pageiv, 11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