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0 Download: 0

멜 라모스(Mel Ramos)의 패러디(parody) 작업 연구

Title
멜 라모스(Mel Ramos)의 패러디(parody) 작업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arody Works of Mel Romas
Authors
신일지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본 논문은 캘리포니아 지역 팝 아트 작가인 멜 라모스(Mel Ramos, 1935~ )의 회화 작품을 패러디(parody)라는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1961년 라모스는 만화 속 영웅 이미지의 재현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팝 아트 작업을 전개해 나갔으며, 1964년부터 플레이보이지(誌)에서 얻은 핀업 이미지를 대중매체를 통해 배출된 광고 이미지나 기존 미술작품의 모티브들과 결합시킨 다양한 작품들을 제시해왔다. 라모스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관능적인 핀업 여성 이미지에 주목해 작품을 논하였으며, 이에 따라 그를 남성적 시각에서 여성 이미지를 다루는 예술가의 계보에 위치시켰다. 그러나 본고는 라모스의 작품에 핀업 여성 이미지 외에도 동시대 팝아트 작가들과 공유한 만화 이미지, 광고 이미지, 기존 미술작품의 모티브 등이 사용되었음을 발견하였으며, 그것이 작품 속에서 재구성됨으로써 원본과는 다른 맥락의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고 있음에 주목하여 이를 패러디의 관점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패러디란 원작의 이미지를 모방하거나 변형하여 그와 대응하는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원작에 대한 풍자의 효과를 내는 방식이다. 고대 모방의 원리에서 출발한 패러디는 원작에 대한 모방 및 재생산이라는 형식에 따라 오마주로서의 목적으로 사용되어왔다. 이후 19세기 정치풍자화의 성격을 포함한 패러디는 점차 동시대의 사회 현실을 반영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으며, 원작에 대한 우회적인 조롱 또는 사회비판적 메시지의 함축을 의미하는 새로운 창작방식으로 자리 잡았다. 20세기 이후에는 기존 미술작품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모든 이미지와 사물이 패러디의 원본으로 이용되기 시작하였으며, 패러디의 방식과 의미 또한 보다 사회적인 맥락으로 확장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등장한 팝 아트 작가들은 자신들이 속한 현대 소비사회의 리얼리티를 반영하기 위해 대중적인 이미지나 대량생산된 소비재와 더불어 기계적인 생산방식까지도 미술의 영역에서 구현해냈다. 이러한 시도는 조형적인 면에서 새로운 소재를 도입함과 동시에 그것이 속한 사회적 맥락을 예술에 직접적으로 인용하고자 한 것이다. 팝 아트 작가들에 의해 시도된 패러디 방식은 주로 기존 미술작품을 상업적인 방식으로 재구성하여 시각적인 변화를 보여주거나 작품의 제목과 이미지의 상충에 따른 블랙유머의 코드를 함축하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라모스는 팝 아트 작가들과 함께 패러디 방식을 공유하면서도 그들과 달리 지속적으로 패러디 작업을 선보인 작가이다. 그는 동시대 팝 아티스트들처럼 만화, 광고, 잡지의 이미지를 이용하면서도 그것을 또 다르게 대체하거나 결합하고 동일시하는 등의 방식으로 패러디하였다. 우선, 만화 이미지의 패러디에서 라모스는 남성 주인공을 모티브로 하여 전후 세계를 향한 미국의 정치적 이데올로기와 자국 내 사회적 이데올로기를 드러낸다. 만화영웅을 성조기, 금반지와 결합시켜 각각의 모티브가 갖는 의미를 조합하여 정치적으로 해석될 여지를 주거나, 여성영웅만화 주인공을 당대 섹시스타의 얼굴로 대체하여 영웅적 면모보다는 여성성과 섹슈얼리티를 강조함으로써 여성에 대한 사회적 시각을 엿볼 수 있게 만든 것이 그 예이다. 한편, 광고이미지의 패러디에서 라모스는 기업에 의해 생산되고 광고를 통해 판매되는 소비재들과 핀업 여성의 성(性)적 이미지를 결합시킴으로써 소비사회에서의 자본주의적 권력구조를 암시하고 성에 대한 당대의 상업주의적 양상을 반영하였다. 특히 제품의 형태나 특성뿐만 아니라 상품명이나 로고 등을 이용한 조형적이면서도 언어유희적인 표현을 통해 작품에 함축된 블랙유머를 극대화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존 미술작품의 패러디에서 라모스는 비너스로 대표되는 이상적인 누드화와 조각상을 핀업 여성의 누드로 대체함으로써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여성의 미(美)에 대한 사회적 기준으로서 핀업 여성을 현대 소비사회의 새로운 비너스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그는 미술사적 정통성을 이어가면서도, 전통적 미학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순수예술과 상업미술 간의 위계를 허물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라모스의 패러디 작업은 1960년대 미국의 소비사회를 반영하는 다양한 모티브를 활용하면서도 그것을 단순히 화면에 구현하는 것을 넘어 원본이 가진 맥락을 비평적으로 전환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라모스의 시각을 통해 관람자는 원본과는 다른 의미로 이미지를 해석하고, 일상으로부터 가져온 소재를 통해 다시 현실에서의 그들의 삶을 숙고하는 기회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핀업 여성 이미지에 한정되었던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패러디라는 관점으로 라모스의 회화 작업을 재고하였다는 데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This dissertation aimed at paintings by Mel Ramos (1935~ ), a pop artist from California from a parodical point of view. Ramos developed his pop art works in earnest reproducing heroic images of a cartoon character in 1961. He had presented, since 1964, those diverse works combining pin-up images that he got from a Playboy magazine with advertising images discharged through mass media or motives of existing art works. Existing studies of Ramos focused on sensual pin-up female images in examining his works, placing him on the pedigree of artists who dealt with female imagery from a male point of view. This research, however, discovered that with usual pin-up female imagery, he used cartoon images, advertisements and motives from existing art works in his arts; all that he shared with contemporary pop artists. It aims to explore it all from the perspectives of