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2 Download: 0

오정희 소설의 젠더정치성 연구

Title
오정희 소설의 젠더정치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gender politicity in Oh Jeong-Hee's novels
Authors
최수완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ormation of female identity and gender politicity with the division of female senses on the basis of the aesthetic radicalism found from Oh Jeong-hee’s works. The 1970’s and 1980’s, when Oh was actively engaged in literary creation, were the times in which the political orientation was as clearly as the struggle between the tyranny and democracy was intense. Consequently, the mainstream of literature at that time tried to reveal and charge the non-democratic and anti-popular nature of the state power and present alternatives. That is to say, if the "politicization of literature" can be divided into ‘politicist politicization’ and ‘aesthetic politicization,’ the former constituted the major discourse in political literature at that time. Oh J대ng-hee can be designated as a writer who was built ‘aesthetic politicization’ of literature around gender politicity in such times. Disconnection, disconcertion, discord, disagreement etc. seen from Oh’s novels generate political thought that one doubts community ethics agreed upon in terms of the liberation of politicity. This study, therefore, tries to fully grasp the aesthetic overturn in Oh’s novels and further solidify her competence and significance in Korean female literature by analyzing the gender-politic aspects of Oh’s entire works. The previous studies so far have discussed Oh’s novels with the focus on the Buildungsroman side, the psychoanalyst viewpoint, and the body discourse and motherhood in tandem with feminism. While accepting the achievements of the previous studies as such, this study tries to characterize the aspects of changes in gender politicity in terms of the strategic performances and sensuous awakening in Oh’s novels in order to escape from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studies. Oh’s recognition as a writer has been realized via the thoughts and actions by female characters who incessantly cause discord with the existing order of ruling, and this allows us to consider the writer’s political unconsciousness with which she tries to resist literary conventions by means of the division of senses. The modernization imposed for the purpose of the justification of the developmental autocratic state at that time proceeded on the basis the sacrifice and instrumentalization of women’s rights and labors. In such a situation in the times, Oh’s works reveal gender politicity that brings the ‘revolution’ occurring via accidentally triggered opaque events in the position of routine life. Considering, on the basis of Jacques Ranciere’s discussion, that the nature of literariness lies in rejecting the existing viewpoints through the division of senses, Oh Jeong-hee’s works are associated with the nature of politicity that changes and reorganizes the gender roles defined by the ruling order. Proceeding further from the exploration of bodily deformity and mutual relatedness on the basis of the spatiotemporal disconcertion, Oh’s such gender politicity gropes for escape in terms of death, and shows resistance against defined existence and the world. This allows us to take a look at the points where gender politicity, which appears based on still emerging neo-libertarianism and the ‘post-developmental state theory,’ is omitted. From such a perspective, this study attempts at an analysis based on a theoretical ‘articulation’ of the post-Marxist and the feminist viewpoints in order to further extend and concretize discussion of gender politicity. Such an attempt will allow us to set up more concrete contexts of