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7 Download: 0

16개 시⋅도교육청 유치원 교구설비기준의 현황 및 적합성 분석

Title
16개 시⋅도교육청 유치원 교구설비기준의 현황 및 적합성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n the current implementation and suitability of 16 education offices’ kindergarten standards for teaching tools and facilities
Authors
장민영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본 연구는 16개 시⋅도교육청 유치원 교구설비기준에서 유치원에 필요한 시설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 시설별 설비 기준과 대⋅소집단활동 및 흥미영역별 교구 기준이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각 시⋅도교육청별 유치원 교구설비기준 제시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5세 누리과정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교구와 각 시⋅도교육청의 유치원 교구 기준을 비교하여 봄으로써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데 있어서 16개 시⋅도교육청유치원 교구설비기준이 적합한 기준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16개 시⋅도교육청의 유치원 교구설비기준의 제시 현황은 어떠한가? 1-1. 16개 시⋅도교육청 유치원 시설별 범위 제시현황 및 필수 시설 명시는 어떠한가? 1-2. 16개 시⋅도교육청 유치원 교구설비기준 중 보통교실, 교무실, 유원장, 급식실, 보건실의 각 시설별 설비 기준은 어떠한가? 1-3. 16개 시⋅도교육청 유치원 교구설비기준 중 대⋅소집단활동 및 흥미영역별 교구 기준은 어떠한가? 2. 16개 시⋅도교육청의 유치원 교구설비 기준은 국가수준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적절한가? 본 연구는 16개 시⋅도교육청의 유치원 교구설비기준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시⋅도교육청의 유치원 교구설비기준 제시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유치원 내 갖추어야 할 시설의 범위를 각 시⋅도교육청별로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모든 시⋅도교육청에서 공통으로 제시하고 있는 5개 시설별 범위에 따른 설비기준과 8개 흥미영역별 교구기준, 3개 대⋅소집단활동에 따른 교구기준을 각각 분석하였다. 이 때 대⋅소집단활동에 필요한 교구는 이야기나누기, 동화⋅동시감상, 노래부르기 활동에 따라 구분하였고, 흥미영역에 필요한 교구는 쌓기, 역할, 언어, 수조작, 과학, 조형, 음률, 신체, 8개 흥미영역에 따라 분석하였다. 16개 시⋅도교육청의 유치원 교구설비기준이 국가수준 교육과정 운영에 적절한지 알아보기 위해 5세 누리과정을 2차 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교육과학기술부(2012)가 발행한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총 11권에 포함된 활동 518개에 필요한 교구를 분석 대상으로 정했다. 518개 교육활동은 16개 시⋅도교육청 유치원 교구설비기준 내 교구 분석에 활용한 기준과 동일한 3개 대⋅소집단활동과 8개 흥미영역별 자유선택활동에 해당되는 활동이며, 각 교육활동에 필요한 교구분석 결과는 각 16개 시⋅도교육청 유치원 교구설비기준의 교구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온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16개 시⋅도교육청의 유치원 교구설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유치원 내 시설은 최소 4곳부터 최대 18곳까지 시⋅도교육청별로 큰 편차를 보이며 제시되고 있었다. 각 시설 범위에 대한 필수 여부를 명시하는 곳은 인천, 경기, 충남 세 곳으로 나타났다. 16개 시⋅도교육청의 시설별 범위 5곳 보통교실, 교무실, 유원장, 급식실, 보건실 내 설비 기준을 살펴본 결과, 시설별로 꼭 필요한 설비에 따른 기준이 제시되지 않거나, 설비에 대한 소요기준이 적합하지 않게 표기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기에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6개 시⋅도교육청의 유치원 교구설비기준 중 8개 흥미영역 및 3개 대⋅소집단활동에 따른 교구에 대한 기준을 살펴본 결과, 흥미영역별 교구 기준에 유아의 연령별 특성 및 발달수준이 반영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형, 과학, 음률, 신체활동 흥미영역별 교구에 대한 소요기준에 각 종류별 교구 수량까지 반영하여 제시하고 있는 곳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 3개 대⋅소집단활동 교구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곳은 16개 시⋅도교육청 중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경우 6곳, 동화⋅동시감상 활동은 7곳, 노래부르기 활동은 5곳으로 나타났다. 둘째, 16개 시⋅도교육청의 유치원 교구설비기준은 국가수준 교육과정인 5세 누리과정 운영에 필요한 교구 수에 비해 부족한 교구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흥미영역 중 조형, 과학, 음률, 신체활동 교구의 경우, 누리과정 지도서에서 각 종류별 교구 수량까지 반영하여 표기하지 않았기에 이를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implementation and suitability of 16 education offices’ kindergarten standards for teaching tools and facil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current implementation of 16 education offices’ kindergarten standards for teaching tools and facilities? 1-1. What are the current implementation of 16 education offices’ kindergarten standards for facilities and specification of compulsory facilities like? 1-2. What are 16 education offices’ standards for equipments of classroom, staff room, outdoor playground, food service facility, infirmary facilities like? 1-3. What are 16 education offices’ standards for teaching tools in group activities and play areas like? 2. How is the suitability of 16 education offices’ kindergarten standards for teaching tools and facilities according to national curriculum Nuri? The subject of analysis were 16 education offices’ kindergarten standards for teaching tools and facilities. To analyze 16 education offices’ kindergarten standards for facilities, 5 most commonly required facilities were selected. To analyze 16 education offices’ kindergarten standards for teaching tools, 8 most commonly suggested learning centers and 3 group activities were chosen. 8 learning centers were block play area, dramatic play area, language area, manipulative play area, science area, music area, art area and physical activity area. 3 group activities were discussion, story telling and singing. The secondary subject of analysis were Nuri curriculum for evaluating suitability of 16 education offices’ kindergarten standards for teaching tools and facilities. To analyze teaching tools for Nuri curriculum, 11 volumes of Nuri curriculum guide book for teachers were used and 518 educational activities were selected. The 518 activities were chosen by 8 most commonly suggested learning centers and 3 group activitie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there were side variation in kindergarten facilities suggested by 16 education offices’ kindergarten standards and the minimum were 4 facilities and maximum were 18 facilities. Also Incheon, Kyung-ki and Chung-nam, 3 education offices stated compulsory facilities for kindergarten. Standards for facilities which is necessary for kindergarten were not sugggested and requirements for some facilities were stated inappropriately. Standards for teaching tools for 8 learning areas were not considering different ages of children’s development. Also requirement of teaching tools for art, science, music, physical activity areas were stated only for types of tools and need to consider the amount of each type of tools as well. Among standard for teaching tools for 3 group activities, only 6 education offices were stating standard for discussion teaching tools, 7 education offices were stating standard for story telling and 5 education offices were stating standard for singing. Secondly, 16 education offices’ kindergarten standards for teaching tools and facilities were not enough standards for operating Nuri curriculum. But analyzing teaching tools for art, science, music, physical science areas were limited because in Nuri curriculum guidance book for teachers teaching tools were stated only for the types of teaching tools and not the amount of each types of too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