parody, through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images used were creating a new meaning in a different context from originals by being restructured into the works. Parody is a method of satire on the original that produces a responsive work by imitating or modifying images of an original. Parody in arts started from an imitation of fundamentals of antiquity, taking forms of imitation and reproduction, and been used for the purpose of Homage. The parody, since being used with a characteristic of satire on 19th century politics, had been steadily utilized as a tool of reflecting a social situation of the contemporaries and positioned itself as a new creative method in which is implied indirect mockery of originals or messages of social criticism. Not only existing art works, but all the images and things in use among society, had been used as an original of parody since 20th century, as well as methods and meanings of parody, also extended in a more social context. Pop artists who had emerged since World War II materialized popular imagery or mass produced consumer goods, and even machinery production methods in the sphere of arts in order to reflect the reality of a society to which they belonged. The trial was intended to introduce new materials in formative fronts at the same time, directly citing their social contexts to arts. Main parody methods that pop artists tried showed inclinations toward restructuring existing art into a commercial way and visual modifications or implications of black humor code, as a result of contradiction between a title of work and imagery. Ramos is an artist who has continuously shown a different parody work from others while sharing parody methods with pop artists. Like contemporary pop artists, he used cartoon images, advertisements and magazines but simultaneously he parodied them in ways that otherwise replaced or combined and identified them. First of all, in cartoon image parody, he showed the U.S. politic ideology of the post-war world and social ideology within the country. The examples included provide room for political interpretation by combining cartoon heroes, with the Stars and Stripes and gold rings in combination with meanings of each motive, or allow the lookout for social perspectives of women emphasizing feminity and sexuality other than heroine aspects by replacing a heroine cartoon character with faces of then sexy stars. In advertisement image parody, on the other hand, Ramos has implied a capitalistic power structure in consumer society and reflected commercialistic aspects of sex in society by combing produced consumer products by businesses on advertisements for sales with pin-up sexual imagery of women. Not only by forms of products or their characteristics, but especially through expressions of shape and plays on words with product names and logos, he maximized the black humors implied in his works. Finally, in existing art works, Ramos replaced an ideal nude picture and statue represented by Venus with that of a pin-up woman, presenting a pin-up woman in terms of social norm of ever-changing feminine beauty as a new Venus statue of modern consumer society. That was driven by his aim to pull down ranks of pure arts and commercial arts by raising a question over conventional esthetics while continuing legitimacy in art history. As described above, his parody works have their significances in not limiting themselves to utilizing varying motives reflecting the U.S. consumer society in the 1960s and beyond the simple materialization on the picture, but successfully converting the contexts of an original work into criticism. Through his perspectives, observers are to be allowed to interpret images in a different meaning from the original, and are given an opportunity to meditate on their real life through a spectrum of subjects brought from everyday lif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moving away from existing research with a limitation of pin-up image viewpoint to reconsider his picture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paro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