gender politicity, and to more effectively examine the distinct and non-hierarchical gender politicity shown from Oh Jeong-hi’s novels. Oh Jeong-hee’s novels activate political desires in terms of unfixed categorization instead of superficially presenting oppressive political reality. In addition, the efforts made in her works to ‘restore political experiences’ in terms of a ‘solidarity sensitive to differences’ represent pluralistic gender politicity via mutual approval beyond the dichotomy of embracement and exclusion of others. Consequently, this study tries to clarify the literary-historic implications of the gender politicity built by the writer by characterizing the discourse effects of the politicity standing opposite to the politicity pursuing universal ‘union’ in her novels and their aspects. Chapter II deals with the gender politicity of discord occurring on the basis of redundant cracks with reference to Oh’s early works. In Oh’s novels in this period, those female subjects emerged who were excluded and deleted from universal categories, including single mothers, infertile women, physically and mentally disabled women etc. As those women were regarded as ‘deficits’ damaging ‘commonness’ and threatening even with their existence, their emergence required rearrangement and replacement of the existing discourses. Oh Jeong-hee, thus, revealed the fact that they were those subjects who ‘should not be visible,’ and tried to define their political existentiality in terms of the gender politicty of discord. Their individuality was formed on the basis of opacity, and they show the gender politicity involving redundant parts that try not to fully agree with the existing system by showing resistance while settling in everyday life. This gender polticity of discord actively makes relations with positions of ‘marginality’ that are not identified by the existing system of reconstruction, and accompanies political movements trying to make up gaps that are revealed by themselves. Also, the gender politicity of discord in Oh’s novels incessantly struggles with the existing system and causes cracks due to the omitted ‘marginality’ to attempts at providing a ground for mutual approval. The middle class women, infertile women, elderly women etc. are not categorized in identical contexts respectively, and even in the case of women in the same low class, the gender polticity formed by the anxiety and alienation felt by individual characters involve mutual different ‘marginalities.’ Also, they proceed to form the gender politicity of discord by reflecting with their existential conditions and revealing the instability of the existing order. Chapter III examines the gender politicity of mutual approval based on mutually subjective struggles with reference to Oh Jeong-hee’s mid-term works. Oh’s novels in this period construct the gender politicity recognizing others’ approval as a condition of self-realization. Here, ‘self-realization’ is not limited to peoples’ simple approval of each other’s equal existence. ‘Mutual approval’ rather means acknowledgement of the fact that they pursue different desires and values, and implies the movement trying to resist the power discourse attempting at deleting the differences. Consequently, ‘differences’ and ‘fissions’ within mutually subjective gender politicity are not negative elements that should vanish, but work as positive elements that should be respected and approved. With respect to the formation of female identity, ‘mutual approval’ is a viewpoint from which women approve others as independent but at the same time dependent existences, and as existences for themselves and for others. Such ‘approval’in Oh’s novels appears not in ephemeral events but in protean courses with dynamicity. Female identity is