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상근-
dc.contributor.author송민아-
dc.creator송민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4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3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0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39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제2언어로 영어를 학습하는 세 명의 한국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네 가지 동사 유형 – 규칙 동사, 불규칙 동사, Be동사, Do동사 - 의 습득과 오류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일 년간 작성된 과거 시제를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글 118편에 사용된 1,053개 동사별 정확도를 BSM(Billingual Syntax Measure) 으로 산출하였고, 정확도 90%를 습득의 기준으로 동사 과거 시제 습득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 초등학생 영어 학습자는 규칙 동사의 과거 시제를 먼저 습득한 후 불규칙 동사의 과거 시제를 습득하였다. 이는 영어 모국어 아동 화자의 동사 습득 순서와 한국인 아동 학습자의 동사 형태소 습득 연구(Pak, 1987)결과와 일치하였으며, 중국인 영어 학습자의 습득 순서와는 차이를 보였다. Be동사는 학습자간 습득 순서에 차이가 있었으며 선행 연구에서 주장된 제2언어 아동 학습자의 빠른 Be의 습득을 확인할 수 없었다. Do동사의 과거 시제 습득은 늦게 이루어지거나, 이루어지지 않아 원어민의 동사 학습 초기 did 습득과는 대조를 보였고, 다양한 모국어를 사용하는 영어 학습자의 늦은 Do동사의 습득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한국인 초등학생 영어학습자의 글쓰기에 사용된 동사 과거 시제 오류는 생략적 오류가 수행적 오류보다 높은 비율로 발생되었으며, 그 형태는 동사 기본형의 사용이었다. 이는 동사를 과거 시제로 사용해야 할 때 과거 시제를 표지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을 의미하며, 영어 모국어 화자, 다양한 모국어 화자들의 영어 과거 시제 오류 연구들과 일치함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인 초등학생 영어학습자의 동사 과거 시제 오류에서 수행적 오류 중 과일반화의 비율이 높지 않았고, 다른 형태 오류들의 비율이 높았으며, 불규칙화는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이는 영어 모국어 화자나 이중언어자의 수행 적 오류 중 높은 과일반화 비율과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한국인 초등학생 영어 학습자는 규칙 동사의 과거 시제를 불규칙 동사의 과거 시제보다 먼저 습득하였고, 동사의 과거 시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동사의 기본형을 쓰는 오류를 가장 빈번히 발생시켰다. 또한 동사를 과거 시제로 굴절하는 경우 과규칙화가 아닌 다른 형태적 오류를 더 빈번히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English tense has been recognized as a complex issue and has often been focused in many studies on L2 acquisition. It has long been noted that the acquisition of English past tense is a vulnerable domain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across acquisition context. The concept of tense has been known as particularly difficult for Korean learners of English. This study examined the acquisition and errors of English past tense in three Korean children aged seven, ten, and eleven years during the first year in Canada. The objectives were two fold. The first was to investigate the common acquisition order of four types of verbs, and the second was to investigate error types and rates of English past tense in text. Verbs in past obligatory contexts in writings were analyzed for appropriate use and inappropriate use of the past tense form. Inappropriate uses of English past tense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if there were more omission errors than commission errors and if most errors made within commission errors were overgeneralization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one male and two female native speakers of Korean born in South Korea and attended Canadian elementary schools in Vancouver, Canada. The children’s written data were produced in their first academic year in Canada. The acquisition order was investigated using past obligatory analysis, A total of 1,053 verbs or verb phrases were analyzed. Accuracy rates for four verb types – regular verb, irregular verb, Be and Do – were calculated using Bilingual Syntax Measure(BSM) and 90% accuracy was defined as acquir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Korean children’s acquisition of regular verbs preceded the acquisition of irregular verbs. There was little evidence for precocious Be acquisition. Do was hardly acquired. Secondly, the percentage of omission error was greater than commission errors. The rate of omission errors was 64%, and the rate of commission errors was 36%. Most errors in commission errors were not overgeneralizations, but other form errors including errors of double consonant –ed endings, overuse of Do, and errors of Be agreement, etc. Irregularization was never produc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quisition of English past tense in the writings of three Korean children and is characterized by a number of features shared by only a few previous studies. First, it is the case study of Korean children acquiring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and second, it used natural written data in second language school settings. There are limitations to this study, including a small sample size of overall verbs, especially verb Do. This caused sharp increases and decreases in the accuracy rate. Besides, only two types of verb were acquired within a year of study. These weaknesses point to the importance of future studies for verifying the present results. Case studies for more than a year would be needed to investigate full acquisitions of the verbs. Moreover, a larger sample size of verbs from the children would serve to establish reliability of the finding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3 A. 영어 동사의 시제와 형태 3 1. 시제의 개념 3 2. 영어 동사의 종류와 형태 6 B. 언어 학습자와 동사 시제 10 1. 언어 학습자의 동사 시제 습득의 특징 10 2. 영어 학습자의 동사 과거 시제 오류 12 C. 선행연구 14 1. 문법 형태소 습득 연구 14 2. 언어 학습자의 동사 시제 습득 연구 17 3. 동사 시제 오류 연구 21 Ⅲ. 연구 방법 27 A. 연구 질문 27 B. 연구 참여자 27 C. 연구 절차 29 1. 자료 수집 29 a. 인터뷰 29 b. 쓰기 자료 30 2. 자료 분석 36 a. 동사 유형별 과거 시제 의무 맥락 판별 36 b. 동사 유형별 정확도 산출 37 c. 오류의 유형별 분류와 비율 산출 38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40 A. 초등학생 영어 학습자의 동사 과거 시제 습득의 특징 40 1. 학생A의 과거 시제 습득의 특징 41 2. 학생B의 과거 시제 습득의 특징 44 3. 학생C의 과거 시제 습득의 특징 45 B. 초등학생 영어 학습자의 동사 과거 시제 오류의 특징 48 Ⅴ. 결론 57 참고문헌 61 부록 68 Abstract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429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한국인 초등학생 영어 학습자의 동사 과거 시제 습득과 오류에 관한 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cquisition and Errors of English Past Tense : A Case of Three Korean Children in Canada-
dc.creator.othernameSong, Minah-
dc.format.pagex,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