formed through the courses themselves in which women raise issues, conflict themselves with each other, and newly recognize each other again within the gender norms. Construction of such gender politicity of approval enables the advent of political female subjects who try to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for their own selections against the systematic gender norms. In addition, it allows them to proceed beyond the traditional feminist ethics based on ‘sacrifice’ and ‘consideration’ to build reflective ethics based on mutual respect. Oh Jeong-hee especially made efforts to construct the gender politicity of approval around the resistance against the feudal mechanism of oppression elaborately operating in routine spaces. She captured political movements through allegorical approval resonating in such a course. In particular, the majority of Oh’s novels in this period dealt with childhood and show politicity about family structures. She addressed diverse signs of family deconstruction, which had appeared along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Furthermore, the female subjects in her works in this period traversed the pre-modern familism and tried to construct reflective ethics based on ambivalent relations. This reveals the crisis of families under the patriarchal order, and at the same time, shows deconstruction, fiss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absolute familism. Chapter IV examines anti-ideological gender politicity occurring based on pluralistic gender hibridity in terms of Oh Jeong-hee’s late works. Her novellas released in her late years reveal comparatively active antipathy against the uniform political logics based on neo-libertarianism and blind patriotism. Showing her disgust with spectacle behavior for the oppressive political situations, she represents spread of pluralistic gender polticity over public sectors through cold and meditative female subjects. By late modern times, the clearance of the past was turned into ‘novel opacity.’ Pointing out that the progressive stream existing in it loses the vision about some alternatives to the current order, Oh Jeong-hi shows that plurality has come to be more important as it enables one to set up specific others in literary works. She has tried to concretize political plurality by transposing mortality of finite existence, limited territorial states, historical events etc. and to grope for a vision for gender politicity facing novel opacity in terms of female subjects, accidental individuals responding to it. In particular, the female subjects in this period enable us to consider spread of the gender politicity with which they affirm wounds and pain not "in spite of them" but across them on the basis of hybrid loyalty at the moment of coexistence with ‘death.’ Furthermore, this anti-ideological gender polticity is a kind of gender politicity, but transverse gender politicity to form nomadic ethics. If one superficially emphasizes sacrifice and instrumentalization of female rights and labors, it can rather bring about aesthetic deletion of gender politicity. Thus, the writer’s political unconsciousness, which resists literary conventions in terms of division of senses and pays attention to gender politicity occurring from accidentally triggered opaque events. In addition to this, the writer’s passion for ‘political things’ that enable her to escape from the existing thoughts turns out to be extended from her individual political ethics in the community to anti-ideological gender politicity based on pluralistic hybridity. Consequently, we can tell that the diachronic stream in Oh Jeong-hee’s novels generates political tension via continuity of non-continuity, and escape from the dichotomy of offenders and victims to attain aesthetic politicity. Also, the female subjects in her novels reveal energy with which they go beyond the reconstructive system, and bring about incessant political transpositions in terms of contingency that is not able to be integrated into the contemporary fictional discourses. The mode of subjectification based on such strategic disagreement enables us to see the aesthetic radicalism from Oh Jeong-hee’s novels by redefining others’ shapes.;본 연구의 가장 큰 목적은 오정희의 작품에서 살펴볼 수 있는 미학적 급진성을 바탕으로 여성 감각의 분할에 따라 나타나는 여성의 정체성 형성과 젠더정치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오정희가 활발하게 작품 활동을 했던 70년대와 80년대는 독재와 민주 사이의 투쟁이 격렬했던 만큼 정치적 방향성이 명료하게 존재하는 시기였다. 때문에 당시의 문학은 국가권력의 비민주성과 반민중성을 폭로·고발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려는 형태의 문학이 활발하게 나타났다. 즉 “문학의 정치화”가 ‘정치주의적인 정치화’와 ‘미학적 정치화’로 나뉠 수 있다면, 당시의 정치적 문학은 정치주의적인 정치화가 지배담론을 이루고 있었다. 오정희는 이와 같은 시기에 작품 속에서 여성 감각의 분할을 통해 형성되는 젠더정치성을 고찰함으로써, 문학의 ‘미학적 정치화’를 구축한 작가라고 볼 수 있다. 오정희의 소설에서 나타나는 단절, 교란, 불화, 불일치 등은 정치성의 해방을 통해 합의된 공동체의 윤리를 의심하는 정치적인 사유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정희의 전 작품을 대상으로 나타나는 젠더정치성의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오정희 소설의 미학적 전복성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한국여성문학에서의 작가의 역량과 의의를 더욱 공고히 하고자 한다. 현재까지 진행된 선행연구에서 오정희의 소설은 성장소설적인 측면과 정신분석학적 관점, 그리고 여성주의에 따른 몸 담론과 모성성 등을 중심으로 논의가 전개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선행연구의 성과를 수용하면서도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오정희 소설에서 살펴볼 수 있는 전략적 수행과 감각적 각성을 통한 젠더정치성의 변모 양상을 규명하고자 한다. 오정희의 젠더정치성에 관한 작가적 인식은 기존의 지배질서와 끊임없이 불화를 일으키는 여성 인물들의 사유와 행위를 통해서 구현되고 있으며, 이것은 감각의 분할에 따라 문학적 관습에 저항하고자 하는 작가의 정치적 무의식을 살펴볼 수 있게 한다. 당시 독재국가권력의 정당화를 위해 강요되었던 산업화와 근대화는 여성의 권리와 노동력에 대한 희생과 도구화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시대적인 상황 속에서 오정희의 작품들은 억압적인 여성들의 삶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 이전에, 일상 속에서 우연적으로 촉발되는 불투명한 ‘사건’과 ‘혁명’을 바탕으로 나타나는 젠더정치성을 주목하고 그것이 지닌 정치적 저항성을 포착하고 있다. 랑시에르(Jacques Ranciere)의 논의에 따라 문학성의 본질이 감각의 분할을 통해 기존의 관점을 거부하는 데 있다고 본다면, 그러한 의미에서 오정희의 작품들은 지배질서가 규정하는 젠더적 역할을 변화시키고 이를 재조직하는 정치성의 본질과 맞닿아 있다고 볼 수 있다. 오정희의 이러한 젠더정치성은 시·공간의 교란을 바탕으로 신체적 불구성과 상호적인 관계성을 탐색하는 것에서 나아가, 죽음을 통한 탈주 등을 모색하며 규정된 존재와 세계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현재에도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신자유주의와 ‘포스트발전국가론’으로 인해 젠더정치성이 누락되어 있는 지점들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젠더정치성에 대한 논의들을 더욱 확장시키고 그것의 의미에 더욱 정치(精緻)하게 접근하기 위해서 포스트마르크스주의적 관점과 여성주의적 관점에 대한 이론적 ‘절합’(articulation)’에 따른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작품에서 나타나는 젠더정치성의 보다 구체적인 맥락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주며, 오정희 소설에서 나타나는 차별화되고 비위계적인 젠더정치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 오정희의 소설은 억압적인 정치현실을 표면적으로 나타내는 것 대신에 현실에 대한 비고정적인 범주화를 통해서 정치적인 욕망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오정희의 작품에서 살펴볼 수 있는 ‘차이에 민감한 연대’를 바탕으로 ‘정치적 경험을 회복’하고자 하는 모습들은, 타자에 대한 포용과 배제라는 이분법적 논의에서 벗어나 상호인정을 통한 다원적인 젠더정치성을 구축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정희 소설에서 나타나는 보편적 ‘합일’을 추구하는 정치성의 반대지점에 있는 정치성의 담론적 효과와 그것에 따른 양상을 규명함으로써 작가가 구축하고 있는 젠더정치성의 문학사적 의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오정희의 첫 작품집과 그 시기에 발표된 단편들을 중심으로, 오정희의 초기 소설에서 나타나는 잉여적인 균열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불화의 젠더정치성을 살펴보았다. 이 시기의 오정희 소설에서는 미혼모, 불임여성,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를 가진 여성 등 보편적인 범주 안에서 배제되고 삭제되었던 위치의 여성주체들이 출몰한다. 이러한 여성들은 ‘일반성’을 훼손하는 ‘결함’으로 간주되었던 대상들이었고 존재만으로도 위협적이었기에, 이들의 등장은 기존 담론의 재배열과 재배치를 요구한다. 따라서 오정희는 이들이 ‘보이지 않아야만 하는’ 주체였던 점을 폭로하면서 불화의 젠더정치성을 통해 이들의 정치적 실존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들의 개체성은 불투명성을 바탕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이들은 일상 속에 안주하면서도 저항성을 나타냄으로써 기존의 체계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으려는 잉여부분을 포함한 젠더정치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불화의 젠더정치성은 기존의 재현체계로는 식별되지 않는 ‘잉여’의 자리들과 적극적으로 관계하며 스스로 노출된 공백을 보충하고자 하는 정치적 움직임을 수반한다. 또한 오정희 소설에서 나타나는 불화의 젠더정치성은 기존 체계에 대한 끊임없는 투쟁과 동시에 누락된 ‘잉여’로 인한 균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상호인정을 위한 정치성의 밑거름으로 작용한다. 오정희 소설에서 등장하는 중산층 여성이나 불임 여성, 노년기의 여성 등은 각각 동일한 맥락으로 범주화되지 않으며, 같은 하층 계급 여성이라 할지라도 각 인물들이 느끼는 불안과 소외로 인해 형성되는 젠더정치성은 서로 다른 ‘잉여’를 포함하고 있다. Ⅲ장에서는 오정희의 두 번째 작품집과 그 시기에 발표된 단편들을 중심으로, 오정희의 중기 소설에서 나타나는 상호주관적인 투쟁을 바탕으로 한 상호인정(認定)의 젠더정치성을 살펴보았다. 이 시기의 오정희의 소설은 타자의 인정을 자기실현의 조건으로 인식하는 젠더정치성을 구축하고 있다. 이때 나타나는 ‘상호인정’은 단순히 서로를 동등한 존재로 인정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호인정’은 오히려 서로가 다른 욕망과 가치를 추구한다는 점을 인정한다는 것이며, 차이를 삭제하려는 권력담론에 저항하려는 움직임을 함축하고 있다. 따라서 상호주관적인 젠더정치성 안에서 ‘차이’와 ‘분열’은 소멸되어야 할 부정적인 요소가 아니라 존중되고 인정되어야 할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여성의 정체성 형성과 관련하여 ‘상호인정’은 서로를 독립적이면서도 의존적인 존재로, 자신을 위한 존재이면서도 타자를 위한 존재로 인정하는 관점이다. 오정희의 소설에서 이러한 ‘인정’은 일회적 사건이 아닌 역동성 속에서 변화무쌍하게 전개되는 과정으로 나타난다. 즉 오정희의 소설 속에서 여성의 정체성 형성은 젠더규범 안에서 항상 다시 문제제기 되고 갈등하며 또 다시 새롭게 인정하는 과정 자체를 통해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인정의 젠더정체성의 구축은 제도적인 젠더규범에 맞서기 위한 자신의 선택에 대해 책무를 다하려는 정치적 여성주체의 출현을 가능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희생’과 ‘배려’를 바탕으로 한 전통적인 여성주의적 윤리에서 나아가 상호존중을 바탕으로 하는 성찰적인 윤리학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시기의 오정희의 소설들은 유년기 시절을 다루는 소설들과 가족구조에 대한 정치성을 나타내는 소설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오정희는 급격한 산업화와 함께 등장한 다양한 가족 해체의 징후들을 다루었다. 이때 작품 속의 여성주체들은 전근대적인 가족주의를 가로지르며 양가적 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성찰적 윤리학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것은 가부장적 질서 아래에 있는 가족의 위기를 폭로함과 동시에 절대적 가족주의에 대한 해체와 분열, 재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오정희는 특히 일상적 공간에서 치밀하게 작용하는 봉건적 억압기제에 대한 저항성을 중심으로 인정의 젠더정치성을 구축하고자 했다. Ⅳ장에서는 오정희의 가장 최근의 작품집과 그 시기에 발표된 단편들을 대상으로 한 후기 작품들을 중심으로 다원적 혼성성을 바탕으로 나타나는 탈주의 젠더정치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오정희가 후기에 이르러 발표한 중편소설들은 신자유주의와 맹목적 애국주의를 바탕으로 한 획일화된 정치적 논리에 대해 비교적 적극적인 반감을 나타내고 있다. 오정희는 억압적 정치적 상황에 대한 전시적인(spectacle) 행동들에 대한 혐오를 나타내면서, 냉철하고 관조적인 입장의 여성주체를 통해 공적영역에 대한 다원적인 젠더정치성의 확산을 나타내고 있다. 근대 후기에 이르러 이전의 명료함은 ‘새로운 불투명성’으로 전환되었다. 오정희는 그 속에 존재하는 진보적 흐름들은 현재 질서의 대안에 관한 전망을 상실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작품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타자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다원성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오정희는 유한한 존재의 사멸성과 제한적 영토국가, 역사적 사건 등을 변위(transposition)함으로써 정치적 다원성을 보다 구체화시키고자 하였으며, 이에 대응하는 우발적 개별자인 여성주체들을 통해서 새로운 불투명성에 직면한 젠더정치성에 대한 전망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시기의 여성주체들은 ‘죽음’과 공존하는 순간에도 혼종적 충실성 바탕으로 “상처와 고통에도 불구하고”가 아니라 그것들을 가로질러 긍정하는 젠더정치성의 확산을 살펴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탈주의 젠더정치성은 젠더정치성이면서 동시에 젠더정치성을 가로지르며 유목적 윤리학을 형성한다. 여성의 권리와 노동력에 대한 희생과 도구화를 직접적인 규정을 통해 강조할 경우, 오히려 이것은 미학적인 젠더정치성의 삭제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감각의 분할을 통해 문학적 관습에 저항하고, 우연적으로 촉발되는 불투명한 사건을 통해서 발생하는 젠더정치성을 주목하고자 하는 작가의 정치적 무의식은 젠더정치성을 통한 미학적 전복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획득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사고방식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정치적인 것’에 대한 작가의 열망은 공동체 속 개인의 정치 윤리에서 나아가, 다원적인 혼종성을 바탕으로 하는 탈주의 젠더정치성으로 확장되어 나타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오정희 소설에서 나타나는 젠더정치성의 통시적 흐름은 비연속의 연속을 통한 정치적 긴장감을 발생시키며, 가해자와 피해자의 이분법적 구도에서 벗어나 유동하는 미학적 정치성을 획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오정희 소설 속 여성주체들은 재현체계를 벗어나는 힘을 드러내고 있으며 당대의 허구적 담론에 통합될 수 없는 우발성을 통해 끊임없는 정치적 변위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전략적인 불일치를 기본으로 하는 여성 인물들의 주체화 양식은 타자적 형상들을 재규정함으로써 오정희 소설에서 나타나는 미학적 급진성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